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0 : 프롤로그
- 거꾸로 하는 시간 여행역사를 서술할 때 대개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천지창조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러다보면 언제 우리가 살고 있는 시간대에 도착할지 까마득해진다. 마치 등산을 할 때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1월309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8 조용한 멕시코 혁명
- 실물은 멕시코에 있으므로 직접 보기 쉽지 않지만 조경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디선가 한번쯤은 사진으로라도 접해보는 것이 루이스 바라간의 정원이다. 벽 위에 높게 매달린 좁은 수로를 통..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7 1968년 세대
- 20세기 조경사를 연구하다 보면 이상한 현상과 만나게 된다. 1970년, 1980년대에 이렇다 할 작품이 없는 것이다. 생태의 물결에 밀렸다고는 하나 그렇다고 조경가들이 모두 놀고 있지는 않았다. 할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6 르 코르뷔지에, ..
- 업적보다 명성이 앞서는 인물들이 있다. 스위스 출신의 유명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1887~1965)가 바로 그런 케이스인 듯하다. 물론 그가 20세기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3) 분석만 하기
- 대상지, 그 진부함또 대상지에 대한 이야기인가? 미안하지만 이제 대상지 이야기는 그만 들어도 될 것 같다. 학교를 다니는 내내 대상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지겹도록 들어왔다. 선생님들은 늘 말..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백년 동안의 고독, 마술적이고 신화적인 ..|조경가의 서재
- 누구에게나 글을 읽기 시작한 이후로 한두 권의 책은 가슴에 남아 있는 법이다. 이번에 소개하는 책은 사실 조경이나 인접 전공 분야와 크게 관련이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초등학교 2학년 때쯤이었..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감성과 물성 사이|그들이 설계하는 법
- 1 쌀 540g, 콩나물 데친 것 100g, 애호박 200g, 고사리 삶은 것 150g. 여기에 사골육수 800ml, 육회 150g, 미나리 데친 것 100g, 도라지 100g, 마른 표고버섯 물에 불린 것 10g, 무 채 썬 것 80g, ..
박승진/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 속으로(3)
- 아티스트의 작업들은 프로젝트에 몰두한 디자이너가 미처 깨닫지 못한 감수성을 확장해 왔다. 자연과 도시경관에 대한 개입을 통해 환경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온 크리스토 & ..
최이규/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두 번째 공간 탐색, 무교공원
- 무교공원? 아마 익숙하지 않은 지명일 것이다. 서울파이낸스센터의 청계천 쪽 측면에 자리하고 있는, 반듯한 이미지의 조경 공간이라고 말하면 그제야 고개를 끄덕이는 이들이 꽤 있지 않을까. 조성된 지 12년..
정욱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5 : 춤추는 창문의 ..
- 에른스트 크라머가 “시인의 정원”을 조성한 바로 그 이듬해인 1958년, 오스트리아 제카우라는 곳의 한 수도원에서 “건축의 합리성에 대한 곰팡이 성명서”를 발표한 기인이 한 사람 있었다. 프리덴슈..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2월310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4 : 생태가 미학을..
- 헤르베르트 드라이자이틀Herbert Dreiseitl(1955~)은 현재 독일, 미국, 중국, 싱가포르에 각각 아틀리에를 운영하고 있는 대형 디자인 오피스의 디자이너지만 30년 전만 해도 본인이 제작한 캐스케..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2월310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3 : 생태파시즘 - “..
- #3 : 생태파시즘 - “철쭉은 뽑아버려라!”1990년대의 조경가들이 에른스트 크라머의 “시인의 정원”을 ‘재발견’했다는 사실은 다시 말하면 그동안 잊고 있었다는 뜻이 된다. 그가 1957년에 제시했던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2월310호
-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2) 말로 때우기
- 개념과 형태의 경계에서여기 곤란에 처한 두 학생이 있다. 그림을 꽤 잘 그리는 박군은 설계 과제를 하면서 다른 친구들처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트레이싱지 위에 선을 ..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2월310호
- 로프캠프
- 윤토
- 가나안건설
- (주)동림이엔씨
- 미주강화
- 아썸
- 이맥스아쿠아
- 에스에이건설
- 디자인파크개발
- 휴안
- 꽃길
- (주)원앤티에스

- 엘그린
- 예건
- 인포21c
- 브레인트리
- 림인포테크
- 상명대학교
- 샘디지텍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일진글로벌
- 키즈몽코리아
- (주)대지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