(사)한국조경학회 바로가기l
조경칼럼

Column

조경칼럼

공원녹지의 정책변천 과정과 향후 방향

김대성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자연생태과 산림이용팀장

우리나라 공원녹지 정책의 발아는 기존 도시계획법(1962년 발의)에서 1967년 ‘공원법’을 분리하여 제정한 것이 시작입니다. 이후 도시의 발달과 함께 1970년대 공원 정책이 태동하고, 산림경영 및 개발제한구역 설정과 같은 보호위주 정책이 수립되었습니다.
서울은 국가 정책에 발맞추어 1980년대부터 한강종합개발계획(1981), 수도녹화 5개년계획(1982) 등을 수립하고, 서울대공원 및 올림픽 공원 등을 개장하며 서울을 푸르게 만들기 위한 각종 시책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1995년 민선 1기가 시작되고, 환경 및 공원녹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공원녹지확충 5개년 계획 등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녹지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많은 분들이 봄철에 찾아가시는 여의도 공원, 덕수궁 돌담길, 남산 잠식시설 철거 등의 사업이 추진되었습니다. 아울러 민선 2기(1999)부터는 관주도에서 시민과 함께 하는 공원녹지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시민과 함께 월드컵공원, 선유도공원, 낙산공원 등을 조성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민선 3기(2003)와 민선 4기(2007)에는 생활권녹지 조성사업에 중점을 두어 옥상공원, 학교녹화 등의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청계천 복원, 서울숲, 서울광장, 북서울꿈의숲, 서서울호수공원, 서울창포원, 중랑캠핑숲 등 대형 공원도 추가 조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공원녹지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면 과거 도시의 성장 과정에서 녹지공간을 보호 하려는 정책이 우선 추진되었으며, 민선 시작에 따라, 시민과 함께 그리고 생활공간 인근에서 누릴 수 있는 공원 조성이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울러 현재 푸른도시국의 정책을 토대로 향후 방향을 파악해보면, 공간 중심에서 사람중심, 시민참여에서 시민주도, 공원 조성에서 공간 재생으로 크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세부적으로는 지역단위 거점공간에 대한 수요를 충족해줘야 하며, 인문·사회 요인과의 연계, 다양한 테마 발굴, 환경보전·복원 및 생물다양성 요소에 대한 고려가 중요할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사업의 주된 흐름을 조심스럽게 예측하자면, 정형화된 공원에 대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것입니다.
최근 사례는 서울로 7017, 경의선·경춘선 숲길, 마포 문화비축기지 등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시설 또는 공간을 재생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아울러 사람간의 연계가 줄어드는 도시공간에서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공원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이러한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을 다양하게 마련하여 단절된 도시에서 사람간의 유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도시의 공원을 단순히 사람이 머무는 공간이 아닌, 생물다양성의 거점으로서 연구하고, 정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과거 조성된 공원을 분석하여 생물이 살 수 있는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생태연못 등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조경가 분들의 전문적 조언과 적극적인 참여가 없이는 이루어 나갈 수 없습니다. 오늘의 도시보다 좀 더 행복한 도시공간으로의 발전을 위해 다 함께 노력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