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슬라위트다이크 댐 개조의 미래
- The Future of an Adaptive “Afsluitdijk”이 프로젝트는 국토의 절반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 네덜란드에서 홍수 범람으로부터 내륙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댐에 대하여 기존 댐과 주변 지역이 가..
Monique Sperling/월간 환경과조경/2011년8월280호
- 만경강 자연생태하천 가꾸기 (3) - 식재 안정성
- 식재기본구상 및 식재수종선정
식생도입 기본방향
만경강 하천의 식생도입은 만경강 하천생태계의 구조적, 기능적인 복원을 목적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복원은 하천 고유의 이·치수기능을 유지하며,..
김세천/월간 환경과조경/2001년1월153호
- 4대강 정비사업 들여다보기
-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의 주재로 개최된‘2008년 제3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이하 4대강 정비사업)’의 진행을 발표한 시점..
나창호/월간 환경과조경/2009년2월250호
- 식물원 ; 미국의 식물원
- 미국의 유명한 식물원- 국립수목원수목 연구를 목적으로 1927년 설립이 가결되어 1973년에 수목원은 4백44에이커의 넓은 국가지정 사적지에 터를 잡았다. 50만점의 식물표본을 소장하고 있고 방대한 표본으로 ..
최상범/월간 환경과조경/1996년7월99호
- ㈜두레환경디자인
- 아래의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7년6월230호
- 제1회 환경시설물 디자인 공모전
- 우수상Kinetic김영준,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경설계전공, 김영숙, 일반
가작天中水신풍석·건림원
가작Arch김지연, 청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가작스트리트 퍼니쳐이상락, 전북대학교 대학원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1년12월164호
- 제 3회 서울시 조경상
- 서울시는 도시조경 수준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자 서울시내에 조성된 우수한 조경사계를 전정했다. 지난 8월 작품을 공모한 총 12작품이 응모, 관게공무원 시의원, 언론인 학계 관련단체장 등으로 구성된 13명..
편집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1월79호
- 사이드 이펙트
- Side Effect
‘사이트 이펙트’가 위치한 대상지는 도시의 거주지역과 공업지역의 경계선상, 즉 ‘중간’지대라고 부를만한 곳에 있다. 이 지역은 도시계획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여 버려졌다. 대..
박상백/월간 환경과조경/2012년3월287호
- 고성왕곡마을
- Wanggok Folk Village
고성왕곡(高城旺谷)마을은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 1리에 182,112.7㎡ 면적을 가진 양근(陽根)함씨와 강릉(江陵)최씨의 동족부락으로, 고려말 두문동 72인 중의 한 명인 ..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09년3월251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8)
- 봉추선생 방통이 젊은 나이에 죽은 면죽 낙봉파낙봉파는 사천성 면죽(綿竹)을 지나 산길로 20킬로미터 들어간 곳에 있다. 이곳에는 방통묘뿐 아니라 백마파, 백마관, 방통사 등이 있다. 인근 계곡에..
이규목 /월간 환경과조경/2010년11월271호
-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
- 생태계내에서의 생물다양성의 역활
생물 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또는 Bio diversity)이란 모든 식물, 동물종뿐만 아니라 미생물과 생태계 또는 생태적 과정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용어는 자연의 변..
김용식/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0월66호
- 아썸
- 로프캠프
- 이맥스아쿠아
- (주)동림이엔씨
- 에스에이건설
- 꽃길
- 미주강화
- 휴안
- (주)원앤티에스
- 윤토
- 가나안건설
- 디자인파크개발

- 키즈몽코리아
- 브레인트리
- 일진글로벌
- 샘디지텍
- 엘그린
- 상명대학교
- 림인포테크
- 인포21c
- 예건
- (주)대지개발
- CA조경기술사사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