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음지를 위한 식물들
식물은 빛이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로 빛은 식물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는 요소이다. 흔히 음지식물이라고 부르는데, 음지라고 하는 것은 완전히 빛을 배제한 상태를 말하는 것은 아니며..
이재석/계간 조경생태시공/200373
The Museum of the Earth
 고생물연구원(Paleontological Research Institution)이 발주한 The Museum of the Earth는 Finger Lakes 지역의 특징적인 지형을 잘 살린 작품이다. 미국에서도 대규모의 고생물 수집기관중 ..
김규형/월간 환경과조경/200812248
토스카나 지방의 Villa Gamberaia 정원
 Villa Gamberaia의 정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정원 관련책자에 이태리 르네상스를 대표할 수 있는 토스카나 지방의 이상적인 정원으로 소개되고 있지만 과거의 모습이 도면 등으..
김인수/월간 환경과조경/20054204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시공일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드디어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최초로 열리는 국제정원박람회가 어떤 과정을 거쳐 착수하게 되었으며, 개장까지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각각의 정원에는 어떤 공법이 사용되었는지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5301
세빌가든과 발리가든
 세빌가든 영국 런던 서쪽 윈저 그레이트 파크(Windsor Great Park)내에 위치하고 있는 세빌가든(The Savill Garden)은 1932년 조지왕 5세(King George V)와 메리여왕(Queen Mary)의 후원..
김종근/월간 환경과조경/20087243
안산호수공원
· 위치 : 경기도 안산시· 면적 : 649,224㎡(197,000평)· 발주 : 한국수자원공사· 조경설계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조경시공 : 삼성에버랜드(주) 환경개발사업부 고잔저수지를 보존하고 주변지역..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57207
메가트렌드에서 마이크로트렌드로
메가트렌드에서 마이크로트렌드로(From the megatrends to the microtrends)인터넷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누구나 쉽고 다양하게 많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고, 생성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빠..
송정현/월간 환경과조경/20088244
앵두나무 ; 꽃과 열매의 관상가치가 높은 낙엽활엽관목
우리나라에 앵두나무(Prunus tomentos Thunberg)가 처음 재배되기 시작한 때는 1~2세기경 한사군(漢四郡)이 있었을 무렵으로, 대륙으로부터 중국앵두가 흘러 들어와서 전국에서 재배가 시작되었다. 고려시대에..
하유미/계간 조경생태시공/200458
IFLA ; 새롭게 태어나는 세계의 조경
한국총회에서 채택된 경주선언을 계기로 세계조경계는 새롭게 태어나고 크게 변화될 것이다 함께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고 그 문제들을 풀어나가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좁게는 조경인들의 단합과 교류를 꾀하게..
조직위원회 사무국/월간 환경과조경/19921054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옥상정원
 세계 3대 미술관으로 꼽히는 Metropolitan Museum of Art(이하 MET)의 5층에 위치하고 있는 Roof garden의 정식명칭은 The Iris and B. Gerald Cantor roof garden 이다. MET의 주요 스폰서였..
박혜미/월간 환경과조경/20082238
경남 진해 녹산 일신 ‘님(林)’
동북아 최대의 허브항인 부산 신항과 르노삼성자동차의 신호공단과 연계된 첨단산업의 요충지인 녹산국가산업단지 부근의 유일한 택지지구인 녹산 주거단지 내에 조성된 일신 ‘님’은 일신건설산업(..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59209
시화 멀티테크노밸리 환경·조경계획
오염도시라는 오명을 벗고 환경생태도시로 변화중인 시화지구시화지구는 서울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0㎞, 인천에서 동남쪽으로 약 20㎞지점에 위치해 있다. 1987년부터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와 안산시 대부도 ..
차대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단풍나무속
“산의 계절” 가을. 여름에서 가을로 계절이 바뀌면서 우리의 숲도 계절의 변화에 발맞춰 옷을 갈아입기에 바쁘다. 흐르는 계곡물 옆에서도, 바위틈 사이에서도 하나 둘 단풍 옷으로 갈아입기 시작하면 어느새..
하유미/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139
UR이 한국 조경계에 미치는 영향(2)
종래 한국 조경업계가 수행하여온 시공 중심의 저원가 전략에 의한 경쟁력의 유지는 한계에 봉착하고 있으므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획, 타당성 조사 등 조경 컨설팅 분야와 감리, 사후 관리 등의 ..
오정학/월간 환경과조경/1994472
21세기 조경의 공공디자인 실천 전략을 위한 방향 ..
‘요즘은 내가 대세’라는 어느 유행가 가사처럼 건축, 도시, 조경, 디자인 등 인근 관련분야를 막론하고 2008년 최고의 화두는 단연 ‘공공디자인’ 아닐까 싶다. 서울시와 대구시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810246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