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당연한 것이 모두 정답은 아닙니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박광윤/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151
청주대학교 조경학과 _ 조경이라는 이름아래 모두..
조경학과의 과노래인‘조경가’중 일부분입니다. 언제 어느 선배들이 만들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선배들이 만든 이 노래는 후배들에게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선배와 후배 모두 하나 되는 청..
전봉수/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151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를 다녀와서
람사르협약 및 람사르 당사국총회지난 10월 28일부터 11월 4일까지 8일간의 일정으로 우리나라의 경남 창원에서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COP10_The 10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
구본학 /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151
제10차 람사르총회에서 만난 사람, 김태호 경상남도..
환경올림픽이라 불리는 제10차 람사르총회가 경상남도 창원에서 개최되었다.국제적인 행사를 유치하게 된 과정과 본 행사의 의미는? 경상남도는 다양한 습지를 비롯하여, 지리산과 한려해상국립..
나창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151
추상미술은 난해한가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성낙/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151
무위조경(無爲造景)-빼기 조경
최근 조경분야에서 크고 작은 설계공모전이 많아지면서 과잉설계 논란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당선되기 위하여는 심사위원의 눈길을 끌어야 되므로 과장된 표현과 과도한 설계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심사..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Olympic Sculpture Park in Seattle
이 지역은 Unocal(Union Oil of California)의 소유지로 원래는 원유를 이송하는 업체가 사용하던 공간이었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전 12만톤에 이르는 오염된 지역을 제거하고 작업을 본격..
김규형/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Life Enrichment Center Garden
 The Life Enrichment Center는 미국에서 물리적 치료와 정신적인 핸디캡을 치료하는 기관의 하나로써, dirtworks가 맡았던 프로젝트는 시설과 가장 근접한 지역에 환자들과 노인들을 위한 정..
김규형/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군마 곤충의 숲
군마 현립 '군마 곤충의 숲'은 일년 내내 곤충을 관찰할 수 있고 실제로 곤충을 만져보고 학습할 수 있는 곤충 체험공원으로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1995년 가을에 계획이 되어 1997년 4월 현장 ..
오정민/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에딘버러 왕립식물원
 세계적으로 식물원은 많이 있지만 식물원의 종합적인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그 중 스코틀랜드에 위치하고 있는 에딘버러 왕립식물원(The Roya..
김종근/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반포분수
서울의 대표적 경관요소이자 관광코스 중 하나인 한강에 새로운 명물이 탄생했다. 서울시는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중인 반포권역 특화사업의 핵심사업인 반포대교 낙하분수(이하 반포..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해머링 맨 시민광장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중 하나인 ‘해머링 맨(Hammering Man) 시민광장 조성사업’이 완공되어 새로운 모습으로 시민들에게 선을 보였다. 대표적인 현대미술가인 Jonathan Borofsky가 제작한 ‘해머링..
백수현/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법주사(法住寺)
造營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황룡사와 함께 창건되었고, 의신조사, 진표율사, 영심사 등으로 이어져, 성덕왕 19년(720) 중건을 거치며 범상종의 도량으로서의 성격을 확고히 갖추게 되었..
이석래ㆍ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2008 국내 대학 조경학과 교과과정 현황 및 변화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우선시하고 이를 뒷받침할 만한 쾌적한 환경조성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 조경의 역할과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호주 조경교육의 지향점
들어가며 요즘 각 영역간 자신들의 영역에 대한 논쟁들이 많다. 서로 자신들의 영역을 주장하고 있고 그중 조경인들은 상대적 약자로서 목소리를 높이는 분위기인거 같다. 하지만 건축, 조경, 도시..
김무한/월간 환경과조경/20081124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