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IFLA ; 지구환경시대와 새로운 조경의 패러다임
또다시 국제사회에서 개발과 환경을 통합시킨 새로운 개념인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개발(ESSD)’을 정립하여 범지구적인 환경문제를 다루어 나가는 지구환경의 기본 질서로 도입한 새로운 환경시대의..
노융희/월간 환경과조경/19921054
녹지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소나무 병해로는 소나무 피목지고병, 잎 녹병, 끄름병, 뿌리썩음병, 리지나 뿌리 썩음병 등이 있다. ※ 키워드 : 소나무 병해 ※ 페이지 : p81-85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347
프랑스(19) - 프랑스의 경관론을 어떻게 바라볼 것..
 우리 시대의 설계언어, 프랑스편을 2년 가까이 연재하면서 프랑스의 거의 모든 대표적인 현대조경이론가들을 소개하였다고 생각한다. 아직 거론되지 않은 세르쥬 브리포(Serge Briffaud), 프..
박정욱/월간 환경과조경/20014156
서울올림픽공원 88호수 음악분수 설치계획
올림픽공원내 88호수에 음악분수를 설치하여 제 24회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영원히 기념하고, 인공호수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으로 호수 수질을 개선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모색하고, 평화의 광장을 비롯한..
주) 한국마하우어/월간 환경과조경/1989529
한국조경 40년; 시민과 함께 미래로!
한국조경 40년 기념식 및 심포지엄 지난 2012년 12월 27일, (재)환경조경발전재단과 (사)한국조경학회의 주최로 한국조경의 40년을 기념하는 행사와 심포지엄이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되었다.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2298
아산 배방지구 공동주택 설계경기 당선작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412200
“구름 Rolling Space"전
- ‘미술과 건축 사이’ 주제로 심포지엄도 개최 - 마로니에 미술관에서 개최되고 있는 “구름 Rolling Space”전은 작년 8월에 열린 “공원 쉼표 사람들 Park_ing”전과 올 3월에 개최된 “이야기하는 ..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48196
중국의 전통조경 ; 원야론
이계성의 원야내용의 첫머리에는 흥선론이라는 제목의 일문을 두고 3공의 장, 칠공의 주인이란 속담을 듣지 않았는가라고 논하고 원림에 대한 계획과 의식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은 원설의 일문..
김영빈/월간 환경과조경/19881126
통일신라의 안압지
안압지는 경주시가로부터 동쪽으로 약 1km를 가면 불국사 국도변 좌측 인왕동 월성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1975년부터 1976년까지의 발굴로 안압지의 전모가 맑혀졌으며, 그에 관한 복원사업이 끝나게 되어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8528
정원기행 ; 성북동 송교수님 정원
나지막한 남색대문을 열고 조심스레 발길을 문안에 들여 놓자 길게 뻗은 후박디딤돌이 인상적으로 눈에 띄고 양옆으로 늘어선 나무들이 넙죽 인사를 하며 반긴다.이 집의 정원은 정방형에 가까운 2개의 전정이..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4107
기업도시 조성시 유의할 점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명래/월간 환경과조경/20063215
강촌리조트
· 위치 : 강원도 춘천시 님면 백양리· 발주처 : LG건설· 설계 및 시공 : 고려조경(주)(대표 정타) 강촌리조트의 조경은 기존의 타 스키리조트와는 차별화된 이미지 연출을 목표로 계획되었다. 따라..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48196
도시환경과 공공미술의 경계에서 - [3] 미술의 영원한 오브제 ; 自然
재현이 지나치면 자연 앞에 무릎을 꿇고, 표현이 지나치면 공허함이 남는다. 선사시대 동굴 벽화로부터 2004년, 현대미술의 [지금]까지 수많은 작품과 ...ism에도 불구하고 미술의 역사를 일축 하자면 결국..
심현주/월간 환경과조경/20046194
물과조경 ; 수경공간, 벽천 - 통일연수원 벽천
이 벽천을 중심으로 한 수경공간은 북한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연수원의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계류의 이미지를 도입하고, 등고차를 이용한 조경계획을 하였다. 벽천의 물이 떨어지는 수면부에는 세계의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1742
독일연방공화국의 토양보호정책과 토양보호법
환경정책적 문제를 숙고해 보면 토양문제는 종합사회적인 관점에서 착수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관점에 있어서 토양에 대한 테마는 토양의 현 상황이 어떠하며 장차 어떻게 관리되어야만 될 것인지에..
이영희/월간 환경과조경/1991114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