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서울시 감사담당관실 박원제 주임 ; 서울시 발주 조경공사의 조경소재 할..
할증 적용의 배경은 박원제 주임이 감사담당관실로 오게 된 것은 2003년 4월. 당시 감사담당관실에는 조경담당이 없었고(과거에 있다가 없어졌다고 한다) 이때 새로이 신설되면서 박원제 주임이 의미있는 역..
조수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479
생태하천 조성의 이론과 실제(3); 우리 도시하천에 맞는 친수환경설계란?
이젠 완연한 가을로 접어들었다. 환경설계가로서 계절의 변화를 남들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감각은 생겼지만, 깊어가는 이 가을도 마냥 만끽할 만한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 바쁜 현실이다. 이..
변우일/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27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식물자원과 조경설계시공코스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는 1936년 당시 수원공립농업학교로 개교한 이래 70년간 우리나라 농업 교육의 리더로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오고 있다. 그동안 배출된 수많은 졸업생은 ..
조수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026
대구대 시각장애인 식물원
· 위치 : 대구대학교 점자도서관 앞 부지· 조경면적 : 3,600㎡· 발주처 : 대구대학교· 기본계획 및 조경설계 : (주) TC Green· 식재 및 산책로 포장 : (주) TC Green· 유도센서 시공 : (주) 한일전..
김종용/월간 환경과조경/20046194
아파트발코니 실내조경의 모듈시스템 개발
기존에 시공되는 방식으로 아파트 발코니에 실내조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준비 및 시공 등에 있어서 시간과 인력의 비효율성, 계절적 편중 등으로 비경제적인 면이 많아 이를 해결하는 것이 커다란 과..
최상설/계간 조경생태시공/2007836
오사카부 옥상녹화 추진모델 검토회 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야마다 히로유끼/계간 조경생태시공/2006622
쉽게 풀어쓰는 조경토양(11)
토양 내 농약에 의한 피해1) 제초제에 의한 피해나무에 대한 농약의 피해 중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것은 제초제에 의한 피해이다. 제초제란 우리가 원하지 않는 식물들을 죽이는 화학..
박현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12666
Part 2 _ 골프코스의 관리
한지형 잔디 관리과거 국내 골프코스에서 한지형 잔디의 이용은 그린에 국한되어 왔으나 잔디 관리 기술력의 향상, 영업 전략, 시공 기한 단축 등의 배경으로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티잉 그라운드..
이성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11361
돈암서원
Donam Seowon 立地돈암서원은 고정산 자락의 완만한 구릉지에 전학후묘前學後廟이며, 향은 해좌사향亥坐巳向인 동남향이다. 주변 환경으로는 논산저수지 북쪽에 2개의 산과 연접해 있는데, 하나는 ..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02262
경관 및 군락식재설계 개념과 기법
조경학이 체계적인 연구대상이 된지 30여년이 경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녹지계획이나 식재계획이 시설물 계획에 종속되거나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식재계획·설계분야의 이론과 기술개발이 전혀 이루어지..
오구균/월간 환경과조경/199812128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3)/특정식물의 장외 및 현장보전
특정식물에 대한 보전전략을 수립하는 경우에 장외 및 현장보전 두가지 모두 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중 어느 한가지 만이 더 효과적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김용식/월간 환경과조경/19931268
아름다운 정원 ; 위요감이 있는 도시정원
 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이 주택은 높은 빌딩이 들어서 있는 대로에서 이상 들어온 주택가이지만 100m 주택과 빌딩이 혼합되어 있어서 주위경관이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남쪽으로 경사진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11144
좌담 ; 대학의 조경교육, 그밖의 문제점…
참석자 _ 권상준, 김승환, 김유일, 심우경, 조정송, 황기원 각 대학의 조경교육과 문제점 그리고 그 밖에 조경분야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한다.첫 번째로 각 대학별 조경학과의 변천..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271
서울대공원 테마가든(안) 조성 현상공모
서울대공원관리사업소에서는 장미원 주변의 유휴지를 개발하여 수익성과 이용만족도를 높힐 목적으로 “서울대공원 테마가든(안) 조성 설계공모”를 실시하였다. 이번 공모전에서는 당선작(최우수상)..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월간 환경과조경/20045193
정원박람회의 역사적 발자취에서 최신 경향까지
‘문화의 세기’인 21세기에 정원․원예 관련 산업, 특히 정원박람회가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확정된 이후 지방자치단체와 개인을 ..
윤상준/월간 환경과조경/2013630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