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2011 올해의 조경인 [학술분야] 이종석
Lee, Jong Suk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명예교수국내 자생 식물 연구 및 신품종 개량 등한국 원예 발전의 선두주자,원예와 조경의 접목으로실내 조경학의 확산에 기여“‘올해의 조경인’에 선..
김세영/월간 환경과조경/201112284
환경친화적 도시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최종회)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홍석환/월간 환경과조경/200711235
7월 - 흡수성 해충의 피해
7월의 조경수 관리 올해는 특히 봄과 초여름 사이에 건조의 피해가 심하여 흡수성 해충의 피해가 심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이식목의 흡수성 해충의 피해는 잎의 동화작용을 저해하여 신초 생장이나 뿌리..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7159
동계 수목 및 시설물 관리방안 ; 수경시설물의 동계관리
새천년의 첫번째 시드니 올림픽이 폐막되었다. 입상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동계훈련을 성실히 함으로써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고들 한다. 이는 동계훈련의 중요성을 일컫는 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비유야 어떻든..
장경천/월간 환경과조경/200011151
2013 순천만 국제 정원박람회 실내정원 공모전
2013 순천만 국제 정원박람회의 핵심 콘텐츠이며 박람회의 주제와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공모한 ‘실내정원공모전’의 당선작이 선정됐다. 전국에서 총 38개 팀이 응모한 가운데 3차례의..
/월간 환경과조경/20123287
(사)한국조경사회 창립 30주년 기념행사
전통 새기는 뜻 깊은 행사, 미래비전 선포로 역동적 의미담아1980년 6월 21일 한국일보사 13층에서 (사)한국조경사회(회장 김경윤, 이하 조경사회)의 전신인‘한국조경사협회’의 창립식이 개최되었다..
나창호/월간 환경과조경/20108268
수원 화서공원
· 위치 : 경기도 수원시 화서동 26-39번지 일대· 면적 : 29,500㎡(8,923.7평)· 발주 : 수원시청· 설계 : (주)남원건설엔지니어링· 시공 : 금강종합건설· 준공일 : 2004년 12월 18일· 사진 : 김태우 ..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20054204
다섯 가지 시선 ; 문화 친화적 조경이 요구된다
시작하며: 문화와 일상 속의 조경<환경과조경>에서 실시한 ‘한국 현대조경 대표작’에 관한 설문조사 중,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크게 끼친 조경공간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결과를 보면 ..
조경진/월간 환경과조경/20051201
싱가폴 보태닉가든
좁은 땅에 과밀한 인구가 북적대고 고층빌딩들이 즐비한 싱가폴 이지만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국가 전체는 풍부한 녹지로 인해 평화로움과 아름다움으로 요약된다. 싱가폴은 녹지정책의 성공으로 작지만 쾌적..
전순배/월간 환경과조경/1989730
다니엘 스포에리 정원
Giardino di Daniel Spoerri예술가의 뜰 - 삶의 의미를 찾는 공간 무대 위에서 아름다운 동작을 연출해 내는 무용수처럼 대지 위에 자유로운 배치를 통해 개인적인 상상력을 분출하고 자연과 교감..
현경아/월간 환경과조경/20122286
한국형 조경학 인증모델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5241
서울숲 ; 도시공원, 성장하는 도시문화 공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정귀원/월간 환경과조경/20059209
한그린 원예학교, 조경 및 원예기술의 대중화 선도 ; 실내조경, 플라워 ..
실내정원을 직접 디자인하고 또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가는데 필요한 이채로운 강좌가 개설되었다. 올해로 개점 2주년을 맞이한 국내 최초의 원예 전문숍 한그린 원예백화점은 지난 3월 5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조경사랑엔 세대차이 없어요”, 서울시립대 이규목 교수, 승환 부자
건축 베이스로 하여 조경분야에 몸담게 된 아버지와 조경학을 공부한 후 이의 발전적 보완을 위해 건축과에 편입까지한 아들. 이쯤되면 자연스레 이들 부자의 조경사랑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2106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4)
두 곳이 똑같이 삼고초려 장소라고 주장하는 와룡강과 융중삼고초려의 명장면을 중요한 부분만 간추렸지만, 소설 앞에 나오는 융중과 뒤의 와룡강은 한 장소를 지칭하는 것인데, 현지에서는 두 곳에..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0726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