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왜 조경의 리얼리티를 이야기하는가
여기 세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당신의 소중한 시간을 빌려 한국 조경의 오늘을 살짝 엿보려 합니다.마음에 드는 질문(혹은 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나’만 골라서, 덧글을 다는 기분으로 1~3줄..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141309
라운드어바웃의 “프로젝트 원”
“오빠가 돌아왔다.” 오랜만에 비평집을 내고 다시 건축 비평의 장을 연 이종건 교수(경기대학교)를 환영하며 황두진 대표(황두진건축사사무소)가 던진 말이다. 최근 들어 건축에 대한 근..
박소현 기자/월간 환경과조경/20142310
DMZ 세계평화공원과 ‘글로벌 트러스트’
비무장지대DMZ 안에 세계평화공원가칭을 세우는 문제가 국내외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구상이 잘 성사되면, 남북 정상들이 함께 노벨 평화상 후보에 지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세계평화공..
전재경/월간 환경과조경/201310306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 2 : 뼈만 남은 건축
1968년 베를린 신국립미술관에서 꿈을 이룬 미스 반 데어 로에리덕션의 극치, 20세기의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이라고 평하는 이들도 있다. 건축가 루드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Ludwig Mies van der Ro..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1309
제5회 대한민국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제5회 대한민국 도시숲 설계공모대전’의 결과가 지난 9월 23일 발표되었다. 선정된 총 18개의 작품 중 16개가 조경관련 학과 또는 기관으로 구성된 팀의 안으로 다수를 차지한다. 공모를 주최..
/월간 환경과조경/201311307
제 16회 올해의 조경인 _ 산업분야: 김충일|올해의 조경인
최근 몇 년 사이 타 분야에서 조경분야가 실제적으로 참여하던 영역의 ‘용어’를 재정의하는가 하면, 조경분야의 참여를 제한하는 ‘법률’ 제정 추진으로 공격적인 업역확장에 나섰다. 이에..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자투리공간에 담긴 생각
서울시가 작년 첫 선을 보인 ‘Take Urban in 72 Hour’ 프로젝트가 올해 다시 돌아왔다. 이 프로젝트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72 Hour Urban Action’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3일 밤낮 미션을 ..
박소현/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환경설계의 뉴패러다임(2)-공원과 정원 그리고 사랑
“예쁜 마음은 꽃가루 같아서 어디든 멀리 날아가 꽃을 피운다.” 최근 방영된 드라마 <굿 닥터>에서 자폐증 의사의 대사다. 꽃을 비유로 하는 대사는 더욱 가슴을 울린다. 어릴 때에는 꽃이 주..
김현욱/월간 환경과조경/201311307
제 16회 올해의 조경인 _ 산업분야: 한현구|올해의 조경인
살아있는 조경의 역사한현구 회장의 아버지인 故한태현은 임업시험장에 있다가 산림양묘를 했었다. 당시는 주로 연료로 나무를 사용하여 산들이 벌거숭이가 되었고, 이런 곳에 산림양묘 붐이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정원|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정원
“강은 변함없이 묵묵히 흐르고 있다. 강은, 이윽고 재가 되어 자신 속에 흩뿌려질 시신에도, 머리를 그러안고 꼼짝도 않는 유족 남자들한테도 무관심했다. 이곳에서는 죽음이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이 똑똑..
신남례/월간 환경과조경/20139305
생태와 평화를 위한 DMZ문화행사
인근 지역에 살고 있는 이유에서인지 DMZ관광지로 사람들을 실어 나르는 대형 버스들을 심심찮게 봐왔다. 어떤 때에는 매일 다니던 길이 통제되어 교통 불편을 겪기도 했다. 마라톤이 개최되는 날이..
박소현/월간 환경과조경/201310306
제 16회 올해의 조경인 _ 학술분야: 양홍모|올해의 조경인
대규모 개발로 인한 회색도시의 시대가 지나고 ‘녹색’이 주목받는 시대가 도래했다. 녹색환경, 녹색성장, 녹색건축, 녹색기술, 녹색복지. 최근 몇 년간 화두로 떠오른 정책·기술적 단어를 보더..
박소현/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집요와 집착 사이|그들이 설계하는 법
1.며칠 전, 두어 달 가량 설계가 진행되고 있는 사이트site에 다녀왔다. 상하이는 비행기로 두 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 비교적 가까운 도시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현장을 자주 방문하기가 쉽지는 않다. 도면으..
박승진/월간 환경과조경/20141309
옛 그림, 물을 철학하다
철학자가 바라본 물(4) _ 장자북쪽바다같이 깊고 동해바다같이 아득한 장자광활한 장자의 세계북녘 바다(北冥)에 물고기가 있는데 그 이름이 곤(鯤)이다. 곤의 크기는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가 없..
조정육/월간 환경과조경/201311307
풍경의 반전: 공장공간의 심미화
‘APMAPAmorePacific Museum of Art Project’의 첫 번째 전시회 ‘REVERSCAPE’가 열리는 오산까지 가는 길은 예상보다 멀었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면서 오산IC로 빠져나가니 허기가 졌다. 이를 예상이..
조정환/월간 환경과조경/201311307
11 12 1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