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자연향한 애정 글로 풀어내 _ 대구직할시 환경녹지국 이정웅 녹지계장
임업직공무원으로 소멸되어 가는 한 도시의 역사와 자연을 되살리고자 오랜 세월을 노력하는 이가 있다. 대구지역 향토사라든가 산기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3763
조경분야로서의 사회적 인식
공업화와 근대화의 강력한 추진으로 지형이 크게 바뀌고, 또 자연경관에 인위적 훼손을 가져오기도 했으나, 그런 반면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또 국민들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여..
정충식, 장문기, 정재훈, 유원규/월간 환경과조경/198271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_ 선후배간의 정을 돈독히 쌓아가는 대학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가족이 되면 저렴한 등록금 _ 충남 유일의 국립종합대학으로 등록금이 매우 저렴하여 아주 적은 학비로 공부..
박은혜/계간 조경생태시공/2008747
명자나무
특성 명자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 왔는지는 기록이 확실치 않고 경남북도, 황해도에서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낙엽 관목으로서 키가 2m 내외로 여러 가지로 갈라져 잔가가지가 많이 나와 ..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27
잊혀져가는 생활현장 보존·개발 기본계획
프롤로그탄광지역은 오늘날 우리나라 산업화의 가장 대표적인 상징 중의 하나였으나, 폐광이후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역사의 퇴물이 되고 있다. 이미 사람들은 그곳을 떠..
김현정/월간 환경과조경/20056206
아티초크
Artichoke150여 종의 허브를 재배관리하면서 “이 식물은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하며, 쓰임새를 모른 채 몇 개월이란 시간이 지나서야 알게 된 허브들이 많았다. 처음에는 관수, 병해충방제, 배달 ..
김상민 /계간 조경생태시공/2012967
난센파크
Nansen ParkPREVIOUS STATE오랫동안 매우 아름답고 다양한 경관을 가지고 있던 경작지가 1940~1960년대 오슬로 국제공항이 들어서면서 평지가 되었다. 1998년에 공항이 후면 왼쪽으로 이전하면서, ..
Bjørbekk & Lindheim/월간 환경과조경/20105265
연꽃, 수련 외
연꽃연못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주형이고 마디가 많으며 가을철에 끝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근경에서 나와 물 위에 높이 솟고 원형에 가까우며 백록색이다. 또한..
유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09353
롱우드가든
 롱우드가든(Longwood Gardens) 다국적 화학기업 듀퐁사 창업주의 증손자 피에르 듀퐁에 의해 지난 1906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롱우드 가든은 4.2 ㎢ 의 면적에 약 1만 1천여 종의 식물..
이학섭/월간 환경과조경/20088244
도시설계공모전
지난 10월 22일 (사)한국도시설계학회가 주최한 도시설계공모전의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아 “Redesign of urban space”를 주제로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다수의 대학(원)생들이..
/월간 환경과조경/201012272
비오톱정원의 입지선정
비오톱 가든의 입지 선정어떠한 입지 조건에서도 만들 수 있는 것이 비오톱 가든이기는 하지만, 모든 비오톱 가든의 유형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입지조건에 따라 제한되는 유형도 있는데, 주의해야..
조동길, 김근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444
조선대학교 장미원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75번지면적 : 5,299㎡(1,603평)설계 : 삼성에버랜드(주)식재시공 : 뉴코리아 장미원예시설물시공 : 남영건설(주), (주)남해안전조경사업비 : 9억2천6백만 2003년 ..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47195
물억새와 줄
물억새 과명 : 벼과(禾本科, Gramineae) 학명 :Miscanthus saccariflorus (Maxim.)Benth. 자생지 : 논, 논둑, 냇가, 습지 이름의 유래 : 속명‘Miscanthus’는 그리스어 ‘Mischos’(줄기小花梗)와 ‘Ant..
유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08242
대성사 - 상토 생산 30년, 부엽토의 산 역사
30년 역사를 자랑하는 상토의 산실 조경수목 이식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토양개량제인 상토의 역사는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실, 1960년대 후반은 낙엽을 땔감으로 사용하던 그야말로 어려..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210174
자연형 호안공법의 원리
자연형 호안공법이란 자연상태의 하천에서처럼 식물을 이용하여 물과 바람으로부터 하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식물을 이용한 호안공법은 시멘트와 콘크리트가 없었던 중세에 이미 그 기원을 찾..
김혜주/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