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모에레누마 공원
MOERENUMA PARK  모에레누마 공원은 삿포로시를 둘러싸고 있는 그린벨트 중, 북부녹지의 핵이 되는 도시공원으로 당초 쓰레기 매립장으로 이용되었으나, 1982년 공원조성이 결정되었고, 1988년..
안홍규/월간 환경과조경/20072226
석회석 광산 지역의 자연회복과 국내에서의 적용방안(1)
석회석은 화학식이 CaCO3으로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퇴적암이다. 이 석회석은 토건재료의 기본인 시멘트의 주원료로 매우 중요한 자원이며, 철강, 농업, 화공원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석회석의 용도를 살..
김남춘/계간 조경생태시공/2007230
용산을 이야기하다 ; 세상에서 가장 거친 숲으로 들..
‘그 용이 「증보 문헌 비고」에 따르면 백제 기루왕 때에 오늘의 용산구의 앞 한강에 나타나 하늘로 올랐고, 「동국 여지 승람」에는 양화 나루 동쪽 언덕 곧 오늘에는 행정 구역으로 마포구에 속하..
이수학/월간 환경과조경/20072226
서울시 조경분야의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필자도 조경공사 현장에서 기획하는 부서에서 열심히 뛰었고 퇴직하기 전에는 잊혀져 가는 이야기들을 기록으로 남기겠다는 마음으로 서울시 영구문서 서고를 먼지범벅이 되어가면서 약 2년 동안 자료를 정리..
박인재/계간 조경생태시공/2007230
사람이 없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최신현/월간 환경과조경/20072226
홍콩 및 싱가폴의 신주거단지
 건설사 조경협의회는 지난해 12월 홍콩과 싱가폴의 주거단지 및 관공서 등 우수조경사례를 답사하고 돌아왔다. 현지의 관계자로부터 설계 및 시공 과정, 현지의 법규와 생활, 문화의 차이점 ..
박준호/월간 환경과조경/20072226
마그리트의 <침범>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호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7230
용산을 이야기하다 ; 용산공원 개발과 관련한 엇갈린 시선들
용산 미군기지 이전부지 공원화 방안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24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앞 광장에서 개최된 ‘용산기지 공원화 선포식’에서 ‘정부주도’의 공원화 추진입장을 ..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71225
정원만들기(16); 식재 지반의 처리
식재 후 수목의 하부는 흙이나 잔디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 경우 수목의 줄기는 잔디깎기 도중 손상을 입을 수도 있고 또한 노출된 토양은 시각적으로 불량하거나 먼지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
이상석/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9
경서 국민임대주택단지 A블럭 아파트 및 부대복리시설 설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71225
작살나무
작살나무는 꽃보다 열매가 더 아름다워 열매를 관상하는 대표적인 나무로 손꼽히고 있다. 자주빛의 열매는 주위의 나무들이 한 잎 두 잎 낙엽지는 「나목의 계절」에 보다 매혹적인 제 모습을 나타낸다. 구슬..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9
장수 경주마육성목장 조경공사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조수연/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9
고려대 자연계 캠퍼스와 하나스퀘어
고려대학교는 개교 100주년(2005년)을 기점으로 대대적인 캠퍼스 보완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왔다. 그 기본 골자는 차가 없는 보행자 중심의 캠퍼스를 만들어 가는 것이었고, 이미 본교 캠퍼스의 대..
박준서/월간 환경과조경/20071225
생태ㆍ환경복원의 이론과 실제; 도시생태계 복원(1)
최근 여름철의 집중강우와 도시화 및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홍수의 문제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재해영향평가를 실시하여 개발지구내 저류시설이 만들어져 왔으며 이러한 저류시설..
변우일/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9
수경시설 조성시 고려사항3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봉진/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29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