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조경과 생태계서비스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system Service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 도시화 등으로 인해 우리들은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서울에서 잘 자라고 있는 이팝나무와 배..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Ando Tadao _ 물의 교회(Church of the Water)
Yufutsu, Hokkaido, 1988Site area _ 113㎡호텔의 부속건물로서 결혼식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교회의 앞부분은 투명한 유리로 마감되어 그 유리벽 넘어 자연환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자갈이 깔린 수심 20cm..
/월간 환경과조경/20111273
글렌로스 골프클럽
 지난 9월 18일 개장한 글렌로스 골프클럽(0335-320-9600)은, 이처럼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대규모 놀이공원과 전통정원의 매개 공간 같은 느낌을 주는 곳이다. 정적인 요소와 동적인 요소를 동시에 ..
남기준/월간 환경과조경/199912140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동산바치
공주대학교의 유일한 과내동아리 동산바치는 예산농업전문대학에서 창립당시 조경연구회란 이름으로 활동해 왔으나 93년도에 정원을 지키는 사람이라는 뜻의 ‘동산바치’란 새 이름표를 달았다. 동산바치는 무..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9113
전시주의 기념비주의, 상업주의, 행정편의주의로부터 공공주의로
우리 조경계에 자리한 문제시되는 인식은 어떤 것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몇 가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의식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향할 바를 제시하고자 한다. 문제시되는 의식을 크게 전시주의..
안동만/월간 환경과조경/1988322
서울의 도시환경과 문화요소
도시는 정원적인 배경과 도시다운 분위기를 갖춘 쾌적성이 매력이라 할 수도 있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문화적 문제를 고려해야만하고 환경 정비의 계획이 경제적인 문제에만 치중되어서는 안된다. 오늘날 도시..
최종현/월간 환경과조경/198528
영화를 통한 도시읽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서영애/월간 환경과조경/20068220
조경인 체육대회
지난 5월 31일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 축구경기장에서는 (사)한국조경사회(회장 유길종)가 주최하는 조경인 체육대회가 열렸다. 올해로 13번째 맞는 이번 행사에는 37개의 조경관련 업체에서 약 460..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37183
서초문화예술공원
 우면산 끝자락 양재천변에 접해있는 서초문화예술공원은 구단위의 테마공원이다.  이 공원은 80년대의 개포지구 토지구획 정리사업에 의해 조성된 양재시민의 숲 중 제3구역의 입지적 특성과 풍부..
공현미/월간 환경과조경/1995383
작은 것부터 고쳐나가자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영구/월간 환경과조경/19911144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가로시설물/동상
해를 거듭할수록 도시에서의 비중이 더욱 커지는 도로에 있어 필수적인 가로 시설물의 중요성에 대해 다가오는 미래의 거리를 보다 아름답고 편리하게 꾸며보고자 하는데서 시도한 작품이다. 도로의 무질서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종합면허, 현황과 문제점
지난 1985년 10월 20일부로 건설업시행령의 전문개정(대통령령 제 1177호)을 통하여 기존 「조경공사의 건설업면허기준 사항의 기술능력」중 ‘조경기술사 1인’을 ‘1988년 12월 31일까지’는 ‘조경기사 1급의 자..
이창환/월간 환경과조경/19851211
명산대천(名山大川)
경관, 시(詩)의 세계 - 풍수카메라의 파인더 동작동 현충원, 즉 동작동 국립묘지를 풍수 카메라로 촬영을 해 보면 공작이 나래를 편 형국이라는 그림이 인화되어 나오기도 하고 맹호(猛虎)가 출림(..
정기호/월간 환경과조경/20056206
서피스 딥 가든
Surface Deep GardenSurface Deep is a new garden recently installed within the entry sequence for the visitors to the Reford Gardens ’Metis International Garden Festival in Quebec, Cana..
asensio_mah /월간 환경과조경/201111283
한미 FTA와 조경 ; FTA와 조경교육분야의 대응전략
세계화시대에서 한국조경교육 - 현황과 문제점한국의 조경교육은 1973년 조경학과가 생긴 이래 벌써 35년이 되어가고 있으며, 그동안 40여개의 조경학과가 설립되어 국가의 면적을 고려한다면 양적으로는 세계..
김성균/월간 환경과조경/2007923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