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일본의 명원(1)
일본인의 자연관과 일본정원일본인들은 원생자연이라는 것은 본래 거칠고 무질서한 것이기 때문에 아름답지 않은 것으로 본다(이어령, 2012:180). 그러한 까닭에 일본인들은 흠이 많은 원생자연보다..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특집3. 국내ㆍ해외 작품리뷰 _ 알바로 시자 홀
위치|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일대규모|건축면적 745㎡건축 및 인테리어설계| Alvaro Siza(포르투갈), 힘마조명설계|Bitzro조명시공|세원전설도입된 조명기구|선형 지중등, 지중등
Bitzro/계간 조경생태시공/20091256
정원만들기(12); 연못
정원에 연못을 만드는 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이 요구되지만, 설치 후에는 보고 듣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고기와 수생식물, 심지어는 야생조류가 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지게 된다.연못의 형태는 정..
이상석/계간 조경생태시공/2006925
소나무 병해충 방제
조경수목은 산림수목과 달리 해충의 피해로 인한 수세쇠약, 수형파괴, 고사목 등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부적당한 환경조건에 식재되어 수세 쇠약에 의한 합병증으로 해충이 발생되어 나타나는 ..
이승제/계간 조경생태시공/200331
아파트조경 우수사례
인천청천동 금호타운본 단지는 소형평형과 대형평형이 복합되어 있는 대단위 단지로 주민들의 융화감에 역점을 두어 공동의 집합적인 광장으로 조성, 우리의 전통 옛마당의 개념을 적극 도입하였다. 광장에는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96134
Part 2. 실내조경 업체 대표작 특선
Special Selections of Companies Related to Indoor Landscape 실내조경의 확대와 함께 그와 관련된 업체들이 많이 생겨났고, 분야도 함께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그중 실내조경분야에서 자신만의 전문성을 ..
/계간 조경생태시공/20121268
목재 휴게시설물의 제작, 시공, 관리시 유의사항
인류가 농경생활에 정착하고 취락을 형성하던 시기에 가장 먼저 사용했던 건축재료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석재와 목재였을 것이다. 그중에서 목재는 석재에 비해 가볍고 가공이 용이해 흔히 ..
장재경/계간 조경생태시공/20101260
숲, 가장 완벽한 댐
해마다 여름이면 폭우로 인해 전국의 많은 지역이 피해를 입는다. 이러한 재해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인재라는 의견이 많으며, 다목적 댐을 더욱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물론 다목적 댐..
/계간 조경생태시공/2008848
서울 6백년과 조경 ; 미아교통광장 ‘삼각녹지분수’ - 도봉구청, 개청 20..
위치 : 도봉구 미아동 860-2의 1필지 면적 : 654㎡(약 198평)▶시행자 : 서울시 도봉구청 설계자 : 극동건설(주) 엔지니어링 조경부 극동건설(주) 조경사업부가 설계한 이 상징조형물을 도봉구의 상징 산..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4472
현장의 여름, 세 번째 이야기
8월의 현장 일지 대학 후배가 실습생으로 왔다. 여름 방학 내내 현장에서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5년 전의 내 모습이 떠오른다. 아무 것도 모르고 실습 나오자마자 지방 현장에 배치되어 한 달간 일한게 엊그..
홍태식/계간 조경생태시공/2007937
제8회 한국조경작품전 추천작
1. 금마 고도문화 휴양단지 개발 계획출품자 : (전주 우석대 조경학과) 김미숙, 김선영, 이민숙, 임흥식, 최경옥작품평 : 박재철 교수본 계획에 참여한 학생들은 전통과 휴양을 결합시키고 창조적으로 계승하..
김영대/월간 환경과조경/1992650
바질
Basil이번호에 소개할 허브는 잘생긴 남자 연예인 고수와 함께 올해 CF촬영을 한 식물로 TV광고뿐만 아니라 피자, 스파게티 등의 광고포스터에 주로 많이 나오는 인기 허브식물이다. 특히 이선균, ..
김상민/계간 조경생태시공/20121268
정원만들기(8); 계단
1. 개요 우리나라의 지형은 기복이 많으므로 대부분의 정원에서 계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계단은 오르내리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되므로 잘 만들어진 계단은 정원의 중요한..
이상석/계간 조경생태시공/2006521
조경은 예술을 필요로 하는가? - 조경과 미술
현대에 들어와 조경에 대한 인식이 조금 달라지긴 했으나 조경은 아직까지도 대규모 원예와 유사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듯하다. 그 동안 많은 조경가들이 설계안을 내고 경관론을 전개하며 조경의..
박정욱/월간 환경과조경/20023167
문화재와 사적공간 ; 문화재 조경의 바람직한 방향
문화재의 유형 중 조경분야에서 관여할 수 있는 분야는 기념물과 중앙민속자료이며 기념물은 사적,명승, 천연기념물로 구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특별시, 직할시 및 각 도의 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시,도..
정동오/월간 환경과조경/1992448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