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아파트 외부환경에 차별화 바람
최근 아파트 주거로 인한 삭막한 정서를 보다 윤택하게 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자 더 많은 녹지공간을 확충하기 위한 시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주로 구릉지에 입지한 아파트 단지의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충남 청양 ; 이해찬 서울시 정무부시장
경치 좋은 칠갑산과 조용한 산사인 장곡사로 유명한 충남 청양이 바로 필자의 고향이다. 청양은 칠갑산 외에도 계곡이 깊어 냉천골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산골 오지로 그야말로 무공해 지역이다. 국민학교를 ..
이해찬/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제주도 개발특별법, 개발이냐, 보존이냐
제주도는 1991년 제주도 개발특별법을 제정하여 그동안의 무분별한 개발사업을 규제하고, 1993년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특구로 지정하여 관광개발을 유도하고 있으나 양면성을 가진 법·제도 사이에서 특단의 ..
박동천/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조경계의 사회참여 및 영역확보 ; 조경계의 발전과 조경인의 자세
근대적 의미의 조경이 이 땅에 정착하게 된 것은 70년대초 정식으로 정부기관에 조경을 담당하는 직책이 신설되고 학문적인 필요성을 인식하여 대학에 학과를 개설하면서 부터일 것이다. 그 이전에는 임학과나..
강태호/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랜드캐드
랜드캐드란 오토캐드를 기본으로 하며, 설계도면을 작성하는데 개념부터 완성단계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모든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조경설계를 위한 조경설계 전문 소프트웨어이다. 현재 응용되고 있는 분야로..
캐드캠프/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푸르름을 공기와도 같이 인식하는 일본인에 부러움
 물가가 높기로 유명한 동경의 한복판에서 방을 계약하기란 여간 부담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본엔 전세라는 개념이 없을뿐더러 방을 한 번 빌리자면 주인에게 방세의 1~2배를 인사비로 지불해야 하고..
박소홍/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조경용수목 ; 장미속
해당화_ 해당화는 좋은 꽃나무로서 옜부터 우리생활주변에 식재되어 왔으며, 특히 사찰, 서원, 고가 등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장미류에 밀려 이 나무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편이지만, 장미류..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사철나무
우리나라의 정원이나 공원에는 사철나무를 많이 식재하고 있다. 활엽수 중 유일하게 상록수로서 겨울에도 푸른색을 간직하고 있으며 건물의 경계, 생울타리로 식재한다. 특히 극음수로서 그늘진 곳에서도 잘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도시환경동호회
집에서 혹은 학교에서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켜는 순간 이들에겐 또다른 세상이 펼쳐지게 된다. 대학생들은 물론 연구원, 교수, 직장인, 가정주부에 이르기까지 도시 및 환경·조경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
김진오/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도시경관의 역사성과 설계적 함의
최근 도시경관 특히 역사경관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조성사업들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이는 도시경관연구의 발상지인 유럽으로부터 시작하여 일본에서는 전국적인 시민운동으로까지 활성화되고 있다. 대..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사(死)내의 문턱에서 새보금자리 찾은 6백년 노거수 ; 대지개발, 공주 느..
6백년된 두 그루의 노거수가 부락민의 지극한 사랑으로 새 보금자리에서 새 삶을 시작했다. 공주시 신관동 117번지에 위치한 약 6백년된 느티나무와 5백년된 팽나무가 생사의 갈림길에 있었던 것은 지난 92년...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식물 농사꾼의 이유있는 풀 키우기 ; 이영주 반월농장 원장
반월농장 이용주 원장은 80년대부터 미친듯 산과들을 쫓아다니며 카메라 앵글에 담아온 우리의 자생식물 사진정리에 한참 몰두해 있다. 언뜻보기에는 잡초꾸러미 같지만 이를 정리하는 그의 얼굴에서 구절초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다시 고개드는 건설업법면허 개편 논란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조경계의 사회참여 및 영역확보 ; 조경가의 사회참여와 방향
조경분야는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의 변화가 조경사의 중요한 줄거리 중의 하나이다. 조경의 원류가 공공에서 출발했는가, 아니면 민간에 의해 출발했는가는 중요한 차이다. 지금까지 환경운동은 주..
김명수/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세계민간환경단체 ; 열대림 액션 네트워크
 미국과학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매년 적어도 20만㎢의 열대림이 파괴되어 가고 있으며, 하루에 137종의 생물이 멸종되어 이 지구상에서 영원히 사라져가고 있다. 이러한 속도로 열대림이 파괴되어 간다면..
21세기데이터정보센터/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