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호조련 조경작품전 우수작
-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출품자: 전북대학교(조대현, 최철호, 유나경, 김형숙)지도교수: 이명우
배경지속가능한 개발(ESSD :Environment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합의..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8월76호
- 친환경소재인 천연화강석을 이용한 수목보호스톤 및..
- (주)거리엔
·(주)거리엔은 특히 친환경소재인 천연화강석을 이용한 투수성보도블록(멀티패드스톤)과 가로수보호대(수목보호스톤) 등의 생산·공급을 통해 가로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자연과 사..
/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3월69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8 조용한 멕시코 혁명
- 실물은 멕시코에 있으므로 직접 보기 쉽지 않지만 조경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디선가 한번쯤은 사진으로라도 접해보는 것이 루이스 바라간의 정원이다. 벽 위에 높게 매달린 좁은 수로를 통..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네덜란드에서 만난 커뮤니티 디자인
-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은 제주도 농촌마을계획 컨설팅이다. 일거리 없다고 하는 건축·조경·도시와는 달리 농촌 마을(도시 포함)만들기는 요즘 가장 핫(?)한 업이고, 정부의 예산이 쏟아지고 있는 ..
황아미/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6 르 코르뷔지에, ..
- 업적보다 명성이 앞서는 인물들이 있다. 스위스 출신의 유명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1887~1965)가 바로 그런 케이스인 듯하다. 물론 그가 20세기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3) 분석만 하기
- 대상지, 그 진부함또 대상지에 대한 이야기인가? 미안하지만 이제 대상지 이야기는 그만 들어도 될 것 같다. 학교를 다니는 내내 대상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지겹도록 들어왔다. 선생님들은 늘 말..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제5회 문화가 있는 놀이터 디자인 아이디어 공모
-
(재)서울문화재단과 (주)현대건설이 공동주최하고 서울시가 후원하는 제5회 문화가 있는 놀이터 디자인 아이디어 공모가 지난 7월 31일 수상작을 발표하였다. 2004년부터 시작된 ‘문화가 있는 놀..
/월간 환경과조경/2009년9월257호
- 생태복원을 위한 공학적 접근 - 이론 및 사례(8): ..
- 들어가면서생태복원을 위한 공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지난 2년에 걸쳐 생태복원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소개하여 이제 약속한 8회가 되었다. 그동안 단순한 국내외 사례와 녹화 중심에서 벗어나 대상..
구본학/계간 조경생태시공/2010년12월60호
- 조경비평의 가능성과 지평
- 일단 근본적인 의문이 해결되어야 한다. “전문적인 조경비평은 왜 필요한 것이가, 그 가능성은 무엇인가?” 이 당연한 물음에 대한 답은 실천적 비평행위의 선결과제이자, 곧 조경비평의 존재이유와 위상과 기..
배정한/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0월66호
- 타임스퀘어 보타이
- 4천만 달러를 쏟아 부은 마이클 블룸버그Michael Bloomberg 뉴욕 전 시장의 역작, 브로드웨이 보행 광장의 타임스퀘어 구간 1단계 공사가 마무리되어 지난 2013년 12월에 공공에 오픈했다. 뉴욕 시..
조용준/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경계의 건축 이야기
- 건축물은 저마다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다. 국가나 지역에 따라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할 테고, 집을 짓는 사람과 사는 사람의 생각이 또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장소마다 각기 다른 건축물이 ..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마코코 수상 학교
- 마코코 수상 학교는, 급격한 기후 변화의 위기와 도시화를 맞고 있는 아프리카의 상황에서 물리적·사회적 요구가 무엇인지 제시해주는 플로팅 구조체의 표준모델이다. 이 구조체는 수변 마을에 최근..
NlÉ/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사람을 춤추게 하라 플러스파운틴(주)
- 좋은 회사? 어떤 회사일까. 사람마다 생각은 조금씩 다르겠지만, 아마도 “돈을 많이 주는 회사”를 첫 손에 꼽는 건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통하는 진리가 아닐까. 혹은 “야근이 없는 회사”, “적..
박광윤/계간 조경생태시공/2009년12월56호
- 100 장면으로 재구성한 조경사 #7 1968년 세대
- 20세기 조경사를 연구하다 보면 이상한 현상과 만나게 된다. 1970년, 1980년대에 이렇다 할 작품이 없는 것이다. 생태의 물결에 밀렸다고는 하나 그렇다고 조경가들이 모두 놀고 있지는 않았다. 할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4년3월311호
- 꽃길
- 이맥스아쿠아
- 아썸
- 윤토
- 휴안
- 디자인파크개발
- (주)동림이엔씨
- (주)원앤티에스
- 미주강화
- 로프캠프
- 가나안건설
- 에스에이건설

- 샘디지텍
- 상명대학교
- (주)대지개발
- 일진글로벌
- 림인포테크
- 키즈몽코리아
- 예건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인포21c
- 엘그린
- 브레인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