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농업 특별기고: 도시농업, 조경을 말하다
- 산업화 이전 1960년대는 경제력이 매우 취약했던 시절이다. 먹고 살기에 급급했었다. 당시 조경은 미미하거나 아예 개념조차도 보이지도 않았다. 대신 텃밭은 생활의 중심이었고 이를 배경으로 마당..
신동헌/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특별기고: 도시농업의 매력과 가치
- 아파트 주변 주말 농장이나 도심 텃밭, 옥상의 채소 정원. 요즘 부지런한 도시 농부들이 밭을 일구고 고추, 상추 등 신선한 채소를 심느라 한창이다. 가족의 먹을거리를 안전하게 내 손으로 생산한..
송정섭/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특별기고: 도시농업과 생활 속 녹색 인프..
- 도시농업은 도시의 녹색 인프라 구축이라는 큰 틀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녹색 인프라는 “시민 건강, 환경 복지, 생태 환경”을 추구하는 보다 종합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2010년 기준 지..
양홍모 /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특별기고: 도시농업은 삶의 미적(美的)실..
- 요즈음 도시에서는 농(農)을 즐기(樂)는 일이 자연스럽게 전개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도시민들이 도심(都心)에 농업을 끌어들여 즐기고 이용하며 뭔가를 생산하고자 하는 도시농..
이종석/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특별기고: 도시농업은 새로운 복지 정책이다
- 대하소설『토지』의 저자 故박경리 선생은 집필로 바쁜 가운데에도 텃밭을 일구었다. 박경리 선생은 텃밭에서 손수 가꾼 채소나 나물 등을 후배 작가나 지인들에게 반찬으로 내놓거나,집으..
김학용/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도시 텃밭이 만든 건강한 삶, 경제적인 삶
- 도시농업 생산물의 가치도시농업 생산물의 경제적 가치는 매우 적다. 대부분의 주말 농장이나 텃밭의 기준 재배 면적은 16.5㎡(5평) 전후이다. 이 면적에서 얻을 수 있는 농산물의 양은 재배 여건에..
정명일/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생산적 도시 경관 설계
- 도시농업과 조경지난 몇 년간 국내외 현상 설계 및 설계 공모전에서는 생산적인 도시 경관과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개념적으로나 그림으..
이유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도시농업과 정책 제도
- 도시농업 국내 제도우리나라에서 도시농업에 대한 조례를 처음으로(2009년 12월 31일) 만든 곳은 광명시이다. 광명시 시민농업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이며, 이 조례는 환경과 생명을 살리는 시..
이양주/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도시농업과 환경 복지를 잇는 커뮤니티 ..
- 최근 도시농업이란 용어가 뜨고 있는데 이는 친환경, 녹색이라는 최근의 트렌드 속에 안전한 먹거리 확보라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가 깔려있고, 참여자들이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역..
김승환/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도시 문제의 새로운 해법, 도시농업
-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도시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겪게 되었다. 대기 오염, 수질 악화와 같은 일반적인 도시 환경 문제 외에도 지나친 토양의 피복이라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선진화..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도시농업, 도시 공원의 새로운 흐름
- 도시농업에 대해서 요즘 새롭게 생각해 본다. 도시농업이란 무엇일까? 농업의 한 형태일까, 아니면 도시의 토지 이용의 한 형태일까? 농업인에게 도시농업은 농업의 일부로 보일 것이고, 조경인에게..
이강오/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도시농업과 도시 재생
- 도시농업은 새롭거나 유별난 것이 아니다. 오랜 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 농업을 하고 있었다. 마을에 버려진 땅을 훌딱 고랑을 만들고 채소밭으로 만드는 우리 주변의 할머니,..
김인호/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생산에 관하여
- 농경은 농업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이해 이상으로 생산이라는 특권을 향한 인프라스트럭처와 어바니즘, 건축, 조경의 변형이다.대부분의 나라에서처럼 한국도 산업화 이전에는 농업이 최우선적인 경..
Katherine Bennett/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영국 얼롯먼트를 통하여 본 도시농업과 ..
- 언제인가부터 도시농업이 우리 주변으로 가까이 다가왔다. 하지만 아직 그 실체가 체감되고 있지는 않다. 현실적이기 보다는 의미적으로 보다 다가왔다는 말이다. 이것은 아마도 환경에 대한 자각과..
윤상준/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도시농업: 농사로 가꾸는 도시, 풍경 텃밭
- 도시농업의 대중예술화를 위한 조경義生於衆(의생어중)많은 사람들의 의견 속에서 올바름도 생긴다도시농업을 주제로 몇 가지 활동을 하면서 돌아보게 된 우리집 주변의 텃밭은 이미 일상의 손쉬운 ..
안명준/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윤토
- 이맥스아쿠아
- 꽃길
- 에스에이건설
- 휴안
- (주)동림이엔씨
- 로프캠프
- 디자인파크개발
- 아썸
- (주)원앤티에스
- 미주강화
- 가나안건설

- 림인포테크
- 엘그린
- 브레인트리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일진글로벌
- 인포21c
- 키즈몽코리아
- (주)대지개발
- 상명대학교
- 예건
- 샘디지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