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실내조경 구성기법 ; 베란다를 중심으로
실내조경공간을 구성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공간은 베란다로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을 비교 적 고루 갖추고 있다. 우선 자연채광이 가능하며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어 물관리가 용이하고, 주로 ..
김순자?/월간 환경과조경/20002142
(주)그룹·한 ; 젊은 기업정신으로 설계수준의 세계화, 국제화 표방
설계의 세계화·국제화 표방 현재 (주)그룹·한은 설계의 국제화를 꾀하고자 미국의 조경업체‘IMA’, 일본의 조경업체‘東京Landscape’와 연계, 합동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외의 기술을..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02142
걷고싶은 거리 만들기 ; 바람직한 거리만들기를 위한 제언 -가로 민주주..
도시의 주인은 인간이어야 하고, 도시를 만들어 가는 것은 도시계획가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아니고 주민이어야 한다. 서울시의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 사업의 가장 취약한 측면은 시민참여에 입각하지 못하..
민만기/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우리나라 근대조경의 첫페이지를 장식할 소중한 기록 ; 청와대에서 열린 ..
작년 초쯤으로 기억되는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전공 1기 동기모임에 참가했던 몇몇 지인들이,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우리나라 근대조경의 발전과정에 숨은 이야기들이 있을텐데 그 이야기들을 ..
오휘영/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걷고싶은 거리 만들기 ; 바람직한 거리만들기를 위한 제언 -선형녹화 보..
이러한 보차공존도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도시계획법시행령, 도로교통법 등 관련 법령에 보차공존도로 개념을 도입하고, 보차공존도로의 설계기준을 마련하여야 하며, 둘째, 시범사업을 추진함에 있..
배호영/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전주에 조경인의 숲 조성 ; 전북지역 조경인 1백 50여명 뜻모아, 공원한..
전주시 공원내의 색다른 명물로 등장하게 된‘조경인의 숲’은 현재 식재만이 이루어져있는 상태로 겨울동안에 도서관, 노인복지회관 등 문화시설과 게이트볼장 등 체육시설이 들어설 계획이며 하부식재와 지피..
조수연/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실내조경 구상과 연출사례
본지는 이번호부터 일반인들과 실내조경에 대해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해, 비전문가도 비교적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실내조경 꾸미기를 소개한다. 이번달은 그 첫번째 순서로 본격적인 실내조경 꾸미기에 앞서, ..
김순자/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새천년 문화는 나무로 부터
나무 가꾸는 일은 백년이 걸리는 일이다. 하루라도 빨리 서두를수록 좋다고 본다. 시간이 가야 효과가 나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가장 풍부한 산림자원을 이용하지 못하면 선진국의 꿈은 어렵다. 외국에서 원자..
성범영/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 ; 국내외 보행환경 개선사례
덴마크에서는 1962년 인구 2만명 이상의 모든 도시와 그 이하의 일부도시를 대상으로 도심부 상업도로를 물건배달을 위한 차량만 오전 일찍 통과토록 허가하는 보행자 전용지역을 지정하였다. 네덜란드, 스웨..
김성균/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도심 건물옥상의 숨쉬는 소생태계 ; 서울대 김귀곤 교수팀, 분당 경동에..
아이들의 자연생태교육이 이젠 건물 옥상에서도 이루어질 전망이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김귀곤 교수팀은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12층 규모의 경동에너지 사옥 옥상부지를 나비와 새가 날아드는 생물서식 공간..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걷고싶은 거리 만들기 ; 길 그리고 우리의 문화
이웃과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공동체의 공간적 실천은 길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 공동문화의 뿌리가 광장도 공원도 아닌 바로 길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우리가 왜 길을 되찾아야 하..
진양교/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2000년 세계 조경계는 지금
조경은 자연과 사회와 인간과의 관계를 전체적인 눈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전문분야이며 지금까지 짧은 역사동안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공헌을 하여왔다. 따라서 앞으로 자연과 사회와 인간을 ..
김연수, 권진욱, 김연미, 박보신, 한상진, 이숙진/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걷고싶은 거리 만들기 ; 바람직한 거리만들기를 위한 제언 -시민참여에 ..
보행권과 보행도로 확보는 안전한 환경, 쾌적하고 매력있는 생활공간의 마련에서부터 시작된다. 또한 특성있는 거리환경은 지역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지고 동네의 특성이 자연스레 배어 나올때 더욱 활력있고 ..
유상오/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한낱 벼루가 되어
교수가 하는 일로서 대개 세 가지를 꼽고 있는데, 교육, 연구, 사회 봉사가 바로 그것이다. 이 중에서 무엇이 으뜸이냐 하는 것은 사람마다, 학교마다 다르고, 시대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은 사회 봉사를 앞..
황기원/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21세기 미공간의 보전과 창조
아무것도 더하거나 빼지 않는 것이 최고의 환경이라고 일컬어지는 점도 있다는 것을 의식해야만 한다. 나아가, 지역의 고유성을 발휘, 다양성과 통합성, 어린이 인구감소, 고령화, NGO, NPO 등의 정당한 평가,..
고바야시 하루토/월간 환경과조경/20001141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