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인간거주 환경과 과학기술의 과학만박 - 쯔쿠바85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승환, 이기철/월간 환경과조경/198569
『도시의 강과 문화 & Waterfront』展
인류의 삶과 문화의 장으로서 도시 수변공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담다..세계 4대 문명이 모두 강을 중심으로 발생했으며 역사 속의 수많은 나라들이 물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영토전쟁을 벌였던..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제15회 환경조경 문예 예술작품 공모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2202
생태골프장 ; 해외 생태골프장 사례
The Sea Ranch Golf Links·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설계 : Damian Pascuzzo·특징 : 이 골프장 조성시 가장 고심했던 부분은 훼손에 민감한 해안지역과 그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초종과 나무, 이를 바탕으로 ..
㈜오렌지 엔지니어링/월간 환경과조경/20009149
야외교육과 자연학습 ; 야외교육의 활동과 그 목적
야외활동의 교육목표를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지적목표 : 이미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는 것. 본질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어떤 지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것 ②정의적 목표 : 감정이나..
이연섭/월간 환경과조경/198466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Baekseokdongcheon)
백석동천은 서울 종로구 부암동 115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50,861㎡로, 백악산북악산의 옛 이름 뒷자락 북한산을 배경으로 한 백사골에 조성된 별서를 포함한 정원유적이다. 현재 건물지 및 ..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210294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 수리·수문학 측면에서 본 한반도 대운하
새해 들어 이명박 대통령당선인이 대표적으로 공약했던 ‘한반도 대운하 건설’이 사회적 논란의 한가운데에 올랐다. “논의는 하되, 운하는 건설한다”, “내년 2월에는 착공한다”, “대운하 특별법을 만든다” 등의..
박창근/월간 환경과조경/20083239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면적 : 582,262㎡ 대학 특유의 전통과 학풍을 이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계획에 의한 조경보다는 형적 특성을 잘 활용하였으며 생활공간의 주체가 학생인 점을 감안하고 자연형태에 맞게 꾸며..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132
도시농업: 도시 문제의 새로운 해법, 도시농업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도시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겪게 되었다. 대기 오염, 수질 악화와 같은 일반적인 도시 환경 문제 외에도 지나친 토양의 피복이라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선진화..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17279
국산원료와 기술로 개발한 경량토양 ; 레인보우 세라소일
우선 인공지반 녹화용 인공토양 레인보우 세라소일은 구조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토양층의 하중을 최소화하고, 식재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토양층의 두께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식물의 생육에 적합..
레인보우스케이프(주)/월간 환경과조경/19989125
서울의 남산자연공원 ; 서울남산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 남산이야기
남산은 종로지역의 서울에 합당한 남쪽산이 된 것이다. 무릇 산이란 높이와 위치와 미와 생산성이 훌륭해야 하는데 이런 조건에는 아무래도 큰 산이 합당하다고 한다. 그런면에서 남산은 작다면 작고 크다면 ..
최래옥/월간 환경과조경/1988925
코노코필립스
ConocoPhillips코노코필립스사의 업무단지 리노베이션 작업으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62에이커의 대상지를 사무공간과 의료시설, 피트니스, 공공공지의 기능을 갖춘 새로운 코어로 조성하는 것이다..
James Burnett/월간 환경과조경/20106266
조경野史; 조경학과의 설립과 조경학회의 창립
조경학과의 설립현대적 의미의 조경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72년에 한국조경학회가 창립되고, 1973년에 석사과정으로 서울대 환경대학원에 환경조경학과가, 학부과정으로 서울대 농대와 영남대에 조경..
양병이/계간 조경생태시공/2007533
Earning a Living in China as an Landscape Archit..
중국에서 조경으로 살아가기故 김광석의 노래 '광야'의 표현대로 그 시절 광활한 만주벌판을 처음 접하셨을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무엇을 느꼈을까? 땅 없는 서러움과 농사지을 땅 한 평에 대..
윤성융/월간 환경과조경/20124288
친인간. 친문화. 친환경 도시개발의 새로운 모델 제안
우리에게 잘 알려진 나오시마는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다다오의 건축물인 미술관과 호텔이 결합된 “베네세 하우스”와 오직 3명의 작가만을 위해 설계되고 지어진 “지중미술관”의 건축적 접근 방법과 그 내용으..
이영송/월간 환경과조경/20069221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