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적산과 품셈 ; 조경시설물 기반공사 적산의 유의점
- 1.운반공사의 적산 운반공사는 건설공사용 자재를 인력 또는 건설장비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작업을 말한다. 조경공사에 있어서는 공사의 특성인 산재성(散在性)으로 인해 현장 내에서 자재를 이동하여야 하는 ..
박원규/계간 조경생태시공/2004년9월10호
- 임하댐 상류저수지 및 하천 수생태환경 보전 · 복원
- 불가피하게 만들어지는 대규모 토목사업들과 생태 환경적 복원방안, 그 중요성은 새삼 강조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도시화 진행되면서 많은 인구가 사용할 물의 현명한 이용이야말로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
변우일/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11월39호
- 쉽게 풀어쓰는 조경토양(8)
- 수목이 토양 환경에 의해 피해를 보았을 때 문제는 토양 자체의 건조, 과습 문제 등 토양 환경 불량과 사람에 의해 복토, 심식되었을 때 등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토양의 ..
박현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11년9월63호
- 서울숲 시공과정과 묻혀지지 않은 이야기들
- <환경과조경> 2005년 9월호에 소개된 서울의 센트럴파크라고 하는 서울숲의 특집기사, 그것도 장장 60쪽을 차지한 기사에는 실제 공사에 참여한 전문건설업체의 소감이나 의견은 전혀 찾아 볼수 없었다...
홍태식/계간 조경생태시공/2006년1월18호
- 수경시설의 경관조명
- 원래의 의도와 목적에 어울리지 않는 분수의 설치는 막대한 비용만 낭비할 수 있다고 흔히들 얘기한다. 하지만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수경시설은 공공공간을 좀 더 가치있는 공간으로 만드는데 효과적이라는 점..
John S. Loomis/계간 조경생태시공/2003년11월5호
- 복원의 평가: 성공적인 복원의 정의
- 성공적인 생태 복원을 위해 필요한 요건은 무엇일까? 미국 작가 테리 템피스트 윌리엄스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복원은 과거를 소중히 하며, 미래를 대신하는 생태학적인 행동이다” 성공적..
Linda Krippner /계간 조경생태시공/2009년6월54호
- 뉴질랜드의 자연경관과 식물
- 강수량이 많고 연중 고르게 비가 오는 까닭에 나무들이 온통 착생식물과 이끼로 뒤덮인 뉴질랜드의 숲은 아열대 우림(subtropical rainforest, 북섬 일부)과 대부분의 지역이 해당되는 아남극대 우림(subantar..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4년1월6호
- 회양목, 꽃사과, 조팝나무, 향나무 병해충
- -회양목 명나방
피해초기에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잎의 엽육을 가해하다가 성장함에 따라 잎을 여러개 거미줄로 철하고 그 속에서 잎을 가해하므로 쉽게 피해를 발견할 수 있다. 피해가 심한 곳은 초기에 ..
이승제/계간 조경생태시공/2003년7월3호
- 석회석 광산 지역의 자연회복과 국내에서의 적용방안(2)
- Ⅲ. 석회석 광산 생태복원의 대표적 사례 -이부키광산-이부키광산의 개요이부키광산은 일본 시가현(滋賀縣)에 위치한 이부키산(伊吹山)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부키산의 정상부에는 천연기념물구역으로..
김남춘/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3월31호
- 쉽게 풀어쓰는 조경토양(14): 나무와 토양환경(8)
-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게 되면 유기물에 포함된 각종 비료성분이 우리가 원하는 대로 식물에게 흡수·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직접 흡수되는 것은 시용한 것의 일부분이며 나머지는 물리적·화학적 또는 토양미..
박현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13년3월69호
- 쉽게 풀어쓰는 조경토양(9)
- 나무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환경은 크게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회에 걸친 연재에서 토양수분과 공기 등 주로 토양의 물리적 영향이 나무에 미치는 피해와 방제 방..
박현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11년12월64호
- 조팝나무
- 분포 및 특성
조팝나무는 우리나라의 전통수로서 전국 각지의 산야(표고 100~1,000m)에 자생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주로 논둑, 밭가, 숲가, 산기슭, 산록의 양지, 돌밭 등에서 잘 자란다. 토질은 ..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5월45호
- 칠엽수
- 마로니에는 웅장한 수형과 싱싱한 잎과 밤처럼 생긴 열매의 귀여움도 있으나 역시 나무를 온통 덮어버리는 화려한 꽃 때문에 돋보이고 명성도 얻는 것이 아닌가 한다.
칠엽수(Aesculus turbinata)는 무환자..
하유미/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9월37호
- 이맥스아쿠아
- 아썸
- 미주강화
- 꽃길
- 디자인파크개발
- 휴안
- 윤토
- (주)동림이엔씨
- 가나안건설
- (주)원앤티에스
- 에스에이건설
- 로프캠프

- 엘그린
- 상명대학교
- 키즈몽코리아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예건
- 브레인트리
- (주)대지개발
- 림인포테크
- 인포21c
- 샘디지텍
- 일진글로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