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숲으로 숲에서
고라니 주검을 만난 것은 저녁 산책길에서였다. 콩 이파리가 아등그러질 정도로 자글자글 끓으며 영영 끝나지 않을 것 같던 한여름 불볕더위가 하룻밤 사이 거짓말처럼 사라지고 없는 자리에 초가을..
김담/월간 환경과조경/201310306
2013년 조경계 10대 뉴스
1. 정원열풍 대한민국 강타2.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추진3. ‘한국조경헌장’ 선포4. ‘서울형 공공조경가’ 본격 활동5. 조경시공업체, 줄줄이 부도6. 공공기관 조경협의회·한국..
/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2013 대한민국 조경문화제
조경계의 한마당 축제로 펼쳐지는 ‘ 2 0 1 3 대한민국 조경문화제’가 지난 10월 28일부터 6일간 (사)한국조경학회의 주최로 개최되었다. 올해 조경문화제에는 ‘제10회 조경의 날 기..
박소현 기자/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커뮤니티 디자인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커뮤니티디자인
커뮤니티 디자인을 통해 글로벌 이슈의 대안적 실천을 가능하게 하자지금 우리 사회의 커뮤니티 디자인을 둘러싼 가장 핵심적인 화두는 무엇일까? 마을을 기반으로 주민 스스로 자신의 정주환경을 고치며 마을..
이영범/월간 환경과조경/20139305
환경설계의 뉴패러다임
<환경과조경>에 연재하기 시작한지도 10개월이 된다. 중간 중간 연재를 그만하자고 징징거리기도 했지만 벌써 중반을 훌쩍 넘었다. 독자들은 두서없는 필자의 글에 당혹스러울 수도 있었을 것..
김현욱/월간 환경과조경/201310306
Community Design
한국에서 동 단위를 넘어서 이사하는 인구비율은 연20%에 가깝다. 유럽의 10배, 일본의 4배, 대만의 3배이며, 미국의 2배이다. 개발도상국도 아니고 왜 이리 자주 옮겨 다닐까? 높은 인구 이동률은 그 도시의 ..
/월간 환경과조경/20139305
Evolving Public Space
  공공공간의 진화도시의 공공공간이 진화하고 있다. 아니 공공공간을 만드는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고 말하는 편이적절하겠다. 오래된 도시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의 과제로 자리잡은 재생renewal의 문..
/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11 12 1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