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인문생태조경 ; 인간생태학적 계획이론의 생성
60년대 후반부터 미국조경계에는 보수적 조경학과 생태적 조경학이라는 두가지의 계획이론이 지배적으로 대두되고 있었다. 생태적 조경계획은 인간이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회인자와 제한인자들을 제공하는 자..
김재석/월간 환경과조경/1990937
옥상녹화용 식재기반층과 토양
회색콘크리트 옥상 위에 푸르름을 입혀보자옥상녹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식물이 뿌리 내리고 살 수 있는 토양이다. 자연지반, 즉 일반적인 토양에 식물을 심는 것은 토양에 씨를 뿌리거..
박현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10658
때죽나무
신록이 짙어지는 5월과 6월이면 산속에는 흰색 종모양의 꽃이 수줍은 새색시처럼 아래로 향해 매달려 있다. 그리고 그 곁을 지나다 보면 은은한 향기가 코끝을 스치게되는데, 이 나무가 시각·후각적으로 산을 ..
하유미/계간 조경생태시공/200479
한미 FTA와 조경 ; FTA와 조경분야의 대응전략
경제·사회적인 변화를 몰고 올 한미FTA협상이 추가협상까지 마무리한 채 한·미 양국의 국회 비준을 기다고 있다. 우리나라의 모든 분야에서 커다란 변화의 물결이 밀어닥칠 것이다. 그 중 건설 특히..
홍태식/월간 환경과조경/20079233
청계천 복원공사 시공일지 ; 저수호안 및 하도내 시설
1) 저수호안청계천의 유속은 평균 2.5m/s 정도이며, 소류력은 최대 181.76N/㎡~최소 7.55N/㎡이다. 따라서 자연석(조경석)+섬유롤공법은 홍수시의 안정성, 동절기의 경관성 등을 고려하여 전구간의 주(主) 공..
이용태/계간 조경생태시공/2005112
조명과 조경계획 ; 야간경관 연출을 위한 조명디자인 기법
대상물의 조명은 어떻게 계획하여야 그 위치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도록 하느냐는 그 지역 특성에서의 위치선정, 대상물의 성격, 소모이나 물의 속성에서 나타나는 상호관계를 주의깊게 파악하여야 ..
이석해/월간 환경과조경/1992549
정원 및 조경자재 박람회 GaLaBau 2004
독일의 뉘렌베르그에서는 격년으로 정원 및 조경자재 국제박람회인 가라바우박람회(GaLaBau trade fair)가 개최되어 왔다. 이 박람회는 세계에서 가장 큰 조경자재 박람회의 하나로서 정원으로부터 크게는 도..
이상석/계간 조경생태시공/2005112
생태예술가 김준현
도심하천의 스케치들 늦여름과 초가을의 경계쯤 되는 8월말, 9월초. 풍성한 결실에 대한 기대가 조금씩 불어나는 시기. 한 조경학도가 머나먼 땅 미국에서 정성스레 준비한 몇 점의 습작을 들고, 경복궁 서..
나창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038
새 박사 원병오 교수
평생을 새와 함께 해온 한국 조류학의 산 증인, 피상적 생태복원에 쓴 소리한국 조류학의 살아있는 증인새 박사 원병오 교수. 그는 오직 새에 대한 남다른 사랑과 열정으로 6·25 전쟁의 폐허 속에 ..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대구 지산·안심 하수종말처리시설
- 시설은 지하로, 지상은 공원으로 조성한 주민친화형 오픈 스페이스 <지산하수종말처리시설>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조경면적 : 28,122㎡· 발주 : 대구광역시 종합건설본부· ..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211175
병원/의료시설 조경에 대한 통찰과 영감
필자는 지난 2008년 3월 26일부터 4월 2일까지 미국 시카고식물원(Chicago Botanic Garden) 부설 조셉 리젠스타인 스쿨(Joseph Regenstein, Jr. School)에서 열린 제6차 의료시설 조경설계 전문가 ..
탁영란/월간 환경과조경/20094252
목표종의 설정과 미니 워터가든
비오톱 가든을 만들기 전가정의 정원이든 학교의 정원이든 혹은 공원속에 만들어내는 작은 비오톱 가든이든 규모와 장소에 상관없이 비오톱 가든을 만들기 전에 고려하고 준비해야 것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조동길, 김근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242
이시야마 공원(Ishiyama park, 石山公園)
 개요  - 폐 채석장을 이용한 이시야마고원은 일본 북해도 삿포로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는데, 남쪽과 북쪽 두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고 총면적은 118,810m2이다. 1993년에 먼저 오픈한 북..
안홍규/월간 환경과조경/20071225
전통조경과 현대조경의 현주소 ; 조경설비 연출에 있어서의 접근방법
현재 도심지내 소규모 지역이 미니파크 소광장 공공정원속에 수경이 많이 활용되어져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나 인간에게 수경 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전달하여 줄 수 있는 수경에 대한 체계화된 이론정립의 미..
정운익/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Green Wall: Part 1. 입면녹화의 정의와 지속 가능..
지속가능효율18세기부터 시작된 산업혁명을 계기로 하여 인간 정주 공간인 도시는 그 이전 세대에서 볼 수 없었던 양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는 화석에너지 기반의 대규모 생산시스템 구축으로 ..
김태한/계간 조경생태시공/201166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