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서울시 푸른도시국 최광빈 국장
도시녹화사업, 문화를 담아내는 소프트웨어에 주력할 터“공원녹지를 조성해 시민들에게 행복감을 주는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공직생활은 베푸는 마음으로 즐기면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
김세영/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새 박사 원병오 교수
평생을 새와 함께 해온 한국 조류학의 산 증인, 피상적 생태복원에 쓴 소리한국 조류학의 살아있는 증인새 박사 원병오 교수. 그는 오직 새에 대한 남다른 사랑과 열정으로 6·25 전쟁의 폐허 속에 ..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도시의 강과 문화 & Waterfront』展
인류의 삶과 문화의 장으로서 도시 수변공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담다..세계 4대 문명이 모두 강을 중심으로 발생했으며 역사 속의 수많은 나라들이 물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영토전쟁을 벌였던..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2010 Jara Island International Baggat Art Exhibi..
바깥미술전지난 1월 30일부터 2월 11일까지 경기도 가평 자라섬 내 중도에서는“화해和諧, 그리고 은유의 숲”이라는 주제로“2010 자라섬 국제 바깥미술전”이 열렸다. 바깥미술전은 자라섬의 자연을 ..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광화문광장 공공시설물 아이디어 공모전
한글을 주제로 새롭게 디자인되는 광화문 광장서울디자인재단은 지난 1월 22일 ‘광화문광장 공공시설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대한 수상식을 가졌다. 한글을 주제로 한 이번 공모전은 광화문광장 내 ..
김세영/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Namgye Seowon
남계서원 Namgye Seowon which is located in 586, Wonpyeong-lee, Sudong-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s 4,810㎡ area. It was given the name “amgye”in the 19th year of King Myeong..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01261
스튜디오 101, 설계를 묻다(14)
마무리의 시작1년 넘게 허덕거리며 꾸려오던 연재의 릴레이를 마감할 시간이 왔다. 타고난 글쟁이들이 아닌 탓에 매달 원고 마감이 다가올 즈음엔 으레 필자들 사이에 한숨과 안타까움이 배어있는 ..
김아연/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Nya Arstafaltet Architecture Competition
모더니즘의 경관“…스톡홀름 시는 니야 아라스타팔테트(Nya Arstafaltet)에 새로운 주거지와 1950년대에 스톡홀름을 세계적인 도시로 만든 고전적인 공원 조경의 전통을 이어받을 세계적인 수준의 새..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Joseph J.Lalli, CEO of EDSA
Q1 _ EDSA was founded in 1960 and well known hospitality planning and design internationally, conducting projects over 90 countries and is one of the largest landscape architectural de..
윤홍범·EDSA 어소시에이트/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Al Ain Wildlife Park & Resort
알 아인 야생공원과 리조트Sustainable planning and design has evolved into a very dynamic practice as it gains popularity through necessity. Although there are many disciplines in the d..
Gregg Sutton, 윤홍범/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Thinking Publicness through Keyword
키워드로 들여다 본 공공성 이야기공공성에 대한 단상(斷想)지극히 주관적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도시를 포함한 공공공간에 있어서 ‘공공성’이 조금씩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95년 이후 실시된 ..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Secure of the Publicness
주민, 공공성을 확보하다만드는 사람과 사용하는 사람. 이들이 서로 의논을 통해 제품을 만들면 쓰임새가 더 좋아질 것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물건을 만들기만 해도 잘 팔리던 시절이 있었..
최성용/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The Publicness i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G..
조경에서의 공공성, 착함에서 현명함으로공공적 조경, 착한 조경? 조경현상설계만 모아 놓은 책자를 펼친다. 그리고 그 안의 글을 읽어 본다. 지역의 고유성과 문화적 기억 남기기부지 내에 조용..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 Its Signification..
도시공간의 공공성: 그 의미와 중요성1접근성, 개방성, 연계성, 쾌적성...지금까지 잡지, 신문 등의 언론과 건축 및 도시 분야의 연구 등에서 도시공간의 공공성의 대상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어 온 ..
염철호/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Perry Green 헨리 무어의 페리 그린
페리 그린은 영국 현대조각의 개척자인 헨리 무어(1898~1986)가 그의 아내 이리나와 함께 46년간 생활하면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한 곳으로 현재 헨리 무어 재단의 야외 전시장으로서 그의 많은 작..
윤상준/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