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올해의 조경인 ; 이규목 서울시립대학교 교수[학술..
각종 위원회 활동으로 조경분야 위상 확대조경설계 이론 확립과 후학 양성에 노력대한민국 조경분야의 양적인 성장은 눈이 부신 수준이지만, 아직까지도 조경학은 그 정체성의 문제를 둘러싸고 고민..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오동나무와 그 종류들
중부 이남의 따뜻한 곳에 주로 심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나무높이 15∼20m, 지름 80cm까지 이른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매우 커서 길이 15∼20cm, 너비 10∼30cm정도나 되며 뒷면에 갈색 털이 있다. 잎의 가장자..
하유미/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홍유릉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석래, 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이동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부산 100만평문화공원 1단계 조성사업 설계공모전 ..
(사)100만평문화공원조성범시민협의회와 한국조경학회(조경설계연구회)는 100만평문화공원 사업의 1단계 사업에 신진 조경가들의 참신하고 독창적인 설계안을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올해의 조경인 ; 홍기문 대한주택공사 조경설계단 ..
공기업 최초로 총괄조경가MLA제도 도입,성남판교·파주 운정 등 대규모 설계공모 개최로 조경설계의 질적 향상에 기여조경설계분야에 있어서 그 어느해 보다 굵직굵직한 대형 프로젝트가 많았던 올 ..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조경 팬이 조경인께 드리는 편지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진애/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화성 동탄신도시 조경공사 시공일지(2)
파크골프장동탄 신도시 시범단지내 체육공원은 유아부터 노인층까지 폭넓은 연령층의 여가활동을 위한 생활체육시설이 마련되어있다. 특히 파크골프장은 가족단위의 이용객들을 위한 대표적인 시설이다. 기존..
이창윤/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백두대간지역 도로비탈면의 생태복원방안
최근 백두대간 보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백두대간의 주요 훼손지에 대한 생태복원 방법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백두대간 훼손 유형으로 채광과 채석장, 벌목이 중요하..
김남춘/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맥문동과 맥문아재비
추운 겨울이 다가오면서 황량해진 경관은 다시금 상록성 식물들에 대한 관심을 들추어 낸다. 가장 흔히 쓰이는 지피식물의 한 종류로서 널리 쓰이지만 그 가치에 비해 대접을 별로 못 받는 것 중에 ..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화살나무, 백철쭉, 주목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조수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서울 강남 코엑스 조경관리
지구에는 수십억명의 사람이 살아가지만, 그 중 두 사람이 완전히 같은 얼굴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없다. 이 수십억명의 생각은 어떠할까? 결코 같지 않을 것이다. 다만 그 생각을 찬성, 반대, 중립..
최자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북한의 국토 및 지역개발에 의한 조경공간 형성(2)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신원/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리 시우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712236
2007년 조경계, 말들의 풍경
“한국 조경은 허전하다. 쏟아지는 프로젝트를 힘겹게 해내기에 급급한 위태로운 풍경이다.(중략) 이 시대 한국 조경은 무엇을 생산하며 사회와 소통하고 있는가?” - 배정한, 서문 중 - 2007년, 유난히 차..
나창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