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한그린 원예학교, 조경 및 원예기술의 대중화 선도 ; 실내조경, 플라워 ..
실내정원을 직접 디자인하고 또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가는데 필요한 이채로운 강좌가 개설되었다. 올해로 개점 2주년을 맞이한 국내 최초의 원예 전문숍 한그린 원예백화점은 지난 3월 5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제주 오름을 진단한다. ; 훼손위기의 제주 오름
골재 및 송이채취로 오름의 허리가 잘려나가고 있으며 골프장 하나에 오름 하나가 사라져 가고 있다. 오름의 훼손은 송이채취로 인한 훼손만이 아니라 자연 상태의 오름에 인공적인 시설의 설치로 인한 것도 ..
문용포/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작정기 ; 21C 한국적 도시공원의 추구
‘21C 한국의 도시공원은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가’라는 문제는 ‘21C의 시대성을 생각한 세계 수준의 도시공원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나’라는 문제제기다. 즉 한국의 생태 문화, 사회 역사적 맥락에서 지역성을..
고주석/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파로호에 잠겨버린 유년시절의 추억 ; 강원도 양구군 북면 본리
1937년 내가 12살이 되던 해 고향땅인 강원도 양구구군 북면 본리 마을은 회천댐을 막아 형성된 파로호에 잠겨버렸다.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다른 곳으로 떠났지만 호수를 피해 일부 산으로 올라간 사람들도 ..
배삼용/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성남시 조각공원 ,조각분수 조성계획 현상공모
경기도 성남시는 분당에 문화예술 체험의 장과 휴식공간을 만들기 위해 황새울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아래 조각공원부문과 조각분수부문으로 나누어 올 초 현상공모를 실시하였다. 최종 접수된 공원부분 5작품..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지하상가 주차장 연계 도심에 생명력 부여
 국내 최초로 공원과 대규모 지하상가, 지하주차장을 연계한 신개념의 공원이 탄생했다.  을지로5가 구 헌법재판소부지에 자리잡은 훈련원공원이 바로 그것이다. 도시의 생명력은 다양한 양식의 공..
이준석/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조경공간에서의 분쇄목 시공?관리
분쇄목에 의한 멀칭 처리는 조경공간의 쾌적성과 심미감을 높여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환경오염과 관련해서 먼지는 우리가 흔히 간과해 버리고 있는 요소인데, 시야를 가리고, 탁하여 더..
박봉우/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하천생태계 종다양성을 위한 수생식물 재배기술 개발에 박차 ; 한림녹화..
한림녹화건설은 한국건설연구원이 수행한 양재천 자연형 하천공법 시험구간에 경남기업, 대우건설과 함께 공사를 마친 양재천 학여울 구간과 과천구간에 인동덩굴, 원추리, 벌개미취, 갯버들 등을 이용해 기존..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제주 오름을 진단한다. ; 제주 오름의 역사적,문화적 가치
제주의 오름들은 제주인 생활 자체였다. 이곳에서 자라고 생활하다 죽어서도 그 자락에 영원히 잠든다. 아득한 옛날 제주를 세웠다는 삼신인의 생활 근거지였고, 제주도를 만든 설문대 할망이 죽은 곳이기도 ..
강영봉/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부산시청사 조경
지난 1월 20일 부산시는 61년 10개월 만에 새청사로 이전, 역사적인 개청식을 가졌다. 93년 연말 착공해 첨단지능형 건물로 지어진 부산시청사는 사무자동화, 민원정보서비스의 다양화는 물론 풍부한 녹지 및 ..
일산종합건축사사무소/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산림휴양지 프로젝트는 최선의 전략”
 Ecosign 산림휴양지계획 주식회사는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스위스, 스페인, 중국, 오스트리아에서 프로젝트를 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경험이 풍부한 산림휴양지 계획 회사들 중의 하나이다. Ecosig..
캐나다 ECOSIGN 社 /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제주 오름을 진단한다. ; 제주 오름의 생태적,경관적 가치
오름이 없는 제주를 상상하면 그야말로 황량항 섬이 되고 말 것이다. 멀리서 배를 타고 제주섬으로 오던 한 시인은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마치 파도가 치듯 기복이 일어 정상을 향하고 있는 오름은 제주만이..
서재철/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화청지 ; 양귀비와 현종의 체취가 어린 온천의 명소
 절세가인 양귀비와 현종의 로맨스로 유명한 화청지는 현종의 겨울철 이궁인 화청지에 부속된 연못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는데, 지금은 통칭하여 화청지로 부르고 있다. 화청지가 자리 잡은 해발 1302m..
강철기/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제주 오름을 진단한다. ; 제주 오름의 형태적 특성과 생성과정
제주도에는 3백 70개가 넘는 분화구가 현존하고 있다. 즉 지표 아래로부터 용암과 같은 화산물질이 지표 밖으로 분출되고 난 구덩이가 현재에도 3백 70여개가 있다는 말이다. 이들 분화구가 있는 기생화산을 ..
박승필/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 일깨운 ‘금강사랑’ ; 기산 정명희 화백
작가는 금강하구 조류 군락지의 파괴로 떼 지어 죽는 새들을 상직적으로 표현, 환경파괴에 대한 안타까운 자성의 목소리를 한껏 발하고 있다. 그의 이번 그림에서 감상 포인트는 ‘물과 새’ 작품에 흐르는 물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41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