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세기 실경화(實景畵)와 조경
- 지금까지 한국전통조경의 주된 연구대상은 보존되어 왔거나 발굴된 유적지를 대상으로 관련 사료를 수집, 유적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주로 취해왔다. 그러나 현존하는 유적지의 수와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그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년8월124호
- 식물생태 고려한 녹화계획 수립을
- 오늘날, 우리나라의 귀화지피식물에 의한 녹화사업이 성급하고 졸속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살아숨쉬는 생물재료의 귀화지피식물을 이용한 녹화사업의 생태학적 문제점을 짚어 보기로 하자.
※ 키워..
김종원/월간 환경과조경/1998년8월124호
- IMF와 우리 환경문화의 복원
- 보아오던 우리의 도시와 농촌의 터전임에도 요즘은 유난히 황량하다. 정 붙일 곳 없이 낯설다. IMF 사태는 경제에서 비롯되었지만 앞으로 사회·문화문제로 비화될 것이다. 소외와 갈등, 공동체의식의 붕괴, 이..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8년8월124호
- 실핏줄처럼 살아움직이던 골목길이 그리운 곳
-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그중에서도 지금은 세운상가가 서있는 곳인 나의 고향은 놀라울 정도로 변한게 없다. 신흥 강남지역이나 다른 개발지역과는 달리 이곳 종로 주변은 의외로 옛스러움이 많이 남아 있으며..
최희준/월간 환경과조경/1998년8월124호
- 자연의 쓴맛 단맛 다보고 살아요 _ 하늘말농장 이대철 씨
- “농촌생활은 10%의 즐거움과 90%의 고통을 감내하지 않으면 안될만큼 적극적인 생활방식을 요구합니다. 나머지 90%의 고통이 즐거움으로 다가오기까지는 무척 오랜 시간이 걸리죠. 농촌생활을 가장 보람있게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합성수지포장기술
- 합성수지 포장은 투명한 합성수지 바인더(접착제)와 인공 또는 천연골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5~12㎜두께로 마감포장(손미장)하는 포장재로서 주변환경에 적합한 재질, 패턴, 색..
김부환/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한국과학기술원 캠퍼스기본계획 현상공모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덕 현 캠퍼스에 향후 2010년까지 장기발전계획이 반영된 시설에 대한, 건물확보·배치계획을 수립하여 제반 교육시설의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활용과 이용을 제고하기 위해 캠퍼스 마..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남산기슭의 옛 정취 물씬 _ 남산골 한옥마을
- 남산골 제모습찾기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4월 18일 개관, 모습을 드러낸 남산골 한옥마을은 남산의 북쪽기슭인 필동 언저리에 자리를 잡고 있는 남산자락의 명소. 청학(靑鶴)이 사는 선향(仙鄕)이라 하..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재조명 _ 조류상과 서식지 관리방안
- 최근 한강은 하천의 직강화 및 하안의 콘크리트블럭으로 인해 물새류의 월동에 유리한 은신처(shelter)와 먹이자원으로 작용한 하변식생이 본류의 하천에서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일부 지천과 상류, ..
이우신/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재조명 _ 식물상의 식생학적 고찰
- 자연생태계에서 식물은 홀로 존재하는 법이 없다. 서로 다른 식물종의 개체들이 함께 모여살거나 또는 같은 종의 개체라 할지라도 어린 개체와 성숙한 또는 노쇠한 개체들이 일정 공간에서 공존한다. 이는 본..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가야 할 길과 가보지 못한 길
- 지난 호에서 나는 우리 조경분야가 한국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시기의 단편들 중 극히 일부분과 내가 그 길을 찾기까지의 이야기들을 두서없이 털어놓았다. 별로 내세울 이야기도 아닐 진데 말이다. 그런데 ..
정영선/월간 환경과조경/1998년7월123호
- 가나안건설
- (주)동림이엔씨
- 에스에이건설
- 꽃길
- 이맥스아쿠아
- 로프캠프
- 휴안
- 아썸
- (주)원앤티에스
- 윤토
- 디자인파크개발
- 미주강화

- 인포21c
- 브레인트리
- 키즈몽코리아
- 일진글로벌
- 상명대학교
- 예건
- (주)대지개발
- 엘그린
- 림인포테크
- 샘디지텍
- CA조경기술사사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