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AGRI-TECTURE: 하이라인 오픈 스페이스 설계경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정욱주/월간 환경과조경/20055205
벚나무, 진달래의 주요 해충과 흰불나방
이번호에는 벚나무에 많은 피해를 입히는 주요 흡수성 해충인 벚나무 응애, 벚나무 깍지벌레와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에 대해 살펴보고, 그 외에도 주요 관목소재인 진달래에 많은 피해를 입히는 진달래 방패..
이승제/계간 조경생태시공/200394
금호도 개발 기본계획 ; 광양제철소 주거단지 개발 기본계획
-발주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위치 : 전라남도 광양군 골약면 금호도 일대 -면적 : 총 1.98㎢(약 60만평) -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연구소, 환경설계부 금호도 종합개발기본계획은 전라남..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부/월간 환경과조경/198322
옥상녹화 설계·시공시 유의사항
국토해양부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을 중심으로최근 들어 대도시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도시녹화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도시녹지 보전 및 확보를 도시환경개선사업의 역점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이..
장대희/계간 조경생태시공/2010658
하천사면 안정화 기술의 대안
“바이오엔지니어링”이라고 불리는 대안적인 하천주변 보호기술은 토양과 살아있는 식물을 재료로 이용함으로써 하천주변을 보강해준다. 바이오엔지니어링 방식은 현재와 같은 하드엔지니어링 방식이..
Ben Alexander/계간 조경생태시공/2009353
생태복원을 위한 공학적 접근 - 이론 및 사례(1)
조경은 시대상황의 결정체이며 문화와의 대화이며 철학으로서, 하나의 조경작품이 탄생하기까지는 문화, 역사, 예술, 생태,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져 창조되는 융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조경의 접..
구본학/계간 조경생태시공/2009353
클린체어
웰빙(Well-Being)문화의 붐을 타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과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주변 환경과 기후적 악조건 등을 고려하여 참신한 아이디어 기능과 신선한 디자인을 접목시킨 제품이 개발 ..
(주)재영기계/계간 조경생태시공/20041111
대전엑스포 조경현장 ; 조경현장의 숨은 일꾼들
나무를 가꾸고 다듬은 지 어느덧 30년이 지났다. 그동안 수많은 공사현장에 참여하여 이루 셀 수 없는 양의 나무를 전정해 왔다.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아~’ 할 수 있는 공사에서 수려한 조형미가 돋보이도록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3763
오사카시 히라노구 초지붕 주택 외
오사카시 히라노구 초지붕 주택- 사선제한에 대처하는 지붕 녹화 활용법 지금까지 몇 번이나 소개해 온 여성 건축가, 마에다 유리(前田由利) 씨의 신작이다. 오사카시 히라노구(大阪市平野區)에 있는 초지붕 ..
야마다 히로유키/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8
호주 퀸즈랜드주의 브리브번, 골드코스트를 다녀와서
지난 2005년 12월 16일부터 31일까지 호주의 북동부에 위치한 퀸즈랜드주의 브리즈번과 동부해안의 골드코스트, 선샤인코스트를 다녀왔다. 이곳은 1년 내내 해수욕이 가능한 세계적인 해양휴양관광지이다. 전..
정태건/계간 조경생태시공/2006319
조경 적산과 품셈 ; 적산방식과 관련법규 및 제도
그동안 적산업무의 현실을 보면 대부분의 많은 조경기술자들이 단순히 현재 제도하에서 적용되는 적산방식과 기술을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대학에서의 적산교육도 그 이론적 바탕과 외국의..
박원규/계간 조경생태시공/200394
전통조경에 나타난 과학성 ; 전통식재기법에 담긴 선인들의 사상 -소쇄원..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주거공간을 조경식재의 측면에서 본다면 하나의 ‘인격도야’를 위한 도장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즉 사시사철 절개를 굽히지 않는다고 하여 소나무, 매화나무, 대나무, 국화를 심으며, ‘군..
정동오/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광주공원 시민회관 재조성사업 지명초청 설계경기
광주광역시는 지난 1971년 건립되어 시설 노후화로 철거가 예정된 광주공원 시민회관을 전문가들이 근대 건축물로서 가치가 있다고 제안함에 따라 정밀 안전 진단 검사를 통해 보전하기로 결정하고,..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112284
매화마름에 관한 연구 심포지엄
매화마름에 관한 연구 심포지엄A symposim for research of Ranunculus Kazusensis지난 2008년 7월 2일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은덕문화원에서는 (사)한국내셔널트러스트(대표 양병이)가 주최하는 ..
/월간 환경과조경/20088244
창간10주년기념 ; 조경관련분야 국내 석 박사 학위논문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2105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