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LA ; 모두가 한마음으로 꾸민 성공적인 대회였다
- 본 대회가 서울 경주 그리고 무주에서 개최되는 관계로 서울조직위원지 영남조직위원회 호남조직위원회가 각각 구성되어 대회 준비에 임해왔으며 조직위원회 임원 53명 사무국 요원 22명 자원봉사자 103명 등..
김익수/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포천아트밸리(Pocheon Art Valley)
- 문화체육관광부는 ‘근대산업유산 문화벨트화사업’이라는 주제로 지역공모를 통해 포천시의 폐채석장(閉採石場), 군산시의 내항일원, 신안군 증도(曾島)의 태평염전 창고군, 아산시의 도고온천역 중..
손영혜/월간 환경과조경/2011년2월274호
- 물다듬무늬 석제품- 다양한 표면 연출이 가능한 무늬석
- 이번에 소개하는 물다듬무늬 석제품은 (주)초석석재산업의 특허기술(제0457208호)인 물다듬 공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단조로운 표면마감으로 식상한 모양만을 지향해오던 석재에 다양한 표면연출을 더함으로써 ..
초석석재산업/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2월30호
- 한국론타이(주)
- 한국론타이(주)는 일본으로 녹화용 원자재를 수출하며 환경복원에 대한 중요성을 일찌감치 깨달아 녹화소재에 대한 자체적인 노하우를 축적, 곳곳에 건설되는 도로, 주거지대 및 공원, 신도시 등에 경제성과 ..
백정희/계간 조경생태시공/2003년7월3호
- 21세기 한국도시공원의 안전성
- 공원의 안전성능안전한 공원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시민의 이용이 적고 실제 범죄발생 빈도가 높았던 야간시간대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야간 조명시설 및 방범시설 설치 증가, 순찰활동의 강화 ..
강부성/월간 환경과조경/2013년7월303호
- 미츠코시(三越) 포목점 옥상정원
- 1914년 당시의 옥상정원 고찰(1)
이 연재에서는 몇 번이나 소개해 온 미츠코시(三越) 포목점의 옥상정원이지만, 새로운 자료가 또 손에 들어 왔으므로 소개한다. 끈질긴 녀석이라고 생각될 것 같지만 이런 수..
야마다 히로유끼/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11월39호
- 꽝꽝나무
- 분포 및 특성꽝꽝나무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부안과 제주도(표고 1800m까지), 거제도, 보길도 등 남쪽 섬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활엽관목이다. 토양은 토심이 깊고 수분이 있는 비..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7월47호
- 경상북도 야생동물 생태공원 조성계획
-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산 78번지 일대·면적 : 70ha·발주처 : 경상북도청 산림과·사업비 : 약 40억원·기본계획 :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
필자가 작년 12월부터 금년 3월까지 수행한..
이병훈/월간 환경과조경/2003년8월184호
- 삼성 수지 5차 아파트 - 독특한 중앙광장 돋보이는 ..
- 삼성 수지 5차아파트는 삼성전자 임직원을 비롯해서, 계열사 직원들의 임대아파트로 계획되었는데, 어느정도 동 배치가 마무리되었을 때 단지 특화전략이 대두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뒤늦게 조경가..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1년9월161호
- IFLA ; 활기찬 도시의 장소들
- 제 3분과는 9월 4일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김기호 교수의 사회로 도시와 조경 에 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캐나다 제이콥스 교수의 기조연설을 듣는다. 지속 가능하고 공평한 도시 발전은 결국 어떻게..
피터 제이콥스/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대전엑스포 조경현장 ; 엑스포 대종
- 엑스포 93 회장에는 전통기술과 첨단 과학기술의 만남을 상징하는 기념물이 될 엑스포대종 및 종각이 건립된다. 면면히 이어 온 우리 조상의 과학적 슬기를 되살리고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부각함에 그 목적을 ..
권혁미/월간 환경과조경/1993년7월63호
- 오감의 정원
- Five Senses Garden
빗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언제부터인가 비 소식을 들은 날이면 설렘으로 그녀를 기다린다. 한번에 달려오면 좋으려만 한밤중이 돼서야 찾아온다. 감나무 잎 새에 떨어지는..
김현욱/월간 환경과조경/2013년7월303호
- 대지미술을 보는 자연의 눈
-
A Eye of ‘Nature’ to See Land Art대지미술은 Land Art, Earth Art, Earth Work, Natural Environmental Art 등으로 불린다. 대지, 지구, 자연, 환경과 같은 개념이 눈에 띄는 것은 대지미술이 ..
김종길/월간 환경과조경/2010년7월267호
- 이맥스아쿠아
- 디자인파크개발
- 에스에이건설
- 미주강화
- 윤토
- (주)동림이엔씨
- 가나안건설
- 로프캠프
- 꽃길
- (주)원앤티에스
- 휴안
- 아썸

- 브레인트리
- 림인포테크
- 일진글로벌
- 예건
- 상명대학교
- 인포21c
- 키즈몽코리아
- (주)대지개발
- 엘그린
- 샘디지텍
- CA조경기술사사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