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올해의 조경인 - 특별상
노영일·예건산업(주) 대표이사 조경업계 최초 KS 인증, 한·일조경인축구대회를 통한 민간교류 활성화, 그린페스티벌 기획 및 운영 및 후원으로 대외적인 조경알리기 주력 KS인증을 받아내는 데에는 업계 최..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312188
우리 시대의 설계의 언어 ; 기호학적 경관 분석 로..
 이번호부터 약 12회에 걸쳐 프랑스 현대 조경가들의 설계이론을 소개한다. 프랑스 조경의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경관(paysage, landscape)은 두 가지 개념을 동시에 의미한..
박정욱/월간 환경과조경/19996134
환경론 - 환경보전을 위한 목재방부처리 이용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동흡/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한국종합무역센터 조경기본계획
한국종합무역센터의 건립은 내부적 무역활동의 통일성을 강화하여 무역환경의 선진화를 기함과 동시에 물리적 환경의 정체성을 부각하여 잠실 부도심의 관문과 중핵을 조성함을 계획의 배경으로 하며 본 무역..
(주)원도시건축/월간 환경과조경/1988523
우리들은 간판과 표시판의 밀림 속에서 살고 있다
자동차는 고속도로의 풍경을 보고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표시판을 보고 달린다. 우리는 거리를 건물들을 바라고보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간판이나 표시판을 읽으며 지나간다. 도시의 건물은 간판으로 한겹 병..
추원교/월간 환경과조경/1983104
열린 청계천, 닫힌 어항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영대/월간 환경과조경/200510210
대구 칠성 주거환경개선지구 설계경기 당선작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2가 149-1번지 일원 ⊙ 지역지구 : 주거환경개선지구, 최저고도지구 ⊙ 대지면적 : 57,494㎡(17,392평)
(주)목우환경디자인/월간 환경과조경/20034180
WSSD와 생물다양성
- 2002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에 다녀와서 - 서론 1992년의 리우 지구정상회의 이후, 지속가능발전은 경제적 성장, 사회적 발전, 그리고 환경보호를통합하는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했다. 지속가..
김귀곤/월간 환경과조경/200211175
사이트의 푸른건축
예술가로 시작해서 기존의 진부한 건축에 새로운 시각을 불러 일으켰고 작품의 철학적 깊이를 조경을 통해 발전시킨 건축계의 새로운 개척자 제임스 와인즈는 일군의 전통적 건축가들에게 부정적 평가의 대상..
변우일/월간 환경과조경/1993561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16)
촉한의 본거지 성도와 군신합묘 성도 무후사촉한의 도읍지 성도成都는 뛰어난 지정학적 위치에 자리 잡은 사천지역의 중심 도시이다. 중국 중원에서 보면 서쪽에 위치한 변방이지만 중국 전체 지도..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18280
도심의 습지 - 설계 및 성과 : 호주 남부 아들레이드의 Urrbrae 습지 사례
개요(Introduction) 우수 유출은 전통적으로 폐기물로 인식되어왔다. 종전에 도시 지역에 설치된 배수 및 홍수 방지 시스템은 거의 예외없이 우수를 쓸데없는 것으로 취급하여 가능한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
Damien Mugavin/월간 환경과조경/200212176
전국대학 학생조경작품 특선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제4회 조경졸업작품전은 1986년 10월 15일부터 19일까지 5일간에 걸쳐 경주 서라벌문화회관 전시실에서 개최되었으며, 출품작은 모두 20작품으로서 이중에는 3학년 학생들의 찬조작품 8점과 졸업생..
손창구/월간 환경과조경/1987115
조경식재공사 입찰, 과다한 참가자격제한은 없어져야
새로운 한 세기가 시작되었건만, 아직도 소수업체가 주축이 되어 과다한 입찰참가자격 조건을 제시하는등 조경식재공사업의 입찰질서를 문란케하는 부끄러운 사례가 있어, 고질적인 입찰참가자격 문제에 대해 ..
임재홍/월간 환경과조경/20008148
도심휴게공간의 조경디테일 ; 포장설계의 상세
도심휴게공간에서는 대개 녹지부분보다 포장 부분이 넓으며, 포장 디자인이 구조물, 시설물과 함께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데, 바닥포장은 그동안 우리 도시에서 아주 소홀히 해 온것 같다. 포장의 기..
안계동/월간 환경과조경/19891132
산조법개정안을 둘러싼 조경계와 산림조합간의 공방
조경업계의 산조법 개정안에 대한 호소문에서 보여준 내용 가운데 건설업법과 산조법에 의하여 동일한 시공권이 부여됨으로써 법률상의 공정성여부가 문제시 되는 것임에 틀림없다. 어쨌든 금년의 산조법 개정..
송상택/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