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전통조경과 현대조경의 현주소 ;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본 조경물
공해에 찌들리고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도시인에게 휴게시설이나 편익시설은 가장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기준으로 시설의 각종 치수를 설정하여야 하..
이진희/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조경시공과 실무
업무체계도에 의해 조경공사의 수주부터 준고, 하자처리까지의 일련의 업무체계를 성실히 원마하게 진행하면 훌륭한 조경시공물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운 과정에 의해 공사가 마무리 됨으로 조..
강인철/월간 환경과조경/1992448
옥상공원 연간 유지관리
헌법재판소 백송하늘공원 사례를 중심으로옥상녹화시스템 유지관리1) 녹화시설관리① 배수설비관리배수구, 드레인을 철저히 점검하여 방수층 누수를 예방해야 한다. 낙엽이나 쓰레기가 배수구를 막지..
심태섭/계간 조경생태시공/2010658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2): 요소 분해와 연계성
구조주의의 본질은 ‘체계적으로 잘 짜여진 일련의 구조체’로 대상을 보는 관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언어학이나 인류학 등과 같은 타분야에서는 해석이 쉽지 않은 추상적 대상을 객관적 언어..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0912260
길, 마당, 광장을 돌아봄
길(道)태초에 땅은 아직 꼴을 갖추지 못하고 비어 있었다. 「구약성경」 ‘창세기’에 의하면, “하느님께서는 뭍을 땅이라, 물이 모인 곳을 바다라 부르셨다”고 한다. 또 하느님께서 땅에는 푸른 싹을..
홍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9955
골프코스 잔디의 시공
씨앗의 품질(SEED QUALITY)모든 씨앗들은 유해한 잡초씨앗이 포함된 어떤 씨앗도 허락되지 않으며 최근에 채취된 것이어야 한다. 씨앗의 분석자료는 거래기준에 따라야 한다. 발아시험은 반드시 지..
이상재/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40
마북리 현대홈타운
· 위치 : 경기도 용인시 구성면 마북리 산 16-1· 대지면적 : 85,561.52㎡· 조경면적 : 42,647.25㎡· 세대수 : 795세대· 시공사 : 현대건설주식회사· 조경설계 : (주)그룹한(대표 박명권)· 조경식재·..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38184
조경계, 우리의 입지와 권리를 되찾자 ; 건설업법 시행령 개정건의 ; 조..
조경학은 학문적으로 완전 독립되어 있고 기술자도 별도로 면허를 취득케 하고 있는데 완전히 별도 분야인 조경을 토목에 포함시켜 토목공사업자가 수주케하고 토목기사가 시공케 하려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
이동철/월간 환경과조경/1993662
도시연대 한평공원 만들기 小史 _ 한평공원 써먹기
“동네에 버려지거나 효율이 떨어진 공간을 주민참여를 통해 공원으로 만든다.” 이것이 한평공원만들기의 과정을 한 줄로 설명한 것이다. 한평공원만들기의 첫째 목표는 이러한 주민참여과정을 제대..
최성용/월간 환경과조경/20139305
장소마케팅 ; 도시에서의 장소 팔기 : 세 가지 기본..
1. ‘공간’과 ‘장소’ 구분하기대학원에 진학한 후 맞았던 첫 3월, ‘공간’과 ‘장소’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라는 교수님의 주문에 한참 머뭇거렸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둘에 대한 구분과 이해가 조금 ..
강동진/월간 환경과조경/20086242
일시적인 것, 사라지면서 존재하다
A temporary thing, exist while disappearing 크리스토 & 장 끌로드는 정말 독특한 작가들이다. 포장 예술가라고 해야 할까? 프랑스의 퐁네프 다리나 독일의 의회건물 라이히스탁과 같은 건축..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93251
아름다운 정원 ; 원형플랜터를 이용한 정원
 중구 필동, 남산아래 위치한 이 주택은 전체면적 210평, 조경면적 100평이며 밀집된 주택가에 속해있어 그리 전망이 좋은 편은 아니다. 설계·시공은 효록원에서 시행하였다. 이런 불리한 지리적 여건임..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931
장흥다목적댐 배면부 친환경 녹화
추진 배경장흥다목적댐은 2000년대 서남권 해안지역 개발과 산업도시 조성 등 지역발전에 따른 용수 수요확보, 지역내 홍수피해 경감및 가뭄에 대비하고자 건설되었다. 그러나 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규모 다목..
오구균, 류지훈, 지용기/계간 조경생태시공/20051117
좌담 ; 조경관리의 실태와 전망
김은성 - 관리부문에 따른 예산상의 문제, 제도적인 문제, 발주처의 인식문제 등이 가장 당면한 큰 문제황의기 - 앞으로 체계적인 관리방법들이 하나하나 연구되어 일반인들로부터도 인식을 달리할 수 있게 해..
김은성, 남형진, 류근구, 박인규, 조성국, 황의기/월간 환경과조경/1991340
스트로브잣나무
White Pine 낙엽수들이 모두 낙엽이 지고 앙상한 가지를 드러낸 추운 겨울에 녹색을 띠고 있는 상록수들을 보면 한편으로는 애처롭기도 하지만, 회색의 도시에 활력을 주는 유일한 모습인 듯하다...
이선아/계간 조경생태시공/20121268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