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남해 도서관광개발과 자연보전
- 서남해 도서(島嶼)는 더 이상 낙도(落島)가 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도시민만이 잠시 쉬었다 가기 위한 휴양지도 아니다. 다행히, 이 땅은 아직 퇴색되지 않은 자연의 순수함과 인간의 원초적인 모습이 그런대..
김농오/월간 환경과조경/1989년9월31호
- 밀레스고덴의 조각공원
- 밀레스는 거의 모든 작품에서 살아 움직이는 동작을 묘사함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그 절묘함에 저절로 탄성을 발하게 한다. 밀레스 작품의 Movement속에는 비상, 도약, 춤추는 동작으로 구분 지울 수 있다. 밀..
오휘영/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월21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3): 의미는 차이에서 비롯..
- 작품 읽기의 즐거움“저 친구 설계 참 잘해”라고 할 때,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일까? 손의 감각이 좋은 것만을 칭하는 말은 당연히 아니다. 우리가 막연히 말하는 ‘설계’, 혹은 ‘디자..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0년2월262호
- 말레이지아의 올드 모스크
- 올드모스크의 내부는 짧은 옷차림이나 신을 신고서는 들어갈 수 없고, 많은 신도들이 엎드려 절을 한다. 흰 대리석으로 내부를 장식한 것이 한층 엄숙함이 깃든다. 올드모스크의 정면 - 도심의 빌딩속에 잠겨 ..
전순배/월간 환경과조경/1989년7월30호
- Namgye Seowon
- 남계서원 Namgye Seowon which is located in 586, Wonpyeong-lee, Sudong-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s 4,810㎡ area. It was given the name “amgye”in the 19th year of King Myeong..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0년1월261호
- 다섯 가지 시선 ; 한국 조경설계를 변하게 한 작품들
- 삶의 풍경이, 문화의 지평이 변화의 몸살을 앓고 있다. 동시대 조경의 지형도가 변하고 있는 장면 또한 다양한 각도에서 목격된다. 시간이 존재하는 한 변화라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다. 무언..
배정한/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월201호
- 도심휴게공간의 조경디테일 ; 배식의 상세
- 주변환경과 식재계획으로 기후대를 고려한 수종 선정, 방위를 고려한 설계, 일조권을 고려한 설계, 토양의 구성성분을 고려한 설계, 토양수분의 함유율을 고려한 설계, 계획 복지의 공간 성격을 고려한 설계가..
원운재/월간 환경과조경/1989년11월32호
- IFLA ; 뜻깊은 만남의 장소, IFLA 총회
- 본지에서는 제21차 헝가리 총회에서부터 지난해 콜롬비아 총회까지 한 회도 빠지지 않고 참석, 각 대회를 지켜보고 우리나라 조경 발전에 일익을 담당해 온 현영조 씨로부터 역대 대회 참관기를 듣기로 했다. ..
현영조/월간 환경과조경/1992년8월52호
- 2011광주디자인비엔날레 어반폴리 프로젝트
- 디자인으로 채워지는 광주, 시민들의 참여로까지 이어져 2011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도심 재생 및 세계적 디자인 도시로서의 기반 구축을 위해 추진하는 어반폴리Urban Folly 프로젝트의 ..
김세영/월간 환경과조경/2011년4월276호
- 남원 몽심재
- Namwon Mongsimjae
남원 몽심재는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내호곡2길 19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숙종 시기 연당 박동식이 지은 호남 상류층 살림집의 전형이다. 면적은 2,253㎡로 경사진 지형을 활..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2년12월296호
- (주)원앤티에스
- 가나안건설
- 로프캠프
- 윤토
- 꽃길
- 아썸
- 휴안
- 디자인파크개발
- 미주강화
- 이맥스아쿠아
- 에스에이건설
- (주)동림이엔씨

- 상명대학교
- 인포21c
- (주)대지개발
- 샘디지텍
- 일진글로벌
- 키즈몽코리아
- 브레인트리
- 엘그린
- 림인포테크
- 예건
- CA조경기술사사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