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생활문화의 일환으로 난의 새로운 영역 개척 ; 농협난우회
한국춘란, 새우란, 제주한란, 석곡, 나도풍란, 보춘화 등... 이름만 들어도 생소한 이들 식물은 지난 3월19일부터 22일까지 4일간 서울대문에 있는 농협중앙회 대강당을 가득메운 한국 자생란의 이름이다.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5109
지하철역 쾌적한 녹색쉼터로 재탄생 - 서울시, 지하철역사에 실내조경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종일/월간 환경과조경/19975109
연못
대부분의 사찰의 입구에는 연못이 조성되어 있어 사찰경관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연못에는 연꽃이 만개한 극락세계의 장엄이 현현되고 있다. 무량수경에서는 극락정토의 연못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불..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5109
산천도 인걸도 간데 없는 도시 ; 평양시 수정
필자는 내 고향 평양을 1947년 여름 이웃 할머니와 동생의 손을 잡고 남쪽을 향해 떠났다., 낯선 안내원에게 자식을 남쪽에 데려가 달라고 내맡기면서 불안해하며 기차가 모퉁이를 돌아서기 까지 어머니가 흔..
박영숙/월간 환경과조경/19975109
인터넷을 통한 세계의 환경 및 조경자료 소개 ; 홈페이지 만들기
-홈페이지란 무엇인가? :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키면 보게 되는 초기 문서를 말한다. 주로 넷스케이프를 쓸 때 넷스케이프사의 홈페이지가 나타나는 것처럼 가장 먼저 뜨는 것을 홈페이지라고 부른다. 필자는 ..
김인현/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여의도광장 공원화 추진의 발자취 ; 여의도광장 공원화 설계현상공모 작..
-당선작: 한우드 엔지니어링(주) 계획이념-서울을 미래의 친환경적 도시로 만들어 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의도광장 을 푸른숲과 태양과 물이 있는 시민공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과업은 서..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문화유산의 해와 문화재의 인식
올해는 문화유산의 해다. 그래서 문화체육부와 산하 문화재관리국, 국립박물관과 문화재보호협회등에서 전시와 특별기획, 강연 등을 준비중이다. 전통문화에 대한 국민의식을 높이고 보존관리의 향상과 제도정..
최몽룡/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조경용수목 ; 죽순대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주로 죽순을 생산하기 위하여 재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넓은 정원, 공원 또는 강변이나 도로변에 경관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중국 양자강 이남에..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작은 마을 ; 창동 동아아파트 청솔마을 어린이 놀이터
93년 여름 놀이 조형물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한 이후로 만 4년만의 천신만고 끝에 작은 마을 이라는 그야말로 조그만 놀이터 하나가 만들어졌다. 놀이터 전체의 Lay Out에 대한 설계는 6개월 ..
이영송/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DAKU 옥상녹화 시스템
DAKU 시스템은 기존의 경량토양 및 배수층의 단순한 기능만 가지고 있는 옥상정원 시스템과는 달리 토양의 경량화와 배수는 물론 완벽한 방수 및 저수 등 옥상정원에 필수적인 여러 가지 요소를 일체화시킨 시..
한국C.C.R(주)/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경관의 가능성 모색한 영국조경가 - 지오프리 젤리코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Sara Parkin 외 1명/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목재 방음벽
방음벽은 도로망의 확충과 교통량의 급속한 증가로 소음이 환경문제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면서 설치초기에는 순전히 음향학이라는 물리적 기술에 국한되어 상대적으로 시가적, 미학적인 문제는 소훌히 다루..
한수목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준법정신과 환경보전은 불가분의 관계” ; 재독사업가 지철규 박사
“환경운동가나 환경보호론자는 따로 있을 수가 없습니다. 지구덩이를 자기집 안방으로 생각하고 하늘을 자기집 안방의 천정으로 생각 한다면 누구나 환경보존 실천가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지난 1월말 한국..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테리코템 이용한 임해매립지 조경 세미나 열려 ; 한국테라코뎀 주최로 코..
테라코템이 처리된 지역주변이나 내부에 있는 테라코템의 결과물인 ‘미기후’는 그곳뿐 아니라 주위의 지역에서도 식물생장의 증진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것은 토양이 더 높은 미생물적 활동, 더 나은 통풍,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한강
한강, 우리나라 중부의 대동맥이자 서울의 젖줄이다. 한강은 그 근원을 강원도 삼척군 응갑산에서 시작하여 영월, 단양, 충주부근을 흘러 경기도 광주군에 들어서서 다시 북한강과 합친 다음 서울의 남쪽 용산..
손기찬/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