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Part 1. 석재 총론, 조경공사에서의 석재..|석재
벽체공법건식공법의 시공법건식공법은 건물 구조체에 앵커anchor를 사용하여 석재를 긴결하는 방법으로 벽체습식공법에서 단점이 되었던 얼룩, 녹, 습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석재 고유의 특성을 ..
박석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3. 석재활용: 인조석재의 종류와 시..|석재
(주)명산 인조암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콘크리트패널공법(이하 패널공법), 콘크리트조형인조암공법(Handcrafted Artistic Rock 직조방식, 이하 조형인조암공법)이 있다.패널공법은 예전 제..
김득일/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수원 SK Sky VIEW
Suwon SK Sky VIEW 수원 SK Sky VIEW는 SK케미칼 공장으로 사용되어오던 부지를 개발하여 공동주택으로 조성하였다. 최대 40층의 랜드마크 타워동을 조성하고 건폐율을 낮춰, 초기설계부터 보다 넓..
정관웅, 김경렬/월간 환경과조경/20139305
Part 3. 석재활용: 식물을 적용한 에코개..|석재
일반적인 매트리스 개비온 혹은 사각 개비온은 주로 돌채움을 함으로써 물에 의한 압력과 토압의 영향을 받지 않아, 토목적 안정감을 주는 공법으로 일반화되었다. 특히 가격이 저렴하고 재료를 쉽..
박공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3. 석재활용: 인조석재의 종류와 시..|석재
(주)가나안건설은 ‘가나안아트락’을 론칭한 이래 조경, 건축, 토목분야를 아우르는 인조암의 시공을 하고 있다. 가나안아트락의 인조암 시공에 대한 철학은 바위, 물, 식재(나무)가 최적의 조합으로..
김찬수/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2. 석재의 현황과 전망: 조경소재로..|석재
인간은 지구와 더불어 살아가야 하며, 지구의 파괴는 곧 인간의 파괴’라는 인식은 근래에 들어와 더 큰 명제가 됐고, 생존과도 연계된다. 인간에 의한 지구의 파괴 현상은 때로는 기후적인 것으로 ..
문영식/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1. 석재총론, 조경공사에서의 석재:..|석재
조경이란 순수학문이 아닌 응용학문인 만큼 조경재료는 우리 분야만의 순수한 재료가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이나 예술분야, 더 나아가 IT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까지도 조경재료의 범주..
김세천/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2. 석재의 현황과 전망: 조경용 석..|석재
얼마 전 모 방송사에서 석면이 묻은 조경석에 대한 내용이 보도되었다. 폐광의 관리에 대한 방송이었는데, 생태하천 등에 사용된 조경석에 다량의 석면이 검출되었다는 내용으로 이야기를 풀고 있었..
홍재설/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3. 석재활용: 개비온의 유형과 특성|석재
개비온은 약 7,000년간 이어져온, 우리 가까이 있는 구조물이다. 이는 이집트 파라오 시대에 갈대로 엮어 만든 바구니에 돌을 채워 나일강 제방을 쌓은 것으로부터 유래했다. 약 130년 전부터 유럽..
송안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2013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2013년 조경분야 이슈로 ‘정원’을 빼놓을 수 없다. 국제정원박람회가 순천에서 개최되었고, 정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지속된 한해였다. 여기에 대한민국 조경학도의 최대 설계공모인 ‘대한민국 환..
/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복자기|조경수
여름 내내 푹푹 찌는듯한 무더위와 씨름을 하고 서서히 찬 바람이 불때, 산골짜기를 비롯하여 가까이에 있는 가로수, 공원수마다 울긋불긋 곱게 물드는 단풍의 계절이 매년 어김없이 다가온다. 특히..
이선아/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Part 3. 석재활용: 주요 석재와 시공사례|석재
(주)일신석재는 1971년 일신석재공예(주)로 설립된 이래 ‘균형적 흑자경영을 통한 고객만족 및 사회공헌’이라는 경영이념과 ‘핵심경쟁력 강화, 시장차별화 선도’라는 경영방침 아래 전 사원이 일치..
김현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물별이끼, 세모고랭이, 좀부처꽃|수생식물
물별이끼과명 _ 별이끼과(Callitrichaceae)학명 _ Callitriche verna L.(Callitriche fallaxPetrov)자생지 _ 논, 논둑, 도랑형태 _ 물속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1년생 수초로서, 초장이 10~20㎝ 정도..
류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13971
1 2 3 4 5 6 7 8 9 1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