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창덕궁의 비원2
비원의 원림속에는 인간의 자연화와 인간화를 추구한 아름다움이 있으며 원림, 건물과 연소, 괴석, 담장, 석교, 계간, 폭포, 천정, 암석, 기구, 보도가 지세에 따라 적절히 융합되어 계곡마다 다은 경관과 기..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0937
사라 듀크 가든(The Sarah P. Duke Gardens)
남부의 아이비리그라고 불리기도 하는 듀크대학교는 연구 중심 사립대학교로서 원래는 1838년 트리니티(Trinity)라는 마을에 감리교도와 퀘이커교도들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1892년 현 위치인 더럼으..
박원순/월간 환경과조경/201210294
공원속의 공장 포항종합제철
 제철산업은 공해와 분진, 소음이 많은 산업이다. 포항종합제철은 공해를 최대한 방지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그린벨트 개념을 도입하여 공장환경을 만듦으로서 쾌적한 공장을 건설하고 인..
동원개발㈜, 광양조경㈜/월간 환경과조경/1991943
빌딩조경 ; 럭키금성트윈타워
 미려하면서도 장중한 건물을 동서측에 배치하고, 두 건물을 선큰가든 및 연결동 형태의 아트리움을 계획 조형상의 일체감을 형성하여 녹지대 및 화단 등의 조경시설물을 밀도있게 배치함으로서 건물 주..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8523
회색화 된 도시속에서의 꽃의 기능
도시의 경관은 하나의 비문자 언어로서 그 도시의 시각적 상징물들에 의해 그 도시의 독창성과 이미지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그 도시의 물리적 상징들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의미를 지니면서 도시의 이용..
양호일/월간 환경과조경/198466
실내 원예의 선택과 그 배치
회색의 콘크리트화 되고 있는 도시생활 속에서 다소나마 안정감과 정서적인 생활환경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실내 원예라고 할 수 있다. 꽃은 물론 잎의 색채와 형태도 흰색에 가까운 연두빛에서부터 짙푸른 ..
송순이/월간 환경과조경/198322
경기도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위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이의동·대지면적 : 100,089.0㎡·조경면적 : 50,577.69㎡(옥상조경포함)·발 주 처 : 경기도청·조경설계 : 한림조경 기술사사무소(소장 김경윤)·준 공 : 2002. 3 WTO체제의 출범..
김경윤/월간 환경과조경/20031177
대한민국 조경박람회, 조경분야 화합과 축제의 장이 되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85241
놀이터가 변하고 있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백수현/월간 환경과조경/20085241
여름을 날려버린 서초 IC 분수대
· 공사발주처 : 서초구청 공원녹지과 · 공사기간 : 2002 12. 9 ∼ 2003. 7. 15 · 분수 설계 및 설비 : (주)신성건설 / 동서코퍼레이션(주) · 전기공사 : 경인전력공사 · 조명 : (주)샘라이팅 · ..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39185
중국 그리고 민족의 영산 백두산
필자의 세대에게 있어 다소간의 막연한 동경 속의 나라로만 여겨지던 중국을 이번 기회에 방문하게 된 동기는, 한국조경연합회와 신화컨설팅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장백산(백두산) 일대 및 안도현 관광개..
최준호/월간 환경과조경/1993763
서어나무, 큰꽝꽝나무
서어나무_높이 10~15m, 직경 1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며 수피는 회색이고 평활하지만, 근육모양으로 울퉁불퉁하며 버즘같은 횐 반점이 희미하게 나타난다. 이 수피의 모양은 서어나무속의 특성이라 할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1256
IFLA 지상 학술회의
-A분과 : 전통문화의 조경 ▷역사적 경관의 전통과 창조 ▷글_ Hans Dorm(역사적 정원 및 조경분과 위원장) 정원의 전통을 보전한다는 것은 장식적인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길을 설계함으로써, 건축적 수단..
Hans Dorm, Isoya Shinji, Raymond F. Cain, 오규식, 고이찌 고바야시/월간 환경과조경/19921155
정읍 김동수 가옥(Kim Dong-su’s old house)
정읍 김동수 가옥은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1 오공리 814에 위치하며, 조선 정조 8년(1784) 김명관이 지은 것으로, 약 15,510㎡ 일원에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 호지집 등에서 자연과 인공이 ..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12274
은행나무 편
-공해피해 : 은행나무는 공해에 강한 수종으로 되어 있어 현재 도심지에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공해의 피해로 인하여 조기낙엽 엽면고사 등의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많은 양의 아황산가스가 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115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