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비탈면 녹화 Part3. 비탈면 녹화 사례: 해외비탈면 ..
중국도로 비탈면 녹화 설계 및 시공일본임목 폐기물의 파쇄칩을 식생기반재로 활용하여 목본 군락을 조성한 모습미국식생기반재 조성 시 토양의 단립화를 촉진하는 고분자재 처리 기술이 발달
김남춘/계간 조경생태시공/20111264
국제기능올림픽 참여를 통한 조경시공 기술 발전방안
1.국제기능올림픽 참여와 반성 올림픽에 출전하는 15개 국가들은 벌써부터 정보수집, 정책지원, 선수활동 동향 및 각종지원 대책준비 등으로 자국에 올림픽의 승리를 위하여 혈안이 되어 숨 가쁘게 움직이고 ..
송근준/계간 조경생태시공/2007937
조경적산과 품셈 ; 조경구조물공사 적산의 유의점
조경공간의 독창성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자는 가급적 다양한 포장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며 새로운 포장재료의 특성과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하기 전에 곧바로 설계에 적용하는 사례가 많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
박원규/계간 조경생태시공/2005112
다목적 빗물 저류조 시스템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 국민 한 사람 당 필요한 일일 생활용수가 173리터이며, 그중 89리터가 빗물로 대체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빗물이 지상에 남아 있는 시간만큼 수자원 부족에 대한 고민을 멈춰..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5916
생태도로건설을 위한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 지침의..
국내 생태도로의 발달과정국내 친환경 도로정비사업은 환경영향평가 실시이후 국가간 기후방지협약과 생물 다양성 협약 체결 이후 급속도로 발전되기 시작하였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 중요한 녹지축..
김남춘/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41
쉽게 풀어쓰는 조경토양(4) 나무가 숨쉬는 토양에 ..
수목 이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새로운 식재 환경에서 수목의 뿌리가 얼마나 빠르게 활착하는가”일 것이다. 수목 이식에 앞서 식재하고자 하는 새로운 환경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하며, 수목을 굴..
박현준 /계간 조경생태시공/20091256
수경설계의 현황과 문제점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쾌적성이나 편의시설, 문화시설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자연환경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물이라는 자연요소는 아름다운 경관을 창출하고 자연 생태계를 ..
구정회 /계간 조경생태시공/2009654
실무능력 증진을 위한 대학내 실습교육 프로그램(일본사례)
필자는 지난해 우리 대학 여건에 알맞은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일본 전문대학 실습교육현장을 탐방하였다. 일본의 학제와 전문대학 교육일본에는 우리의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
구태익/계간 조경생태시공/2007836
나도겨풀, 마디꽃, 물쑥, 미국가막사리
Rice cutgrass, Indian toothcup, Seleng Wormwood, Beggar-Ticks나도겨풀과명 _ 벼과(Gramineae) 학명 _ Leersia japonica Makino자생지 _ 논, 논둑, 도랑, 휴경 답, 못, 늪, 저지의 습지, 냇가, ..
류병열/계간 조경생태시공/20111264
산림청, 도시조경사업에 숟가락을 얹다
지난 2008년 4월 15일 산림청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법률 시행령(이하 시행령) 및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을 일부 개정한 입법예고를 하였다(산림청공고 제2008-27호). “생활림, 가로수에 대한 ..
박광윤/계간 조경생태시공/2008646
우드펠릿
우에너지 소비가 늘어나면서 에너지원 확보에 대부분의 나라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에너지는 세계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많은 나라들이 화석에너지(특..
고방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081252
유해물질에 의한 수목 피해
공원, 건물주변, 가로변, 녹지대, 정원수 등 수목은 사람들의 생활환경과 공간적으로 가까워질수록 사람들로 의해 유발되는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된다. 그 예로 수목주변의 잔디밭에 잡초제거를 위한 제초제 ..
이승제/계간 조경생태시공/2006622
(주)푸름바이오
(주)푸름바이오는 인간에 의해 파괴된 자연을 인간이 개발한 기술로 다시 연결해 자연 스스로가 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친환경자재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연구기관과 산업체를 매개하는 연..
김세영/계간 조경생태시공/20111264
제3회 한일 옥상녹화기술 국제세미나를 돌아보며
제3회 한일 옥상녹화기술 국제세미나 서울의 한 호텔에서 나온 일본방문단들은 코엑스 장보고홀에서 한국의 옥상녹화 전문가들과 합류하여 오전에는 ‘한일 옥상녹화기술기준 국제워크샵’을 오후에..
나창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8747
고층건물 벽면녹화 시스템
벽면녹화시스템 개발 방향 기존의 벽면녹화는 담쟁이와 같은 수종으로 녹화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는 높이의 한계가 존재한다. 고층건물에서는 고층부에서도 적용 가능한 외장재 개념의 벽면녹화시스템이..
이건호/계간 조경생태시공/20051117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