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에코스톤-옹벽녹화블록-
산업개발과 택지개발 등으로 훼손된 자연환경을 그대로 방치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개발로 인해 파괴된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그만큼 자연환경과 녹음의 중요성이 부각..
(주)한림녹화건설/월간 환경과조경/19993131
조경직제 ; 인터뷰 : 더 이상 기존 직제로는 안된다(진승범 이사)
1. 전주시청 공원과에서 어떤 기회로 일하게 되었는지? 1998년 외환위기(IMF)이후 정부에서 시행한 공무원 구조조정계획에 의해 전국의 지방자치 기초 단체 중 최초로 전주시에서 기존의 인원을 감축하고 공원..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611223
목동 금호 어울림
· 위치 : 서울시 양천구 목4동 775-32번지 외 1필지· 대지면적 : 16,516㎡· 조경면적 : 5,236㎡· 시공사 : 금호건설(주)(대표 신훈, 현장소장 김상기, 조경담당 백승인)· 조경설계· 시공 : (주)대경..
조재운/월간 환경과조경/200411199
객원기자 간담회 ; 출발 2년, 객원기자로 활동하면서...
1993년 11월4일(목)/오후 07:00, 본사 회의실본지가 항상 독자의 소리에 귀기울여 노력해온 11년, 학계,관계,업계 등 조경관련 분야에서 동고동락해온 객원기자들을 모시고 그동안 외부로만 머물러 있던 시각..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31268
알아보며 즐기는 잎사귀 박물관 외
알아보며 즐기는 잎사귀 박물관(타다 타에코 외 지음) _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수목관련 책자들은 전체적인 부분을 두루두루 다루다 보니 잎에 대한 생태·형태적 특성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고 있지 못하다. ..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5715
건강한 물순환 도시 조성 정책과 적용방안
물순환형 도시의 필요성 도시홍수, 가뭄, 폭염과 열대야 등 매년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는 도시형 기후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 2010년부터 3년간 서울지역 도심지가 연속해서 침수되었고, 작..
김이호/월간 환경과조경/20138304
영국에서의 주민참여(2)-프렌즈그룹이 필요하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068220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지오백 옹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진만/계간 조경생태시공/2006420
현장, 설계 실무체험기
학교에서 보면 많은 학생들은 현장과 설계로 나누고, 둘 중 하나를 택하려 한다. 나 역시 설계만을 고집했다. 하지만, 그런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몸으로 겪으면서 알게 되었다. 현장책임자는 설계자의 의도를..
권오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0416
조경 ; 사람과 땅이 어울린 이야기 (17) - 10월 ; ..
물은 조경가가 다루는 소재들 중 수목, 지형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3대 소재의 하나이다. 물은 흐르기도 하고 고이기도 한다. 주변의 상황에 순응하는 까닭이다. 또한 물은 담는 그릇의 모양에 따라..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0310186
제1회 친환경적 실내공간 디자인 공모전
(사)실내조경협회에서는 2001년 12월 5일 제1회 친환경적 실내공간 디자인 공모전에 대한 시상식을 진행했다. 대상은 김진주, 장승완(상명대학교), 최우수상은 이지선, 이정애, 정진주, 이지선(삼육..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22166
첫 생태통로 개설 - 야생동물 이동통로, 에코브리지 완공 -
최근 도로건설 등으로 단절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생태이동통로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환경부는 지난해 지리산에 착공한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10월말 완공한 것에 이어 경기도는 12월 18일 개통한 고색∼..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1129
특집3. 국내ㆍ해외 작품리뷰 _ 뤼프테 탑
사진 및 자료제공 _ Simes, 황덕기술단 pecifier _ Zumtobel Licht
/계간 조경생태시공/20091256
리스본 - 포르투갈의 수도, 대서양을 여는 천혜의 ..
이 도시에 들어서면서 받은 인상은 숨을 쉬듯이 편안하다는 느낌이다. 이 도시의 경관은 숨을 들이마시듯 부풀어오르면서 언덕위로 상승하다가 숨을 내쉬듯 사라져 가는 강물처럼 마지막 여운에 이..
원제무/월간 환경과조경/200212176
조경분야에서의 GIS 활용과 전망 ; 조경분야에서의 GIS 활용가능성과 전망
조경분야에서 컴퓨터가 정식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CAD 프로그램인 Auto CAD와 GIS프로그램인 IDRISI가 도입되면서 부터이다. 물론 이 이전에도 Basic이나 Fortran 등의 랭귀지로 프로그래밍을 하여 이용..
이명우/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