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 - by William Thompsn  공공 공간은 최근 미국 도시에서 해결해야하는 새로운 과제거리가 되고 있다. 경제적으로 점점 어려워지는 공원관리과(parks department)는 공공이 소..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112164
골프장 ; 골프장의 현황과 전망
80여년전 영국인 몇 명에 의해 시작된 우리나라의 골프가 1985년말 현재 연인원 150만명의 내장객이 골프를 즐기고 있고 전국에 약 30~40만의 골퍼가 있는데 비해 골프장은 1986년 6월 현재 풀코스 30개소 퍼..
이창환/월간 환경과조경/1986613
쉽게 익히는 조경설계 프로그램(18) - LandDesigner5.0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태영/월간 환경과조경/200211175
Arburn Community Park
이 작품은 1990년 뉴욕 조경가협회에서 Honor Award를 수상한 작품으로 관례와는 달리 모델을 출품하여 그 성과를 올린 작품이다. 계획대상지는 뉴욕에서 약 450마일 떨어진 Arburn City로서, 규모는 작지만 ..
김종호/월간 환경과조경/1991742
자운서원
Jaun Seowon자운서원은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산 5-1에 위치하며, 면적은 5,590㎡으로 광해군 7년(1615) 건립된 이후, 문성사文成祠를 중심으로 선성先聖과 선현에 대한 봉사의 기능을 수행..
이석래·최종희/월간 환경과조경/20108268
판교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 ; 우수상 CultureScape City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조경설계 비욘드/월간 환경과조경/20074228
오션힐스 포항 컨트리클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612224
도시환경과 공공미술의 경계에서[1]
- 건축물 미술장식 개선방안을 보는 小姑 - 올 하반기부터 퍼센트법(percent for art ordinance)에 근거한 1만㎡ 이상의 신축, 증축건물에 적용되어 온 건축물 미술장식 설치제도가 공공미술(Public Art)기..
심현주/월간 환경과조경/20044192
목재방부재 시장에 무공해 바람 ; CFK, KD, ZKF
그동안 시중에 많이 유통된 목재방부처리제인 오산화비소화합물은 맹독성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를 요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작업장에서 근무할 시 인체에 유해하다는 지적을 받아왔..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585
인간활동이 환경기후에 미치는 영향
기후는 일정 불변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나 단기적으로나 계속 변동을 하고 있다. 인간은 화석연료를 각종 사업활동에 이용함으로써 그 부산물인 여러 가지 가스와 분진을 대기중으로 방출한다. 인간이 대..
이변우/월간 환경과조경/1988925
전국대학 학생조경작품 특선 ; 서울대 환경대학원
대학원생들의 작품으로서는 캠퍼스계획이 출품되었는데, 동선 및 토지이용계획, 세부공간의 계획등에 있어서 무리가 없는 작품으로 보여진다. 특히 이 작품은 조경설계에서 컴퓨터를 이용했다는 점이 높이 평..
조정송/월간 환경과조경/1987115
Beyond the Deoksugung Palace
덕수궁과 그 경계를 너머제9회 도코모모 코리아 디자인공모전2012년도 제9회 도코모모 코리아 디자인 공모전 “덕수궁과 그 경계를 너머”의 대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작품으로 배재대학교의 노태호..
/월간 환경과조경/20127291
2009 아트고양프로젝트
일상이 예술이 되는 동네 무원연가無元聯佳아트(ART)고양프로젝트는 고양문화재단에서 추진하는 공공미술사업으로 고양시민이 주체가 되어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고양시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
공공미술 프리즘/월간 환경과조경/20106266
조경직제 ; 인터뷰 : 더 이상 기존 직제로는 안된다(오형석 소장)
1. 조경학과 임학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말해 달라.대학의 학과 소개를 빌리자면 조경학이라 함은 환경을 만들고 가꾸는 일이고, 임학이라 함은 삼림의 공익적 기능에 따른 삼림이론, 기술, 경영방법을 습득..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611223
청계천 복원 ; 도심변화의 끝이 아니라 시작인 미완의 사업
개발국가시대의 고속성장의 상징이었던 청계천 복개도로와 그 위를 달리던 청계고가도로가 이제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미국 보스턴시는 1971년 시작하여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도심개량사업(Big Dig)을 진행..
남기범/월간 환경과조경/20051021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