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연꽃, 수련 외
연꽃연못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주형이고 마디가 많으며 가을철에 끝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근경에서 나와 물 위에 높이 솟고 원형에 가까우며 백록색이다. 또한..
유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09353
물억새와 줄
물억새 과명 : 벼과(禾本科, Gramineae) 학명 :Miscanthus saccariflorus (Maxim.)Benth. 자생지 : 논, 논둑, 냇가, 습지 이름의 유래 : 속명‘Miscanthus’는 그리스어 ‘Mischos’(줄기小花梗)와 ‘Ant..
유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08242
분당 중앙공원
 분당 신도시는 주변의 수려한 기존 수림과 자연능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녹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말 모양의 형태를 띠고 있는 분당신도시는 총 면적이 19,786,446㎡이며 이중 공원녹지 면적..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3359
명자나무
특성 명자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 왔는지는 기록이 확실치 않고 경남북도, 황해도에서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낙엽 관목으로서 키가 2m 내외로 여러 가지로 갈라져 잔가가지가 많이 나와 ..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27
스페이스톡의 도심 속 나의 가장 소박한 정원
위험하고 불확실한 자연에서 벗어나 인간에게 필요한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아파트라는 구조물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은 이제 기능적 충족이 우선시 되던 시대를 지나 감성의 충족, 자연..
손석범/계간 조경생태시공/2011361
도시설계공모전
지난 10월 22일 (사)한국도시설계학회가 주최한 도시설계공모전의 당선작이 발표되었다. 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아 “Redesign of urban space”를 주제로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다수의 대학(원)생들이..
/월간 환경과조경/201012272
노루오줌과 그 종류들
지피식물로 매우 효과적인 식물군으로서 전세계의 온대지역에서 흔히 재배되며, 인기가 있어 다양한 품종들이 선발되어온 것 중의 하나로 노루오줌이 있다. 각각의 꽃은 매우 작아서 별볼일 없는 듯하나 수많..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6723
대성사 - 상토 생산 30년, 부엽토의 산 역사
30년 역사를 자랑하는 상토의 산실 조경수목 이식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토양개량제인 상토의 역사는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실, 1960년대 후반은 낙엽을 땔감으로 사용하던 그야말로 어려..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210174
조경 기사,산업기사 합격률은 하락중?!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조수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6925
조경의 정의 및 (사)한국조경학회지 제호 개정 토론회
‘조경’과 ‘Landscape’의 경계에서 조경 정체성 찾기 1973년에 국가정책적으로 조경 전문분야가 도입된 이래 조경의 함의는 지속적으로 변해왔다. 그리고 지식정보화, 세계화, 그리고 혼성과 융합..
나창호/월간 환경과조경/200911259
조선대학교 장미원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75번지면적 : 5,299㎡(1,603평)설계 : 삼성에버랜드(주)식재시공 : 뉴코리아 장미원예시설물시공 : 남영건설(주), (주)남해안전조경사업비 : 9억2천6백만 2003년 ..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47195
자연형 호안공법의 원리
자연형 호안공법이란 자연상태의 하천에서처럼 식물을 이용하여 물과 바람으로부터 하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식물을 이용한 호안공법은 시멘트와 콘크리트가 없었던 중세에 이미 그 기원을 찾..
김혜주/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조경수의 보호관리 ; 뿌리기능의 활성화
뿌리기능 약화는 무기양료의 흡수에 지장을 가져와 무기양료의 결핍현상을 일으킨다. 이는 생장장애, 황화현상, 잎왜소, 조기낙엽, 입기형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수목은 잎(탄소동화작용, 호흡작용), 줄기(비..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573
자생관목; 해당화
1. 머리말 해당화는 5월 봄이 한창 무르익을 무렵 바닷가를 따라 피어나는 꽃으로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정서를 자극하는 꽃이다. 꽃을 한번도 보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그 이름으로 친숙함을 주는 나무가 바..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7533
공원연결 구름다리 겸용 상징탑 모형수상작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169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