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제1회 한.중원림(조경)학회 공동심포지움을 다녀와서
1990년 7월 한국조경계 인사로는 최초로 중국을 방문하여 한국과 중국의 교류 가능성을 타진한 이래 매년 대표단이 파견되어 노력한 결과 제1회 한.중 조경(원림)학회 공동 심포지움이 1994년 7월24일부터 27..
이용훈/월간 환경과조경/19941078
캘리포니아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
“세계에서 가장 푸른 박물관”으로 알려진 캘리포니아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향한 의욕적인 비전을 실천함으로써, 미국그린빌딩협의회가 주관하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인..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101261
조경직공무원이 되는길 ; 조경직 공무원으로 한걸음
2006년 6월 12일부터 실시된 국가직 공무원 직제 개편의 골자는 기존의 10개 직군 57개 직렬을 행정(14직렬)과 기술(17직렬) 2개 직군 31개 직렬로 통폐합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 조경분야에..
박광윤/계간 조경생태시공/2008747
국내외 유수지, 저류지의 생태적 활용사례
유수지 및 저류지는 집중호우 등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설치하는 도시계획시설로 자연재해는 국지적이고 집중적인 호우와 같은 자연적인 원인 뿐만 아니라 대규모 개발사업..
조의섭, 이민수/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27
수변지역 생태복원 식재방법
수변공간은 공동주택 지역이나 공원내 물과 맞닿지 않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식재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일반식재지역에서는 주로 교목 위주의 식재가, 수변공간에서는 관목이나 초화류 위..
한성식 /계간 조경생태시공/2009353
조경인, 화합의 한마당
제4회 조경직장인 체육대회가 1994년 5월 21일 한강 광나루 고수부지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종합 및 전문기술용역회사, 조경시공회사, 조경관련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조경인을 대상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첫 번째 공간 탐색, 이태원로
이태원로에서 리움으로 진입하는 삼거리 코너에 있는 건축물의 외부 공간을 “공간 공감”의 첫 번째 토론 대상지로 선정했다. 연말의 추운 날씨에 네 명의 멤버 김용택, 박승진, 이홍선, 정욱주가 현..
정욱주/월간 환경과조경/20142310
개발나물, 뚜껑덩굴, 타래사초, 석창포|수생식물
Water Parsnip, Lobed Acti-nostemma, Carex maackii Maxim, Grass Leaf Sweet Flag 개발나물과명 _ 산형과(Umbelliferae)학명 _ Sium suave Walter자생지 _ 습지, 늪, 강둑, 논, 논둑 등형태 _..
류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13670
화성동탄 2지구 택지개발사업 2ㆍ3단계 조경기본 및..
지난 9월 말 화성동탄 2지구 택지개발사업 2·3단계 조경설계공모 결과가 발표되었다. 화성동탄 2지구는 2007년 신도시 개발추진계획이 발표된 이후, 내년 말 최초 주민입주를 앞두고 있다. 조경에 ..
/월간 환경과조경/201311307
토포필리아 땅으로의 귀환|조경가의 서재
『Topophilia』의 저자인 이푸 투안(Yi-Fu Tuan) 교수는 1930년생이다. 중국계 미국인인 그는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141309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4 : 생태가 미학을..
헤르베르트 드라이자이틀Herbert Dreiseitl(1955~)은 현재 독일, 미국, 중국, 싱가포르에 각각 아틀리에를 운영하고 있는 대형 디자인 오피스의 디자이너지만 30년 전만 해도 본인이 제작한 캐스케..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2310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주거공간의 의미가 변화하면서 그 선택의 기준도 바뀌고 있다. 단순히 먹고 잠자는 곳에서 삶의 여유를 누릴 수 있는 문화적 생활공간으로서 공간 내의 조경과 디자인의 미적 가치가 중요시 되고 있..
백수현/월간 환경과조경/20098256
[기후변화, 인류의 미래] 신재생에너지란 무엇인가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이용 개발 보급 촉진법 제2조」에 의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
이규태/계간 조경생태시공/2008949
김아연 _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Kim, Ah Yeon 이번 호에는 조경 이외 다양한 분야와의 접점 속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조경가 김아연 교수의 이야기를 소개하게 되었다. 지난 호에서 보다 전문적인 특성을 가진 분들을 소개하..
강진솔/월간 환경과조경/20135301
수변개발 ; 수변개발 주요 외국사례
베를린 슈판다우 수변개발개요·위치 _ 독일 베를린시 서부 슈프레강 남쪽강변·면적 _ 206ha(약62만5천평)·목표 _ 고용, 주거, 여가기능이 어우러진 복합도시 공간·개발주체 _ Wasserstadt Berlin Gm..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8724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