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3. 석재활용: 주요 석재와 시공사례|석재
- (주)일신석재는 1971년 일신석재공예(주)로 설립된 이래 ‘균형적 흑자경영을 통한 고객만족 및 사회공헌’이라는 경영이념과 ‘핵심경쟁력 강화, 시장차별화 선도’라는 경영방침 아래 전 사원이 일치..
김현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Part 3. 석재활용: 개비온의 유형과 특성|석재
- 개비온은 약 7,000년간 이어져온, 우리 가까이 있는 구조물이다. 이는 이집트 파라오 시대에 갈대로 엮어 만든 바구니에 돌을 채워 나일강 제방을 쌓은 것으로부터 유래했다. 약 130년 전부터 유럽..
송안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Part 2. 석재의 현황과 전망: 조경소재로..|석재
- 인간은 지구와 더불어 살아가야 하며, 지구의 파괴는 곧 인간의 파괴’라는 인식은 근래에 들어와 더 큰 명제가 됐고, 생존과도 연계된다. 인간에 의한 지구의 파괴 현상은 때로는 기후적인 것으로 ..
문영식/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Part 1. 석재총론, 조경공사에서의 석재:..|석재
- 조경이란 순수학문이 아닌 응용학문인 만큼 조경재료는 우리 분야만의 순수한 재료가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이나 예술분야, 더 나아가 IT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까지도 조경재료의 범주..
김세천/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9월71호
- Community Design
- 한국에서 동 단위를 넘어서 이사하는 인구비율은 연20%에 가깝다. 유럽의 10배, 일본의 4배, 대만의 3배이며, 미국의 2배이다. 개발도상국도 아니고 왜 이리 자주 옮겨 다닐까? 높은 인구 이동률은 그 도시의 ..
/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의 영토를 넓혀나가는 주..
-
The Forefront of Landscape Architecture 12 Innovators Opening New Horizons of the Field
지난해 10월 새로 문을 연 서울시청 신청사 입구 로비에 들어서면 1층에서부터 7층까지의 벽면에..
박명권, 최이규/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Part 1. 조경공사 하자 총론: 시설물 공사에서의 하자 유형 분석
- Analysis of Different Types of Defects in Facility Construction
조경시설물의 정의국토교통부의 조경기준에 의하면 “조경시설”이라 함은 조경과 관련된 파고라 ? 벤치 ? 환경조형물 ? 정원석 ? 휴게 ? ..
이형철/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6월70호
- 류지훈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지원처장
- “친수공간 창출과 문화콘텐츠 개발, 조경분야의 한 축이다”물이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새로운 패러다임, 조경영역 확장 가능성 시사
역대 최장 장마였다. 심지어 장마 중 비가 내리는 주기..
이형주 기자/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최재혁 _ (주)비·오 이엔씨 Be·Oh ENC 대표
- 입추와 처서를 지나, 드디어 9월이다. 아직도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지만 곧 단풍을 볼 수 있겠다는 기대도 하게 된다. 또, 올해 초부터 이어온 조경계의 인물들을 소개하는 꼭지가 지면에 소개되..
강진솔/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커뮤니티 공간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들
- 이제 커뮤니티 디자인을 이야기할 때, 주민참여를 따로 덧붙여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굳이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디자인’이라는 장황하고 이상한 말을 쓰지 않아도 온전히 그 내용이 설명..
문정석/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인천 제물포의 6개월간의 이야기
-
인천은 1883년 개항을 기점으로 폭발적 성장을 하였다. 항만을 매립하고 도서지역을 편입시켜 도시의 면적이 170배나 확장되었다. 1968년 원도심은 인천 전체 면적의 53%였고 그 중 남구가 48%를..
오형은/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커뮤니티 디자인 전개와 추구 가치|커뮤니티디자인
-
영화 설국열차가 ‘시스템 밖을 상상하라’는 암시를 던지며 마무리 짓듯이,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추상적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마을, 커뮤니티’가 재검토되고 있다. 시민사회 곳..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수원 SK Sky VIEW
- Suwon SK Sky VIEW
수원 SK Sky VIEW는 SK케미칼 공장으로 사용되어오던 부지를 개발하여 공동주택으로 조성하였다. 최대 40층의 랜드마크 타워동을 조성하고 건폐율을 낮춰, 초기설계부터 보다 넓..
정관웅, 김경렬/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클라이드 워렌 파크
-
Klyde Warren Park
미사용 중인 8차선 우달 로저스 고속도로(Woodall Rodgers Freeway) 상층부에 건립된 5.2에이커(21,000㎡) 넓이의 클라이드 워렌 파크(klyde Warren Park)는 텍사스..
환경과조경/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정원|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정원
-
“강은 변함없이 묵묵히 흐르고 있다. 강은, 이윽고 재가 되어 자신 속에 흩뿌려질 시신에도, 머리를 그러안고 꼼짝도 않는 유족 남자들한테도 무관심했다. 이곳에서는 죽음이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이 똑똑..
신남례/월간 환경과조경/2013년9월305호
- 디자인파크개발
- 꽃길
- 휴안
- (주)원앤티에스
- 에스에이건설
- 가나안건설
- 로프캠프
- 윤토
- 미주강화
- 아썸
- (주)동림이엔씨
- 이맥스아쿠아

- 예건
- 키즈몽코리아
- 브레인트리
- 엘그린
- 림인포테크
- 샘디지텍
- (주)대지개발
- 인포21c
- 일진글로벌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상명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