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 3대 조경수와 보존수
- 세계의 3대 조경수인 히말라야시다. 아라우카리아, 금송이 모두 이 침엽수에 속한다. 이들 3 수송들이 조경수로서 최상의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는 늘 푸른 나무라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조경수로서..
김장수, 임주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3월47호
- 제5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사)한국조경학회(회장 김학범)와 (재)늘푸른(이사장 손연호)이 주최하고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제5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이 “작동하는 조경(Operational Landscape)”이..
/월간 환경과조경/2008년11월247호
- 환자 돌보듯 가꾼 구상나무, 시집보내기 바빠요
- 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명의 나무아저씨로 통하는 이종국 원장(59·문산서울의원)은 30대 후반부터 취미로 가꾼 구상나무가 제법 자라 시집·장가 보낼 때면 그렇게 흐뭇할 수가 없다고 한다. 매일 아침 6시에 기..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6월62호
- 제4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사)한국조경학회(회장 김학범)와 (재)늘푸른(이사장 손연호)이 주최하고,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가 주관한 제4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의 공모전이 “도시인프라-조경을 만나다 Plant m..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7년11월235호
- 부산시민공원 조경시설물 제안공모
- 부산시 시민공원추진단은 ‘100년만의 재회’라는 슬로건 하에 옛 하야리아 미군기지에 조성하고 있는 ‘부산시민공원’의 특화디자인을 위한 지정공모 방식의 ‘조경시설물 설계공모’를 진행하였다. 60..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2월284호
- 국내 식물원·수목원 현황
- 식물원과 수목원인터넷에서 ‘식물원’으로 검색되는 수많은 식물원들을 보면 무척 혼란스럽기만 하다. 게다가 수목원은 또 무엇인가? 그 많은 수의 식물원과 수목원의 내용을 보면 화원이나 농원 심..
송기훈/월간 환경과조경/2006년6월218호
- 조경작품에 표현된 아방가르드 ; 자연과 문화가 만나는 장으로서의 조경..
- 하그리브스는 아방가르드 성격이 강한 조경설계가이며, 비평부재의 조경계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은 비평가이기도 하다. 그는 1983년 Landscape Architecture에 게재된 “Post Modernism Looks Beyond Itself”..
조경진/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월45호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한강수변공원
- 뚝섬지구와 주변 한강공원지구를 연결하는 지점으로, 근린 주민들의 산책로로서 이용도가 높으며, 응봉산과 한강의 양호한 경관, 중랑천 하류부의 조류 관찰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 한강수..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스튜디오 101, 설계를 묻다(1)
- 프롤로그: 열두 가지 키워드를 위한 질문들연재의 발단
설계사무실을 떠나 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조경설계를 가르친 지 3년이 지났다. 4년차면 사무실 직급으로 따지면 대리급이다. 대리급이면 일..
정욱주/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월249호
-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의 영토를 넓혀나가는 주..
- The Forefront of Landscape Architecture 12 Innovators Opening New Horizons of the Field
최근 도시는 물론이고 사람들의 발길이 잦지 않았던 시골 마을까지 전 국민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는 ..
박명권, 최이규/월간 환경과조경/2013년7월303호
- 미소어린이공원
- 설계 _ (주)피엠디조경기술사사무소, (주)데오스웍스, 김아연(서울시립대 교수)시공 _ 초림종합조경(주)|발주 _ 서울시|위치 _ 서울시 성동구 하왕십리 1055번지면적 _ 3,411.0㎡|편집디자인 _ ..
박광윤/월간 환경과조경/2009년6월254호
- 베를린 서울정원
- · 발주처 : 서울특별시· 위치 : 베를린 동쪽 마르찬 지구 “세계의 정원” 내· 면적 : 약 3,000m2· 설계 : 삼성에버랜드(주) 디자인팀(오웅성, 고정희, 윤영조, 이성종, 2004년 현상설계 당선)· 시공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월213호
- 금강산 ; 사진작가와의 대화-훌륭한 피사체로서의 금강산
- 내금강은 나무가 많고 외금강은 바위가 많아서 나름대로의 멋이잇고 맑은 물은 더할 나위가 없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금강산의 매력은 뾰족뾰족한 봉우리들에 잇다고 보는데요, 몇 쳔년이 지나도 뾰족감이..
임석제/월간 환경과조경/1989년5월29호
- (주)동림이엔씨
- (주)원앤티에스
- 미주강화
- 휴안
- 가나안건설
- 윤토
- 이맥스아쿠아
- 디자인파크개발
- 로프캠프
- 꽃길
- 아썸
- 에스에이건설

- 예건
- 인포21c
- 일진글로벌
- (주)대지개발
- 상명대학교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브레인트리
- 엘그린
- 키즈몽코리아
- 샘디지텍
- 림인포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