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직 공무원이 되는길 ;Check up! 모의시험
- 모의고사 문제를 직접 문제를 풀어보고 자신의 실력을 냉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한다. 참고로 문제의 난이도는 다소 높은 편으로 출제하였다. 조경학 2회분, 조경계획 및 생태계관리 2..
이병희/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7월47호
- 인천종합문화회관
- 위치 : 인천직할시 남동구 구월동 일원 면적 : 57,370㎡ 건축설계 : 종합건축사사무소 아도무 조경설계 : (주)한림환경엔지니어링 조경시공 : 한림종합건설 인천종합문화회관은 인천시 지역 개발과 문화발전을..
㈜한림환경엔지니어링/월간 환경과조경/1994년4월72호
- 조경수목 선정시 고려할 사항
- 식물은 조경의 중요한 소재이며 특히 수목은 그 중추를 이룬다. 지금까지는 조경수목의 기능적 이용에 치중하여 우리의 자연경관에 조화되고 적응될 수 있는 수목을 개발하고 이용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던 점..
이수길/월간 환경과조경/1989년5월29호
- 수원 SK Sky VIEW
- Suwon SK Sky VIEW
수원 SK Sky VIEW는 SK케미칼 공장으로 사용되어오던 부지를 개발하여 공동주택으로 조성하였다. 최대 40층의 랜드마크 타워동을 조성하고 건폐율을 낮춰, 초기설계부터 보다 넓..
정관웅, 김경렬/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Part 2. 석재의 현황과 전망: 조경소재로..|석재
- 인간은 지구와 더불어 살아가야 하며, 지구의 파괴는 곧 인간의 파괴’라는 인식은 근래에 들어와 더 큰 명제가 됐고, 생존과도 연계된다. 인간에 의한 지구의 파괴 현상은 때로는 기후적인 것으로 ..
문영식/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Part 1. 석재총론, 조경공사에서의 석재:..|석재
- 조경이란 순수학문이 아닌 응용학문인 만큼 조경재료는 우리 분야만의 순수한 재료가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이나 예술분야, 더 나아가 IT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까지도 조경재료의 범주..
김세천/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Part 3. 석재활용: 개비온의 유형과 특성|석재
- 개비온은 약 7,000년간 이어져온, 우리 가까이 있는 구조물이다. 이는 이집트 파라오 시대에 갈대로 엮어 만든 바구니에 돌을 채워 나일강 제방을 쌓은 것으로부터 유래했다. 약 130년 전부터 유럽..
송안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2013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2013년 조경분야 이슈로 ‘정원’을 빼놓을 수 없다. 국제정원박람회가 순천에서 개최되었고, 정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지속된 한해였다. 여기에 대한민국 조경학도의 최대 설계공모인 ‘대한민국 환..
/월간 환경과조경/2013년12월308호
- 복자기|조경수
- 여름 내내 푹푹 찌는듯한 무더위와 씨름을 하고 서서히 찬 바람이 불때, 산골짜기를 비롯하여 가까이에 있는 가로수, 공원수마다 울긋불긋 곱게 물드는 단풍의 계절이 매년 어김없이 다가온다. 특히..
이선아/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제8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우리가 주목하는 대상지는 김포대교에서 일산대교 사이의‘장항습지’일대이다. 상대적으로 자연 하천의 모습을 띠고 있는 이곳에 최근 다양한 방식의 개발 붐이 일고 있다. 이곳에는 생태적으로 중요..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1월283호
- 양평 주택정원
- Yangpyeong House Garden
2012년 봄에 용문산 근처에 있는 주택정원 작업을 하게 되었다. 나지막한 뒷산이 있는 아늑한 분지에 작은 마을이 있고, 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한 주택이었다. 3,000㎡ 정..
김용택/월간 환경과조경/2013년5월301호
- 일본의 명원(2)
- 이번 호 일본의 명원에서는 일본의 유명 작정자와 일본정원의 4대 요소인 물, 돌, 나무, 경물을 설명하고 있다.
일본정원의 유명 작정자에는 백제인 노자공, 후지와라 요리미치, 무소 소세키, 고보..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6월70호
- 수변개발 ; 독일 함부르크의 도시 재생사업 하펜시..
- 들어가며…….함부르크는 유럽 내에서 두 번째로 큰 항구도시이며, 독일 내에서도 두 번째로 큰 도시로 꼽힌다. 한자 동맹 중심 지역이었던 함부르크는 19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최첨단을 걷는 항구도시..
김원현/우민정/월간 환경과조경/2008년7월243호
- (주)동림이엔씨
- 아썸
- 이맥스아쿠아
- 디자인파크개발
- 로프캠프
- (주)원앤티에스
- 윤토
- 에스에이건설
- 휴안
- 가나안건설
- 미주강화
- 꽃길

- 상명대학교
- 키즈몽코리아
- 일진글로벌
- (주)대지개발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엘그린
- 예건
- 인포21c
- 샘디지텍
- 브레인트리
- 림인포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