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재길 걷고싶은 녹화거리 조성 기본계획 현상공모 ..
-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소장 김은성) + 김성균 교수(서울대 조경학과) + 장재일 소장(동양기술개발공사, 교통기술사)
대상지·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재길·길이 : 약 500m·폭 : 24m 내외
설..
유림조경/월간 환경과조경/2001년7월159호
- 조경조명(7) - 조명기구 각론(4)(벽면매입등)
- 벽면매입등(Ressed wall luminaires)
기구종류
기구 형태로 구분하면 Glare(눈부심)를 최소화 시킨 루버 부착형, 간접 조사형과 적정 휘도를 이용하여 동선 유도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는 기구..
이성재외/월간 환경과조경/2001년7월159호
-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4)
-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4)
- 발해여 다시 한번 -
연변(延邊)지역의 발해 유적들
현재의 연변지역은 발해국(渤海國)이 건립되기 이전에는 고구려에 부속된 백산 말갈인(白山 靺鞨人)이 살던 곳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년7월159호
- 함께 흘리는 땀방울로 우리는 하나! - 제11회 조경인 체육대회
- 봄이라기보다는 초여름의 느낌을 주는 강한 햇빛이 내리쬐던 지난 5월 19일, 조경인의 결속과 단합을 다지며, 선후배의 정을 다시금 확인케 하는 조경인 체육대회가 (사)한국조경사회(회장 강인철)의 주최로 ..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1년7월159호
- 온도 및 물
- ※ 온 도
○ 온도의 역할
식물의 생장은 광선,수분,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특히 온도는 탄소동화작용,호흡작용,증산작용등 생리적작용뿐 아니라 휴면의 유발 및 타파에도 관계한다.
실내조경의 경관의 ..
(사)한국실내조경협회/월간 환경과조경/2001년7월159호
- 제 17기 환경과조경 통신원 간담회
- 전국 31개 대학 조경학과 통신원 참가, 왕성한 교류 등 앞으로의 활동다져
본지는 지난 4월 28일부터 29일까지 1박2일동안 경기도 이천소재 이천관광농원에서 제 17기 환경과조경 통신원 간담회..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대구 MBC 사옥 주변 가로녹지 - 대구시, 문화방송 ..
- 지난 몇 년간 대구시에서는 여름철 평균기온을 낮추고, 쾌적하고 아름다운 주변환경을 조성하여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거듭나고자, 가로수를 확충하는 한편 교통섬에 나무를 심고, 곳곳에 공원을 조..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실내조경식물
- 이번호에서는 실내조경의 식물에 관한 실무적인 내용을 정리하였고, 이에대한 예상문제를 간단히 소개한다.
식물의 선정
실내조경에 사용되는 식물은 실내환경의 특수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즉 그 지방의..
(사)한국실내조경협회/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조경조명(6) - 조명기구 각론(3)(노출형 투사등)
- 노출형 투사등
노출형 투사등의 구조와 선정 기준
광원(램프)과 기구의 보여짐을 최소화 하여 쾌적한 시환경을 제공하는 지중형의 등기구에 비하여 노출형은 지상에 설치 되기 때문에 기구 선정..
이성재외/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쉽게 익히는 조경설계 프로그램(4) - AutoCAD 2000
- - Autocad 2000의 기본 Options Setting 과 명령어(2)
시작하며...
건축이나 토목과 같은 정보값에 충실한 도면을 보다가 조경도면을 볼 때면, 스케치를 하는 것처럼 지나치리만큼 도면에 힘을 ..
정태영/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생태연못 - 친수공간의 수질정화에 탁월한 효과
- 생태연못(Bio Pond)이란
고여있는 호수나 연못의 물은 생태계의 오염과 더불어 서서히 썩어가서 부영양화 현상을 일으키고 마침내는 생물이 살아갈 수 없는 죽음의 물로 변화여 새로운 오염원으로 ..
한수종합조경/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창조된 公園都市, 싱가폴 - 조경가는 발로 뛰며 가..
- ▼ 국내
1. 올림픽 기념공원-잠실 롯대월드-아시안 공원-한국종합무역센터(KWTC)-
한국전력공사-포항제철 사옥
2. 과천 중앙공원-서울대공원-현대미술관-서울랜드-경마공원(한국마사회)
3. 한국..
강호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6월의 조경수 관리
- 침엽수의 병충해
솔잎혹파리
솔잎혹파리는 1929년 우리나라의 전남 목포와 서울의 비원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전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여 2000년 현재 전국과 금강산까지 피해가 확인되었다. 북..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6월158호
- 디자인파크개발
- 로프캠프
- (주)동림이엔씨
- 휴안
- 미주강화
- 윤토
- 아썸
- 꽃길
- 가나안건설
- 에스에이건설
- 이맥스아쿠아
- (주)원앤티에스

- 브레인트리
- 예건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주)대지개발
- 샘디지텍
- 림인포테크
- 엘그린
- 인포21c
- 상명대학교
- 키즈몽코리아
- 일진글로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