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정원|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정원
 
						-  
“강은 변함없이 묵묵히 흐르고 있다. 강은, 이윽고 재가 되어 자신 속에 흩뿌려질 시신에도, 머리를 그러안고 꼼짝도 않는 유족 남자들한테도 무관심했다. 이곳에서는 죽음이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이 똑똑..
신남례/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홍성 사운고택
 
						- 홍성 사운고택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산성리 309번지 일원에 위치한 13,860㎡의 민가주택으로, 17세기 후반 조태벽(趙泰碧, 1645~1719)이 조영한 이래 조중세, 조응식 등에 의해 중건 및 정원 ..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피로 공원
 
						- 작년 초, 특이한 분위기의 보라색 책 한 권이 주목을 받았다. 베를린 예술대학교에서 재직 중인 한국인 교수 한병철의『피로사회』이다. 이 책은 면역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 시대의 신경증적 정..
박선희/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클라이드 워렌 파크
 
						-  
Klyde Warren Park
 
미사용 중인 8차선 우달 로저스 고속도로(Woodall Rodgers Freeway) 상층부에 건립된 5.2에이커(21,000㎡) 넓이의 클라이드 워렌 파크(klyde Warren Park)는 텍사스..
환경과조경/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수원 SK Sky VIEW
 
						- Suwon SK Sky VIEW
수원 SK Sky VIEW는 SK케미칼 공장으로 사용되어오던 부지를 개발하여 공동주택으로 조성하였다. 최대 40층의 랜드마크 타워동을 조성하고 건폐율을 낮춰, 초기설계부터 보다 넓..
정관웅, 김경렬/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최재혁 _ (주)비·오 이엔씨 Be·Oh ENC 대표
 
						- 입추와 처서를 지나, 드디어 9월이다. 아직도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지만 곧 단풍을 볼 수 있겠다는 기대도 하게 된다. 또, 올해 초부터 이어온 조경계의 인물들을 소개하는 꼭지가 지면에 소개되..
강진솔/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Community Design
 
						- 한국에서 동 단위를 넘어서 이사하는 인구비율은 연20%에 가깝다. 유럽의 10배, 일본의 4배, 대만의 3배이며, 미국의 2배이다. 개발도상국도 아니고 왜 이리 자주 옮겨 다닐까? 높은 인구 이동률은 그 도시의 ..
/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커뮤니티 디자인 전개와 추구 가치|커뮤니티디자인
 
						-  
영화 설국열차가 ‘시스템 밖을 상상하라’는 암시를 던지며 마무리 짓듯이,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추상적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마을, 커뮤니티’가 재검토되고 있다. 시민사회 곳..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커뮤니티 디자인 관련 제도 – 서울시 주..|커뮤니티디자인
 
						- 커뮤니티 디자인의 출발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디자인하고, 사람과 공간, 사물과의 관계를 디자인하는 작업이다. 그래서 커뮤니티 디자인은 ‘만들지 않는’ 디자인, ‘사람을 보는’ ..
유나경/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커뮤니티 디자인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커뮤니티디자인
 
						- 커뮤니티 디자인을 통해 글로벌 이슈의 대안적 실천을 가능하게 하자지금 우리 사회의 커뮤니티 디자인을 둘러싼 가장 핵심적인 화두는 무엇일까? 마을을 기반으로 주민 스스로 자신의 정주환경을 고치며 마을..
이영범/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수원시 마을만들기 커뮤니티 디자인 사례|커뮤니티디자인
 
						- 도시의 주인은 시민이다. 지방자치의 가장 큰 힘은 시민으로부터 나오며, 지방자치는 지역에 살고 있는 시민들을 위한 행정으로 시민들과 밀접한 정책계획을 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
이재준/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인천 제물포의 6개월간의 이야기
 
						-  
인천은 1883년 개항을 기점으로 폭발적 성장을 하였다. 항만을 매립하고 도서지역을 편입시켜 도시의 면적이 170배나 확장되었다. 1968년 원도심은 인천 전체 면적의 53%였고 그 중 남구가 48%를..
오형은/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커뮤니티 공간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들
 
						- 이제 커뮤니티 디자인을 이야기할 때, 주민참여를 따로 덧붙여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굳이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디자인’이라는 장황하고 이상한 말을 쓰지 않아도 온전히 그 내용이 설명..
문정석/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미주리 한국전쟁 메모리얼
 
						- Missouri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2011년 9월 미주리주 캔자스 시티(Kansas City, Missouri)에 위치한 워싱턴 스퀘어 파크(Washington Square Park)에서 치러진 헌정 행사를 통해 미주리 한..
Tilt-Up Concrete Association/월간 환경과조경/2012년7월291호
					 
					
				 
						
				
                
        	 
            
			
			
			
         		
		
		
		
		
			
		
					
			
		  	
					
					
						
- 윤토
 - 아썸
 - 로프캠프
 - 에스에이건설
 - 가나안건설
 - (주)동림이엔씨
 - 디자인파크개발
 - 휴안
 - (주)원앤티에스
 - 이맥스아쿠아
 - 꽃길
 - 미주강화
 						
							
						 
					
					
				
					
					
					
			 
			
					
			
			
					
			
				
					
						
							
- 상명대학교
 - 엘그린
 - 브레인트리
 - 일진글로벌
 - 림인포테크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주)대지개발
 - 샘디지텍
 - 예건
 - 키즈몽코리아
 - 인포21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