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GHTMIX
- LIGHTMIX는 설치공간내 입체적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신개념 3D 조명시설의 이름이다.
다채로운 색감과 디자인
본 제품은 지나는 사람들의 시선을 일순에 붙잡을 수 있는 가시성을 지니고 ..
리스비젼/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4월44호
- 비오톱정원의 입지선정
- 비오톱 가든의 입지 선정어떠한 입지 조건에서도 만들 수 있는 것이 비오톱 가든이기는 하지만, 모든 비오톱 가든의 유형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입지조건에 따라 제한되는 유형도 있는데, 주의해야..
조동길, 김근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4월44호
- 모과나무
- 분포
모과는 나무에 달리는 참외 비슷한 열매라 하여 목과(木瓜) 또는 목과(木果)라 쓰기도 한다.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 Koehne)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
이선아/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4월44호
- 보스톤 워프 디스트릭 파크
- ‘Big Dig’프로젝트로 잘 알려져 있는 보스톤 Rose Kennedy Greenway는 보스톤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6개의 고가도로를 지하화하고 지표면을 복원해 녹색의 긴 오픈스페이스로 조성하는 계획이..
Copley Wolff Design Group/월간 환경과조경/2008년4월240호
- 역사경관과 조경설계
- 역사경관 보존 제도우리나라 헌법은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제9조) 및 국토자원의 합리적인 보호이용(제120조 2항)을 위한 제한과 의무(제222조)를 규정하고 있으며, 문화재 보존 및 관리와 관련해서 ‘문화재..
신상섭/월간 환경과조경/2008년4월240호
- 익산 베어리버골프리조트 클럽하우스
- 서해안 고속도로 군산IC를 빠져나와 우회전하여 직진. 금강변 벚나무길을 따라 가노라면 돛이 누운듯한 형상으로 약간은 이질적인 느낌을 주며 호기심을 자극하는 큰 건물을 만나게 된다. 바로 베어..
윤상준/월간 환경과조경/2008년4월240호
- 역사경관의 죽음과 삶
- 얼마전 우리는 얼굴을 잃어버렸다. 남대문은 관료적 명칭인 「국보 제1호」이기 이전에 서울의 얼굴이었고 한국의 얼굴이었으며 무엇보다도 우리 자신의 얼굴이었다. 한국인의 공동체적 가치를 상징해오던 이..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08년4월240호
- 과학과 디자인_ 조화의 모색
- 이번 글은 도시생태보호, 보존 및 복원에 관한 시리즈 중 두 번째이다. 조경가로서 훈련받고 지난 25년 동안 큰 규모의 공공 및 개인 소유의 서식처 복원 프로젝트의 디자인 및 시공을 중심으로 일해왔다. 이..
Michael Popiwny/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4월44호
-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 한반도 대운하 친환경성
- 한반도대운하에 대한 환경문제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운하를 찬성하는 환경·생태 관련 주장들을 크게 수질 오염, 생태계 교란, 홍수 발생 등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수질오염경부운하를 건설..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8년3월239호
- 창간 5주년 기념 특별좌담 "생태조경의 현황과 과제"
- 좌장_ 정태건 상무이사(금호ENC(주))패널_ 김남춘 교수(단국대학교) / 김현수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변우일 원장(리드환경연구원) / 홍태식 대표((주)청산EL)
정태건 : 오늘 토론하는 내용들은 <조..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3월43호
- 도시생태복원의 사례와 기술
- 글에 들어가기 앞서, 우리는 이처럼 좋은 기회를 통해 한국의 생태복원의 발전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전하고 싶다.
인구의 증가와 생태계의 변화지구상에 존..
Ken Yocom, Ph.D/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3월43호
- 애기부들, 큰부들, 부들
- 부들속 식물의 구분 및 조경식재 방법
자화수와 웅화수 사이에 꽃이 없는 나출된 화축이 있는 것이 애기부들이며, 자화수 바로 위에 웅화수가 있어서 그 사이에 꽃이 없이 나출된 화축의 부분이 없..
유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3월43호
-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 운하건설은 환경대재앙을..
- 평지형 국토, 연중 고른 강수량의 유럽과 비교하면 안돼강 위에 선박이 다니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 평범한 사실에서부터 운하건설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 운하 찬성론..
박진섭/월간 환경과조경/2008년3월239호
-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 한반도 대운하 건설의 비..
- 운하,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변화 한반도 대운하 건설의 타당성을 두고 ‘자연조건의 적합성’, ‘홍수 대처 능력’, ‘물동량과 물류비 절감의 정도’, ‘건설비용’, ‘생태계 파괴’, ‘식수원 오염’, ‘대..
조세환/월간 환경과조경/2008년3월239호
- 가나안건설
- 꽃길
- 휴안
- 디자인파크개발
- (주)동림이엔씨
- 에스에이건설
- (주)원앤티에스
- 미주강화
- 윤토
- 아썸
- 로프캠프
- 이맥스아쿠아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키즈몽코리아
- 샘디지텍
- 림인포테크
- 일진글로벌
- 엘그린
- (주)대지개발
- 인포21c
- 브레인트리
- 상명대학교
- 예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