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리 벨빌 공원의 놀이터
- Playground in Belleville Parkin Paris이 프로젝트는 2003년에 CODEJ(Comite pour le Developpement de l’Espace pour le Jeu, 놀이공간 개발위원회)가 협의 작업을 주도한 이후에 진행되었다. 어..
BASE Landscape Architecture/월간 환경과조경/2011년8월280호
- 통의동 옥상정원
- Tongui-dong Roof Garden경복궁의 서문인 영추문이 있는 효자로에서 ‘통의동 주택(구 열린책들 사옥)’을 만날 수 있다. 서쪽으로는 인왕산이 하늘을 채우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평지에서 높직이 솟아..
이홍선/월간 환경과조경/2011년8월280호
- 제21회 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
- 어제와 같은 오늘, 조경의 미래는 없다어느덧 성인의 나이를 넘겨 21회를 맞이한 ‘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가 지난 5월 20일 (금) 광나루 한강공원 제3축구장에서 열렸다. 이날은 눈부신 하늘을 ..
김세영/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제8회 도코모모 코리아 디자인 공모전
- 근대건축보존단체인 도코모모코리아가 주최하고 월간〈환경과조경〉등이 후원한 제8회 디자인공모전의 심사결과가 지난 5월 31일 발표되었다. ‘캠프하야리아의 미래는(adaptive re-use of camp hial..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좌담회: 도시농업, 조경을 말하다
- ·일시_ 2011년6월4일토요일·장소_ 경기도수원시농촌진흥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참석자_ 송정섭(좌장), 김연금, 김현대, 이병연, 안명준, 유승종, 윤상준, 이유미, 함성호(좌장외가나다순)지난 2011년..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영국: 지속적인 생산적 도시 경관: 필수 ..
- CPUL과 CPUL 도시의 개념CPUL(ontinuous productive urban landscape) 개념은 현대 도시 설계에서 생산적 경관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탐구를 위한 전략과 공동의 틀을 제공한다. ..
캐드린 본 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캐나다: 도시 농업의 부활
- Revival of Urban Agriculture프렌치 프라이는 채소가 아니며 브로콜리는 비닐 포장 된 채 슈퍼마켓 냉장고에서 자라나지 않는다. 캐나다 및 북미 지역의 많은 가정은 호박을 심거나 잘 익은 토마토..
다니엘 로 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일본: 근교 도시 문화 경관으로서 농업 경..
- Value of Agriculture Landscape as an Cultural Landscape in suburban towns들어가며도시농업은 현대 사회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과거의 농지는 도시 성장을 위한 개발 부지로 인식되었지만 “도시..
손용훈/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태국: 방콕의 식량 공급 범위 패턴에 대한..
- The Impacts of Food Miles on The Pattern of Footprint of Bangkok’ Food supply서론방콕 도시농업의 현주소태국의 수도인 방콕에는 지명과 관련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 ..
캉노와리 슈티스론/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모로코: 양방향 도시화: 도시농업 기반의 ..
- Dual Track Urbanism: An Innovative Concept for IntegrativeUrban Development Based on Urban Agriculture인구가 100만 명이 넘는, 미래 거대 도시가 직면하게 될 일들을 몇 가지 정도로 꼽아본..
앤드레아 루 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케냐: 복원력을 갖춘 도시 개발을 위한 인..
- An Incentive for Resilient Urban Development개요케냐에서의 도시농업은 단지 식량 생산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깨끗한 공기제공, 경사면과 하상 보호, 그리고 도시의 녹색 이미지 구축 등에 있어..
잉그릿 뒤케르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네덜란드: 대도시의 농업
- Metropolitan Agriculture초록네덜란드는 농업 역사가 강하고 인구 밀도가 높은 나라이다.산업화되고 진보한 기술을 가진 농업으로 유명하다. 최근의 다양한 발전은 로컬 푸드 계획의 출현..
잉그리드 더치하드 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미국: 커뮤니티 가든의 폭넓은 역할
- Various Roles of Community Garden미국에서의 도시농업은 영리 및 비영리 단체, 정부 기관 그리고 비공식 조직 등 다양한 형태의 기관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가든community garden, 청소년 트레이..
데이빗 헤스/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특별기고: 도시농업, 소통으로의 새로운 ..
- 산업사회를 거치며 생산성과 경제성의 원칙으로 재편된 우리의 도시 구조는 이제 급변하는 정보사회의 조류 속에서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재정립을 요구..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특별기고: 쉬울 것도 같고 어려울 것도 같..
- 마치 명절 때 몰리는 귀향 행렬처럼 흙에 대한 그리움이 도시농업에 몰리고 있다. 농촌으로 귀농하는 것보다는 좀더 손쉬워 보이는 도시농업에 대한 유혹이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 같다. 그렇..
안철환/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윤토
- (주)동림이엔씨
- 이맥스아쿠아
- 에스에이건설
- 디자인파크개발
- 미주강화
- 가나안건설
- 꽃길
- (주)원앤티에스
- 아썸
- 로프캠프
- 휴안

- 샘디지텍
- 림인포테크
- 일진글로벌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키즈몽코리아
- 브레인트리
- (주)대지개발
- 인포21c
- 예건
- 엘그린
- 상명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