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태연못 자동정화 시스템(LK4307)
- 조경에서 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한국의 전통정원에서 물을 소재로 한 연못이 정원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그 단적인 예이다. 그러나, 수질관리 차원에서 수생식물을 통한 소극적 자연..
조경나라(주)/계간 조경생태시공/2003년11월5호
- 레인보우 바이오 보드
- 최근 친환경적인 하천호안공법 관련 제품들이 많이 개발, 적용되고 있지만 이는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을 철거 후 적용해야 하므로 많은 시공비가 소요되며,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에 견줄만한 안정성을 확보하..
레인보우스케이프(주)/계간 조경생태시공/2003년9월4호
- 파리공원 기본계획
- 한국과 프랑스는 1886년에 통상수호조약을 맺은 이후 1세기 동안 동서양 문화교류와 국제경제발전의 동반자로서, 혈맹으로서 우호를 다져왔다. 이에 수교100주년이 되는 1986년에 우호의 역사를 기리는 뜻 깊..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월간 환경과조경/1987년9월19호
- (주)태림랜드
- 더 오래, 더 열심히. 대부분의 자수성가(自手成家)한 사람들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그들이 대단한 능력을 지녔거나, 타고난 운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자신이 몸담은(물론 원하는) 분야에서 오랫동안 남들보다 ..
조수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6년12월28호
- ‘볼티모어 신드롬’에서 배워야 할 공공성의 중요성
- 동서양을 불문하고 산업화 시대의 도시하천은 온갖 생활·공장폐수로 오염되었고, 개발논리가 절대명제였던 당시에는 오염된 하천의 정비보다는 복개 후 물류운송을 위한 도로를 하나라도 더 만드는 ..
황진태/월간 환경과조경/2008년7월243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1): 연재를 시작하며, 금낭화..
- 식물부재의 조경계요즘 식물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간이라고 하는 이유는 증가하는 관심의 주체가 조경계가 아니라 조경계 외의 세상이라는 뜻이다. 설문조사를 한 것은 아니지만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0년4월264호
- 조경학과 교과과정 ; 영국의 조경학과
- 영국의 조경학과 교과과정
영국과 한국은 교육시스템이나 자격증 제도 등 여러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커리큘럼을 비교하는 것이 간단하지만은 않다. 영국의 커리큘럼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국의..
윤상준/월간 환경과조경/2006년2월214호
- Eco Stream: 생태옹벽블록과 PLA식생매트
- 생태복원용 다공성 블록과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식생매트에코탑 자연형하천 공법산업화로 훼손된 하천 생태계를 친환경제품을 이용하여 자연 상태로 복원함으로서 그 주변의 동식물들이 생육 성..
에코탑/계간 조경생태시공/2010년9월59호
-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부 오픈스페이스 설계 기본 방향 구상
- - 전문가 디자인 샤렛 -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거대한 공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한 가운데에 용산미군기지, 서울숲,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큰 면적의 오픈스페이스가 조성될 전망이..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1월223호
- Part 4. 목재 관련 제품사례: 목재 조경시설물 제품사례
- Wooden Landscape Facilities
네 번째 파트에서는 목재로 구성된 조경시설물 제품 사례들을 모았습니다. 목재로 만든 조경시설물들은 재료가 가진 특유의 색상과 질감으로 인해 보다 친숙하고 부드러운 느낌..
이형주/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3월69호
- IFLA ; 오감을 통해서 본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과 정신세계
- 교수의 사회로 전통문화와 조경 이란 주제를 놓고 토론을 벌였다. 민경헌 교수의 기조연설 내용을 들어본다. 한국의 정원은 숲과 돌 사이로 흐르고 떨어지고 고이는 물 등 자연경관과 정자와 같은 축조물, 그..
민경현/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에스에이건설
- 꽃길
- (주)원앤티에스
- 윤토
- 휴안
- (주)동림이엔씨
- 아썸
- 로프캠프
- 미주강화
- 디자인파크개발
- 가나안건설
- 이맥스아쿠아

- 인포21c
- 브레인트리
- 엘그린
- 상명대학교
- 샘디지텍
- (주)대지개발
- 림인포테크
- 예건
- 키즈몽코리아
- 일진글로벌
- CA조경기술사사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