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쌈지(마당)공원조성 기본계획
- 쌈지의 사전적 의미가 "종이헝겊, 가죽따위로 만들어 담배, 부시 따위를 담는 주머니"라고 표현되고 있는 상황임에 비추어 쌈지공원은 외국의 소공원을 지칭하는 Vest Pocket Park의 순수 한국적 표현이라 할 ..
서인엔지니어링/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 추진방향 및 현황
- 우리나라는 지난 20여 년간 지속적인 경제개발정책을 추진하여 비약적인 국가발전을 이룩하였다. 60~70년대에 우리가 이룩한 고도의 경제성장은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국가의 총량적 발전을 가속화시켜 국민..
한양수/월간 환경과조경/1985년9월10호
- Shenzhen Cultural Park
- 두 개의 아이디어가 심천 문화공원의 모든 디자인을 결정한다. 첫 번째 아이디어는, 현대 도시 내에서 작용하는 여러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더 이상 공원을 도시의 고립되고 수동적인 ..
Balmori Associates/월간 환경과조경/2005년5월205호
- 서울시내 주요 쌈지공원
- 좁은 국토에 높은 지가. 엄청난 토지보상비로 공원 하나 조성하기가 쉽지 않은 우리나라 대도시의 현실속에서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쌈지공원의 출현은 어쩌면 필연적이었는지도 모른다.
1990년대..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0년7월147호
- 21세기 도시 오픈스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 이러한 유형의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앞으로 다가올 변화된 환경에 부응하여, 이질적인 자연과 인공의 체계가 이례적으로 융합된 장소, 새로운 교육 및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장소, 다양하고 상반된 도시..
김신원, 강현경/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월122호
- 포항공과대학
- 위치 : 경북 포항시 효자동 산 31번지 | 86년 12월 3일 개교 | 10개의 학과 포항공대는 특성화 대학이며 한정된 소수정예의 전문기술인을 양성하는 제한적 목표를 지니기 때문에 초기계획부터 명확하게 완결된..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0년5월35호
- 겨울철 분재관리 요령
- 봄부터 가을까지 그렇게도 싱그러움을 보여주던 분재들이 긴 겨울동안에는 보호실로 들어가 있다. 그러나 4계절을 통해 제각기 특성을 지니고 있어 한가한 겨울이라고 생각되기 쉬우나 사실 관리면에서는 더욱..
정한원/월간 환경과조경/1985년2월8호
- 씨엔케이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백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6년4월216호
- 자작나무
- 풍성했던 결실과 수확을 거쳐 화려한 자태로 온 산하를 물들게 했던 나무들은 새로운 시작을 위한 휴식의 시간을 갖는다. 하지만, 나무의 세계가 우리 인간에게 주는 가치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2000년12월152호
- ‘1950’s 서울의 기억’展
- 종전 60주년 기념, 사진으로 보는 1950년대 서울의 풍경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관장 김종섭)은 종전 60주년을 맞아 전후 서울의 사회적 풍경을 보여주는 ‘1950’s, 서울의 기억’展을 열고 있다. ‘1..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월간 환경과조경/2013년8월304호
- 스위스 론강과 시온시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통합적..
- Captive River해외대학 우수학생작품 본 프로젝트는 스위스 취리히의 ETH대학 조경학과에서 지난 2009년 후반부터 1년간 수행해온 스튜디오 과제로, Christophe Girot와 Frederick Rossano, 그리고 ..
ETH대학 조경학과 연구실/월간 환경과조경/2011년4월276호
- 본지 독자가 선정한 올해의 조경인
- -학술분야 : 방광자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 (사)한국실내조경협회회장>실내조경의 발전을 위해서 점진적으로 실내조경 관련 자격증 제도를 추진중에 있다는 방광자 교수는 후학교육에도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2월140호
- 나무외과수술1
- 현재 노거수와 대형목은 오랜세월 동안 야외에서 각종 피해를 받아 건전한 나무는 거의 없으며 모두 크고 작은 외과수술을 받아야 한다. 나무라는 것은 장기간 생육하는 것으로 외과수술을 받음으로서 오랜세..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89년9월31호
- 산딸나무, 층층나무, 식나무
- 산딸난무
높이 12m까지 자라지만 보통은 5m이하이고 직경 50c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수피는 회갈색으로 비교적 얇고 평활하지만 껍질이 박피되어 떨어져 마치 모과나무의 수피처럼 된다. 소지는 가..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3월59호
- 한국의 마을 원림
- 수구막이, 혹은 수구맥이라고 하는 말이 있다. 이것은 물이 흘러나가는 출구 또는 마을의 앞쪽으로 휑하니 열려 있는 곳이 허허롭게 생각되어 이곳을 가로막는 시설을 설치하였을때 이를 지칭하는 풍수적인 용..
김학범/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주)동림이엔씨
- 에스에이건설
- 이맥스아쿠아
- (주)원앤티에스
- 휴안
- 윤토
- 디자인파크개발
- 가나안건설
- 꽃길
- 로프캠프
- 미주강화
- 아썸

- 예건
- (주)대지개발
- 림인포테크
- 브레인트리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엘그린
- 키즈몽코리아
- 일진글로벌
- 인포21c
- 상명대학교
- 샘디지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