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백련산 근린공원 기본계획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효자종합조경/월간 환경과조경/1989730
조경계, 우리의 입지와 권리를 되찾자 ; 최근 조경관련 법·제도 개정에 ..
이제까지 조경공사업이 특수공사업으로 공사수주 등 상대적으로 유리한 유치에 놓여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번 개정으로 조경공사업만 업역의 위상이 전문공사업으로 전락해버리는 꼴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권오준/월간 환경과조경/1993662
조경관계법규 해설
법, 대통령령, 본령 등에서 명시하고 있지 않는 사항이나 명시하고 있으되 좀 더 상세한 내용이 요구되는 사항들에 대하여 법 및 령에서 위임한 범위내에서 각 지방의 특색을 살려서 조영될 수 있도록 지방자..
유석종/월간 환경과조경/198363
Drill & Fill 에어레이터 - 최상의 그린 컨디션을 위한 필수 장비
특징 1. 답압이나 뻘이 형성되어 있는 10∼20㎝ 깊이 보다 더 깊이 드릴이 들어가 썩고 다져진 흙을 뽑아내고 새로운 배토사를 채워주므로 수직 배수를 원활하게 해줌으로써 잔디 뿌리의 부패를 방지해, 건강..
서일산업/월간 환경과조경/20028172
IFLA ; 1992 IFIA 경주선언
인류는 높은 생활의 질을 추구하면서도 낮아만 가는 환경의 질에 대해서는 외면하는 이기적이고 불합리한 태도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모순과 갈등의 시대였던 20세기를 보내고 대망의 2000년대를 준비..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21054
설계 현상공모의 문제점
아직 우리의 현상공모 문화는 건전한 형태로 뿌리내렸다고 하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계 현상공모전은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조경설계 분야에서 선의..
김신원/월간 환경과조경/19998136
조경공사시 수목하자 책임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우리나라에서 조경이 하나의 독립된 분야로 인식되고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 무렵으로서 본격화된 경제개발과 공업화 그리고 국토개발계획의 추진에 따른 조경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조경공사 수요가 ..
이수길/월간 환경과조경/19881126
나무시장의 실태 ; 조경산업의 증가와 조경수목 재배붐
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조경수목의 생산은 대부분 ‘부업형식’으로 이루어졌으나, 70년대초 문화유적지 복원사업의 하나로 조경문제가 정책적으로 다루어짐과 동시에 시작했다. 경제 발전과 더불어 ..
라성숙/월간 환경과조경/198322
2012 조경설계 포럼 및 제3회 대한민국 신진조경가 ..
조경설계, 과거와 현재의 대화5세대에 걸친 설계담론(談論) 지난해 한국조경 교육의 주축인 (사)한국조경학회가 40주년을 맞이했다. 이러한 시기에 열린 ‘제3회 대한민국 신진조경가 대상 설계공모..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32298
광화문 광장 집담회
광화문 광장은 권력과 지배중심의 세종로가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는데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만하고, 차량 중심의 공간에서 사람 중심의 공간으로 우리의 달라진 사회상이 반영된 결과라는 이야기..
/월간 환경과조경/20099257
조경건축 스페셜리스트
스페셜리스트 램 풋 이야기 조경건축? 그게 무슨 용어인가 싶은 사람도 있겠지만, 이미 수 년 전부터 조경건축이란 이상한 용어를 들어 왔다. 그게 무슨 용어이며 왜 그런 말이 회자되고 있나 이해하는 데는 ..
정기호/월간 환경과조경/20052202
조경 ; 사람과 땅이 어울린 이야기 (18) - 11월 법..
법규와 공간 - 모든 땅엔 임자가 있다 세상의 모든 땅에는 주인이 있다. 땅 주인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개인(민간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겠다)이 아니면 공공(公共)이다. 여기서 민간..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0311187
진정한 환경인의 십계명
1.지구상의 모든 생물 중에서 인간이 가장 늦게 태어난 생물임을 알아, 겸손하자 2.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지능은 높지만, 지혜는 인간보다 더 높은 생물이 있음을 알아, 교만하지말자 3.인간은 지구상의 모..
박창근/월간 환경과조경/19931268
2010 상하이 엑스포의 중국 정원“畝中山水”
Mu Garden for the ChineseGarden of Expo 2010 Shanghai프로젝트 위치 및 배경Mu Garden은 2010년 상하이 엑스포에서 전통과 현대가 융합된 중국의 정원을 보여주었다. 면적 27,000㎡의 Mu Garden..
김세영/월간 환경과조경/20113275
아름다운 정원 ; 별내면 정원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면적 : 약 200여평·설계·시공 : 수락산조경(대표 최봉수) 서울시내를 빠져나가 남양주시로, 그리고 정원으로 가는 길은 평범한 교외의 모습이었다.정원이 ..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310186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