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광진구 능동로 주변 분수시설계획 현상공모
레인보우스케이프(주)+조경설계 이안 서울시 광진구청은 능동로 주변의 건국대병원 주차장 부근에 분수광장을 조성키 위해 현상공모를 실시, 지난 12월 7일 당선작을 발표했다. 최종 심사결과 당선작에는 ‘레..
레인보우스케이프/월간 환경과조경/20052202
신설 골프장 잔디조성 공사의 경험적 고찰
잔디의 줄기 파종은 3~4월 근경을 1, 2마디 정도 남기고 잘게 잘라 부지를 정지하고 그 위에 뿌린다음 배수가 잘되는 흙으로 복토하여 롤러로 다져 증식시킨다. 식재방법은 간단하나 2~3년 후에 피복되는 결점..
이대우/월간 환경과조경/1992953
로렌스 월퀴스트, 그의 디자인관과 교육철학 그리고 작품
그는 버얼막스나 로렌스 헬프린과 같은 천재적인 조경가는 아니다. 그러나 그는 조경에 대한 분명한 신념과 열의를 갖고, 나름대로의 디자인관을 구축하여 미국 조경계의 중진으로 활약중인 대표적인 조경가로..
나현영/월간 환경과조경/198528
정원기행 ; 삼성동 우씨 정원 외 1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363
개척과 수호를 위한 조경인의 위상, 서울시 조경관계 조례 개정에 붙이는..
그동안 사정이 바뀌어 앞장서서 끌어 주시고 챙겨 주시던 분의 거취가 바뀌고 한국종합조경공사가 민영화되는 과정의 혼란과 조경공사업면허가 개방되면서 정작 자기것을 챙겨야 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눈앞..
오상평/월간 환경과조경/1987316
2006 중국 심양세계원예박람회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강호철/월간 환경과조경/20067219
마포강변 현대홈타운
· 위치 : 서울시 마포구 현석동 50번지· 대지면적 : 24,696.00m2· 조경면적 : 8,062.10m2· 세대수 : 510세대· 시공사 : (주)현대건설· 조경설계 : (주)우리엔 디자인펌(대표 강연주, 정인경 팀장)· ..
유송영/월간 환경과조경/20053203
사우스 포인트 파크
South Pointe Park 다양한 도시 공원 프로그램과 지역 정원, 회복된 자생 서식지의 통합, 그리고 도심 동선체계와의 연결을 통해, 그동안 잘 이용되지 않던 이 공원은 새롭게 재생되어 주변과 지..
Hargreaves Associates, Inc./월간 환경과조경/20127291
대구 남구청 조각공원 현상설계 당선작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씨토포스/월간 환경과조경/20054204
개나리, 후피향나무, 사스레피나무
1. 개나리 과명 : 물푸레나무과 학명 : Forsythia Koreana Nakai 영명 : Golden Bell, Korean Forsythia 2. 후피향나무 과명 : 차나무과 학명 : Ternstroemia japonica Thunb. 영명 : Ternstroemia 3...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751
2013 경기정원문화대상
도시, 정원을 꿈꾸다지난 5월 23일, ‘2013 경기정원문화대상’의 시상식이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에서 개최되었다. 이곳은 이번 공모의 대상을 수상한 장기영 씨의 ‘자연과 함께 하는 정원’이 자리한 ..
박지현 /월간 환경과조경/20137303
문화재조경수리기술자 시험정보(4)
지난호에 이어 문화재보호법의 중요내용을 소개한다(단, 번호는 편의상 붙여놓은 것이며, 원문은 소제목 우측에 표기된 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또한 이번호에는 문화재보호법과 함께 시..
노송호/월간 환경과조경/20027171
밸러스트 포인트 공원
Ballast Point Park시드니 항의 하류 버치글러브Birchgrove 반도에 있는 규모 2.5헥타의 밸러스트 포인트 공원은 과거 산업 윤활유 생산지였다.‘ 메니비아Menevia’란 해안 주택의 토착민과 시작된 ..
Mcgregor Coxall/월간 환경과조경/201010270
파리서울공원 현상공모 당선작(삼성에버랜드(주) 환경개발사업부)
서울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는 자매도시인 파리시와의 우호협력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파리 서울공원”조성을 위해, 지난 6월 기본 및 실시설계 현상공모를 실시했다. ‘한국의 이미지를 프랑스에 부각..
편집자주/월간 환경과조경/20008148
우물
우물 샘은 우리의 생명수를 얻는 곳이다. 이 우물과 샘을 가장 정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의 선조들은 어떠한 수법을 사용했을까. 다행히 옛 기록들이나 유구들이 더러 남아있고 특히 신라시대의 우물에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467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