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도시의 녹과 열사병
옛날에는 흔히 일사병(日射病)으로 불리었지만, 현재는 열중증(熱中症)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의학 용어에서 ‘열중증’이란 더운 환경에서 생기는 장해의 총칭으로, 다음과 같은 현상이 있다.① 열실신:..
야마다 히로유끼/계간 조경생태시공/20051117
컴퓨터 조경설계 ; 조경시공에서의 컴퓨터 적용
조경공사 내역서 내용조경공사 내역서 작성은 건축, 토복 등의 건설공사 내역서작성과 비교하여 그 기본적인 구성형식은 동일하며, 수목식재공사의 경우, 그 내역내용이 더 단순하다. 수목식재 공사뿐만 아니..
이규석/월간 환경과조경/1993359
올해의 조경인 _ 특별상 - 이창환(상지영서대 조경..
올해 조경계 10대 뉴스 중 하나로 꼽힌 ‘유네스코, 조선왕릉 40기 세계문화유산 지정(환경과조경 2009년 8월호 참고)’소식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긍지와 자부심..
백수현/월간 환경과조경/200912260
판교 운중블록 공동주택 국제설계경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A조경기술사사무소/월간 환경과조경/20065217
평화의 댐 좌안광장
· 위치 :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 발주처 : 한국수자원공사· 조형벽체 : 아름다운 세상(이경순 조각가, 최병국 소장)· 조경설계 : 두레환경디자인(손경석 소장, 이상기 실장, 민창기 과장, 이..
민창기/월간 환경과조경/20062214
South Bank Parklands - 제 자리에 있는 환경조형물
■ 추천사이트 (1) 국내 제주조각공원, 제주 힐튼호텔, 경주 변산반도 국립공원, 전북 (2) 국외 Berlin 미술관 정원, 독일 Louisiana 미술관, 덴마크 South Bank Parklands, 호주 전..
문현주/월간 환경과조경/20013155
실내조경의 이해(1) - 건물에서의 실내조경
새로 지은 건물에서 실내조경의 위치에 대한 계획은 다른 공간에 대한 계획과 같은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져야 한다. 상업건물이나 공공건물에서 실내조경은 주 출입구의 얼굴과도 같아서 식물이나 수경관이 있..
원주희/월간 환경과조경/1993662
청평 오로라연수원
Aurora Training Institute  북한강 지류며 놀라운 경관을 제공하는 청평호수를 내려다보며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물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곳에 연수원이 자리 잡고 있..
최신현/월간 환경과조경/20137303
수변개발 ;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건축가의 참여
홍수를 막아내야 하는 치수의 대상으로 생각하던 한강은 시민이 쉽게 찾아가 이용해야 한다는 친수, 이수의 대상으로 바뀌고 있고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제까지 한강에 교량..
권문성/월간 환경과조경/20087243
안성 우림 루미아트
· 위치 : 경기도 안성시 공도면 진사리 산 48-1번지 외· 대지면적 : 32,080.9㎡· 조경면적 : 10,763.01㎡· 발주 : 우림건설(주)· 조경 설계 : (주)PMD조경기술사사무소(소장 이상종)· 조경 시공 : ..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49197
프랑스 동유럽선 고속철도 조경
경부고속전철의 건설을 계기로 고속철도 사업이 한국에서 시작단계에 있고 토목 조경 도시계획 국토개발 등 관련 전문분야뿐 아니라 전 국민적 관심속에 있는 현재 이 부문에서 세계제일을 자부하는 프랑스의 ..
오웅성/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설계의 중요성과 시공과의 관계
훌륭한 조경이 되려면 그 시작은 좋은 설계로부터 비롯된다. 좋은 설계란, 조건과 문제와 필요를 제대로 파악하고, 재치있는 창조적 아이디어와 전문적 기술로서 최선에 가장 근접되게 만들어진 안을 만한다. ..
안계동/월간 환경과조경/1993258
안동댐 상류저수지 및 하천 수생태환경 보전·복원
1. 들어가기 과거 치수, 이수 목적으로 지어졌고 국가 물부족 해소 및 수자원 확보정책의 원활성을 도모하기 위해 진행되어 온 댐 건설사업은 유수생태계를 정수생태계로 변화시킴으로써 유량, 수질 및 기..
변우일/계간 조경생태시공/2007937
아름다운 정원 ; 자연석을 활용한 정원
 일반적으로 주택대지의 필요충분 조건은 대지가 타 지역보다는 높되 평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즉, 건물은 대지위로 솟아 나와 조망이 확 트여 시원한 느낌을 주어야 한다. 그러나 높은 산이 별로 없는..
남기현/월간 환경과조경/1992347
화훼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의 파고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유망분야로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화훼산업이 토지집약적인 주곡농업과는 달리 자본기술 집약적인 상업농으로서 소득이 높..
천홍범/월간 환경과조경/1991541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